탐방 66

[특집]로봇기업 신년 계획 ⑤㈜고영테크놀러지

로봇신문은 2021년 신축년 새해를 맞아 국내 주요 로봇기업들의 CEO를 만나 지난해 성과와 새해 계획 등을 들어보는 특집 코너 '신년계획'을 마련했습니다. 다섯번째 기업은 3차원 검사장비 분야의 세계적인 선도기업이며 뇌수술로봇 사업 분야로 영역을 확대하고 있는 ㈜고영테크놀러지입니다. 2002년 설립된 고영테크놀러지는 세계 1위의 3차원 SMT/반도체생산용 검사기(자동검사 로봇) 공급기업으로 3차원 납도포 검사기(SPI), 3차원 부품 장착 및 납땜 검사기(AOI) 뿐만 아니라 머시닝 옵티컬 검사기(MOI), 자동 핀 검사장비(API), 3차원 투명체 검사장비(DPI) 시장까지 진출하면서 검사장비 제품 분야에서 풀 라인업을 구축하고 있을 만큼 탄탄한 기술력으로 무장한 기업이다. 끊임없는 연구개발, 인재양..

탐방 2021.02.22

[특집]로봇기업 신년 계획 ④㈜티로보틱스

로봇신문은 2021년 신축년 새해를 맞아 국내 주요 로봇기업들의 CEO를 만나 지난해 성과와 새해 계획 등을 들어보는 특집 코너 '신년계획'을 마련했습니다. 네번째 기업은 반도체, FPD 산업용 이송 로봇 등 산업용 로봇 제조업체 ㈜티로보틱스입니다. 2004년 설립된 티로보틱스는 2008년 국내 최초로 8세대 진공로봇을 개발한 이후, 지금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11세대 디스플레이용 진공로봇을 공급하며 “중대형 진공로봇의 글로벌 리더”라는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높은 성능과 신뢰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독자적인 로봇 메커니즘 설계기술, 제어기술 및 생산기술에, 최근 4~5년 동안 선행 투자한 인공지능, 비전인식 및 휴먼 인터페이스 등의 미래 핵심기술들을 결합하여, 미래 사회에서 인간의 동반자로 위치할 로..

탐방 2021.02.15

[특집]로봇기업 신년 계획 ③두산로보틱스㈜

로봇신문은 2021년 신축년 새해를 맞아 국내 주요 로봇기업들의 CEO를 만나 지난해 성과와 새해 계획 등을 들어보는 특집 코너 '신년계획'을 마련했습니다. 세번째 기업은 국내 대표적인 협동로봇 기업 두산로보틱스㈜입니다. ​2015년 설립된 두산로보틱스는 산업용 협동 로봇 전문기업으로 본사는 경기도 수원에 있다. 사람과 업무 분업을 할 수 있는 협동 로봇의 적용 범위를 제조 현장에 국한하지 않고 서비스 현장 등에도 적용하여 활용성을 넓혀가고 있다. 협동 로봇 부문에서만 10개의 라인업을 갖추면서 온라인 로드쇼나 해외 전시회 참가 등을 통해 국내 및 해외 시장 공략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그룹의 미래 성장 동력 중 하나로 로봇사업을 육성할 만큼 그룹 차원의 관심이 상당히 높다. 협동 로봇 전문 기업으로 세..

탐방 2021.02.08

[특집]로봇기업 신년 계획 ②현대로보틱스㈜

로봇신문은 2021년 신축년 새해를 맞아 국내 주요 로봇기업들의 CEO를 만나 지난해 성과와 새해 계획 등을 들어보는 특집 코너 '신년계획'을 마련했습니다. 두번째 기업은 국내 대표적인 산업용로봇 기업 현대로보틱스㈜입니다. 현대로보틱스는 국내 최고의 산업용 로봇 기업이다. 산업용 로봇, LCD용 로봇 뿐만 아니라 물류 자동화 등 스마트 팩토리 사업까지 토탈 솔루션을 지향하고 있다. 작년에는 KT에서 전략적 투자를 받으면서 서비스 로봇 시장까지 진출하면서 종합 로봇기업으로 발돋움하고 있다. 토탈 로봇 솔루션 기업을 꿈꾸는 현대로보틱스 서유성 대표에게 새해 설계를 들어 보았다. ▲현대로보틱스 서유성 대표 ​ Q. 지난 해 코로나로 많은 기업들이 어려웠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현대로보틱스의 지난해 성과는 어..

탐방 2021.02.01

[특집]로봇기업 신년 계획 ① ㈜유진로봇

로봇신문은 2021년 신축년 새해를 맞아 국내 주요 로봇기업들의 CEO를 만나 지난해 성과와 새해 계획 등을 들어보는 특집 코너 '신년계획'을 마련했습니다. 첫번째 기업은 국내 대표적인 로봇 기업 ㈜유진로봇 신경철 대표입니다. 유진로봇은 설립된지 33년 된 국내 대표적인 로봇 기업이다. 청소로봇과 로봇제조장비 사업에 자율주행 솔루션 사업을 추가하면서 다양한 로봇 솔루션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작년 말부터 3D 라이다 센서 출시를 비롯해, 올해 들어 본격적으로 신제품들이 출시될 예정이다. 새로운 변화를 꿈꾸는 유진로봇의 신경철 대표이사에게 새해 설계를 들어 보았다. ​ Q. 지난해 코로나로 많은 기업들이 어려웠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유진로봇의 지난해 성과는 어땠는지요? 지난해 우리 유진로봇은 사업적으로..

탐방 2021.01.25

코가플렉스(주)

국내 로봇업계에 스타트업들의 활약이 돋보이고 있다. 새해 첫 소개하는 코가플렉스도 그런 기업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학교에서 후배들을 가르치던 교수에서 어느 날 갑자기 기업 대표로 변신하는 것이 젊지 않은 나이에 쉽지 않은 결정이었을 텐데, 그 어려운 길을 제자들과 함께 걸어 가고 있다. ​ 새해 5일 한양대 서울캠퍼스 한양종합기술연구원(HIT)에 위치한 코가플렉스(Cogaplex)를 찾았다. 코가플렉스는 한양대 융합전자공학부 교수로 재직하던 서일홍 교수가 제자인 고동욱, 이진한 대표와 함께 설립한 회사로 지난 2017년 8월 만들어 졌다. 자율주행과 스마트 팩토리 관련 솔루션을 로봇기업에 공급하고 있는 솔루션 공급업체로서 모빌리티 토탈 솔루션 업계의 글로벌 탑티어(Top Tier)로 도약하겠다는 야..

탐방 2021.01.15

(주)에이딘로보틱스

국내 로봇 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창업이 활발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최근 로봇업계에 불고 있는 창업 열풍은 바람직한 현상이다. 레인보우 로보틱스를 비롯해 에이딘로보틱스, 코가플렉스, 이지엔도서지컬 등의 로봇 기업들은 학교에서 평생 연구에 몸 담았던 대학교수가 제자들과 함께 설립한 대표적인 창업기업이다. 오늘은 센싱 기술을 바탕으로 창업해 최근 주목받고 있는 에이딘로보틱스를 찾았다. 이 회사 최혁렬ㆍ이윤행 공동대표는 성균관대 기계공학부 사제지간으로 대학교 내 Robotics Innovatory 실험실에서 출발한 로봇기업이다. 본사도 성균관대 수원 캠퍼스에 자리잡고 있다. 에이딘 로보틱스는 현재의 기술적 한계로 사람-산업/협동로봇 간에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하고 작업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1995년부터 ..

탐방 2020.11.30

주식회사 트위니

최근 로봇 분야에서 가장 핫한 시장이 AGV(무인운반차)와 AMR(자율이동로봇)을 기반으로 한 물류 로봇시장이다. 지난 9월 24일 국제로봇연맹(IFR)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전문 서비스 로봇 중 최고의 어플리케이션은 물류 로봇 분야였고, 작년 7만 5000대 판매에서 올해 11만 4000대 판매로 66% 대폭 성장할 것으로 예측했다. 또한 2021년부터 2023년까지 향후 3년간 잠재 성장 예측에서도 연평균 76.1%를 나타내 향후 물류 로봇 시장이 얼마나 폭발적으로 성장해 나갈 분야인지 예상할 수 있다. 국내에도 몇 몇 로봇 기업들이 물류 로봇 사업을 펼치고 있지만 아직 이렇다할 성과를 내지는 못하고 있다. 하지만 이 분야에서 최근 스타트업 기업들의 활약상이 주목받고 있다. 그 중 하나가 대전에 위..

탐방 2020.10.06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스마트머신·로봇연구단 지능로보틱스연구센터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소재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본원 모습 ​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 원장 김영삼)하면 아직은 낯선 사람들이 많다. 이전 이름은 전자부품연구원(KETI)이었지만 얼마전인 8월 초 연구원 이름을 바꾸었다. 산업기술혁신촉진법 제42조 ‘전문생산기술연구소의 설립 및 지원’을 근거로 1991년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전자IT분야 전문생산연구기관으로 설립이래 첨단산업 분야에서 중소·중견기업들의 성장을 견인해 왔다. 그러나 29년간 이어온 전자부품이라는 틀을 깨고 전자기술로 확대된 기술플랫폼의 선두주자로 연구역량을 담아내 기업과 동반성장하겠다는 의지에 따라 한국전자기술연구원으로 새롭게 탄생했다. KETI는 대·중소기업 출연으로 설립된 뒤 초기에는 전자기술을 통해 전자부품의 대일 수입 의존을 탈피하..

탐방 2020.08.13

[창간 7주년 기획]로봇R&D현장을 가다 ②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융합기술연구소 로봇응용연구부문

로봇신문은 창간 7주년을 맞아 로봇 R&D를 선도하는 연구기관을 찾아 연구 개발 현황과 미래 비전을 소개하는 기획물 '로봇 R&D 현장을 가다'를 선보입니다.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미래 로봇 시장을 겨냥한 연구 기관의 R&D에 대한 뜨거운 의지는 한국로봇산업의 밝은 미래를 활짝 열어주는 길잡이이자 횃불과 같습니다. 두번째로 로봇신문이 찾아간 곳은 국내 로봇 원천기술 확보와 실용화를 주도하는 국내 대표적인 로봇연구 기관인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융합생산기술연구소 산하 ‘로봇응용연구부문'입니다.(편집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융합생산기술연구소 모습​한국생산기술연구원(원장 이낙규)은 산업계, 그 중에서도 특히 중소·중견기업 지원을 위해 설립된 실용화 중심 연구기관으로 뿌리산업기술연구소(인천), 융합생산기술연구..

탐방 2020.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