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1 13

"호박벌에서 영감" UC 버클리, 세계 최소형 비행 로봇 개발

▲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교의 엔지니어들이 곤충에서 영감을 받아 만든 새로운 비행 로봇은 호버링, 궤도 변경, 작은 목표물 타격까지 가능하다. UC 버클리 연구팀이 호박벌에서 영감을 받아 직경 1cm도 되지 않는 세계 최소형 비행 로봇을 개발했다고 29일(현지 시각) 발표했다. 이 로봇은 무게가 21mg에 불과하며, 호버링(공중 정지), 궤도 변경, 작은 목표물 타격이 가능하다. UC 버클리 기계공학과 리웨이 린(Liwei Lin) 석좌교수는 “벌은 탐색, 호버링, 수분(受粉) 등 유사한 크기의 인공 비행 로봇이 수행할 수 없는 놀라운 비행 능력을 갖추고 있다. 이번에 개발한 로봇은 벌이 꿀을 모은 후 비행하는 수분 메커니즘을 모방해, 지정된 목표물에 접근하고 타격하도록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다”고 설명..

드론 2025.04.01

‘자율주행차 시범운행지구 광역협의체’, 1일 발족

국토교통부는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 촉진 및 지원을 위해 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전국 17개 시·도 국장급이 참여하는 ‘자율주행자동차 시범운행지구 광역협의체’를 발족했다. 자율주행자동차 시범운행지구는 '자율주행자동차법' 시행 이후 2020년부터 9차례에 걸쳐 전국 17개 시ㆍ도 42곳에 지정하여 양적성장을 달성하였으나, 지정 후 자율차 서비스를 미운영하거나 기초 지자체 단위로 부실하게 운영하여 낮은 성과평가를 받는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했다. 이에 광역협의체를 통해 정부와 광역지자체간 자율주행 정책현황을 공유하고, 시범운행지구의 체계적인 운영계획 수립과 내실 있는 운영ㆍ관리를 도모할 계획이다. 국토부와 각 지자체는 시범운행지구 내실화 방안을 논의했다. 광역지자체 중심의 운영ㆍ관리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

정책 2025.04.01

액센추어-셰플러, 산업 자동화 혁신 위해 손잡았다

▲ 애질리티 로보틱스의 디지트는 셰플러 시설의 디지털 트윈에서 토트 핸들링, 자재 취급 작업 등을 수행한다.(사진=셰플러) 액센츄어가 셰플러와 협력해 물리적 AI와 로봇 기술을 활용한 산업 자동화 혁신(재창조) 전략을 추진한다고 1일 밝혔다. 양사는, 특히 엔비디아와 마이크로소프트(MS)의 기술을 접목해 산업용 휴머노이드 로봇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간다는 계획이다. 양사는 현재 독일에서 열리고 있는 ‘하노버 메세 2025’(3월 31일~4월 5일)에서 엔비디아와 MS의 최신 AI, 시뮬레이션 및 데이터 기술을 기반으로 ‘인간 중심’, ‘인간-로봇 협업’, ‘완전 자동화’ 등 다양한 산업 자동화 시나리오를 최적화하는 방법을 선보인다. 이 시나리오에는 산업자동화시스템, 자율이동로봇(AMR), 셰플러의 모바일..

산업용로봇 2025.04.01

라이노스, 동탄 복합 쇼핑센터에 청소로봇 ‘휠리 J40’ 공급

▲ 레이크꼬모 청소로봇(사진=라이노스) 로봇기업인 라이노스는 우미건설을 통해 동탄 소재 ‘레이크꼬모’ 복합쇼핑센터에 AI 청소 로봇 ‘휠리 J40’을 성공적으로 납품했다고 밝혔다. ‘휠리 J40’은 자율적으로 넓은 공간을 관리하며, 기존 미화원은 화장실, 계단 등 디테일한 관리 영역에 집중할 수 있도록 역할이 재배치되었다. 이를 통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면서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했다. 이 로봇은 엘리베이터 자율탑승 기술과 실시간 바닥 오염도 감지 기능을 탑재해 층간 이동 및 청소 강도 조절을 자동으로 수행한다. 라이노스의 엘리베이터 동기화 솔루션 ‘rEMS(Elevator Management System)’과 운영 솔루션을 탑재, 운영의 효율성을 향상시켰다. 청소 로봇은 물 교환 및 배수 작업, 물걸레 ..

존슨 앤 존슨 메드테크, '듀알토' 에너지 시스템 출시

▲듀알토 수술 에너지 시스템. (사진=존슨앤존슨 메드테크) 다른 로봇 응용분야와 마찬가지로 수술 시스템의 전력과 사용성에는 항상 개선의 여지가 있다. 존슨앤존슨 메드테크(J&J MedTech)가 미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은 '듀알토(Dualto)' 에너지 시스템을 출시했다고 더로봇리포트가 29일(현지시각) 보도했다. 듀알토는 여러 에너지 모달리티를 통합 플랫폼으로 결합해 개방형 및 최소 침습 수술에 사용할 수 있는 수술 시스템이다. J&J는 장치 관리용 폴리포닉 플리트(Polyphonic Fleet) SW 애플리케이션과 함께 작동하도록 설계했다. 이 회사는 또한 듀알토를 높은 기대를 모으고 있는 '오타바(Ottava)' 수술 로봇과 함께 사용할 계획이다. J&J는 듀알토가 단극, 양극, 초음파 및 ..

中 키논, 첫 휴머노이드 서비스 로봇 ‘X맨-R1’ 발표

중국의 대표적인 서비스 로봇 기업인 키논이 휴머노이드 로봇을 공개하며 본격적인 상용화 계획을 발표했다. 31일 중국 매체 다중신원에 따르면, 중국 로봇 기업 '키논(KEENON, 擎朗智能)'이 대규모 현장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형 휴머노이드 로봇 ‘X맨(XMAN)-R1’을 공개했다. 이 로봇의 가장 큰 특징은 다양한 임베디드 서비스 로봇과 협력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다는 점이다. X맨-R1은 킨온이 강점을 가진 서비스 산업에 최적화되어 개발됐다. 주문 접수, 식사 준비, 배달, 식사 수거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향후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될 예정이다. 이 로봇은 서비스 인력의 동작 패턴 논리와 자세를 학습해, 양손으로 물건을 전달하는 등 현장에 맞는 직무별 특성을 반영했다. 또한, 키논의 ..

혼다 중국 합작사, 100% 로봇 자동화 전기차 공장 공개

중국 자동차 기업이 부품 조달부터 주요 생산 공정까지 100% 로봇 자동화된 전기차 공장을 공개했다. 28일 중국 IT 전문 매체 IT즈자에 따르면, 일본 혼다와 중국의 합작법인 'GAC 혼다(GAC Honda Automobile)'가 친환경 자동차 공장을 공개하고, 신형 전기차 모델 'P7'의 출고 행사를 진행했다. 이 공장에는 총 35억 위안(약 6,500억 원)이 투자됐으며, 연간 12만 대의 전기차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30여 가지의 글로벌 최고급 기술, 50여 가지의 중국 선도급 기술, 60가지의 세계 최초 공정 기술이 적용됐다. 특히 MES(제조 실행 시스템)와 설비 모니터링 시스템을 100% 연계해 생산 계획과 실적 간 반응 속도를 극대화했다. 스탬핑 공정에는 풀 서보(Full Serv..

종합 2025.04.01

한국엡손, 고성능 통합 로봇 컨트롤러 'RC800-A' 출시

한국엡손(대표 후지이 시게오)이 스마트 팩토리 구현을 위한 고성능 통합 로봇 컨트롤러 ‘RC800-A’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통합 컨트롤러는 공정 내 효율성과 생산성을 혁신적으로 높일 수 있는 핵심 기술로, 이번 신제품은 고속·고정밀 작업에 최적화된 엡손의 하이엔드 스카라 로봇 ‘GX-C 시리즈’와 호환된다. 엡손은 특정 컨트롤러 내장형 제품을 제외한 향후 출시될 모든 매니퓰레이터(로봇 팔)와의 호환 작업을 순차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엡손은 컨베이어를 멈추지 않고 부품이나 제품을 인식해 로봇으로 핸들링 하는 ‘컨베이어 트랙킹 기술’에서 픽앤플레이스(Pick & Place) 작업의 정밀도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RC800-A는 기존 RC700-A 시리즈보다 정밀도가 향상돼 더욱 난이도 높은 작업이 가..

美 그레이 오렌지, 작업자 토트 전달(T2P) 자동화 ‘릴레이픽’ 출시

▲릴레이픽 작업자상자전달(Tote-to-Person·T2P·TTP) 자동화는 창고 주문품처리 과제를 해결한다. (사진=그레이오렌지) 그레이 오렌지가 지난달 시카고에서 열린 프로맷에서 자동보관회수시스템(ASRS)의 대안으로 작업자상자(토트) 전달(Tote-to-Person·T2P·TTP) 시스템 릴레이픽(Relay Pick)을 소개했다고 오토메이티드웨어하우스가 28일(현지시각) 보도했다. 미국 조지아주 로즈웰에 본사를 둔 이 회사는 고밀도, 고속, 비용 효율적 주문품처리를 위해 인공지능(AI)과 그레이매터 소프트웨어(SW)를 사용하는 릴레이픽을 설계했다고 밝혔다. 그레이오렌지는 이 새로운 시스템이 인증받은 레인저 네트워크(CRNㆍCertified Ranger Network) 파트너 하드웨어(HW)와 통합돼..

한국로봇산업협회-서울대 공대, 전략적 산학협력 본격화

▲ 사진왼쪽부터 김진오 한국로봇산업협회장, 김영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장(사진=한국로봇산업협회) 한국로봇산업협회(회장 김진오)는 지난 31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김영호)과 우리 로봇산업 생태계 조성과 로봇 전문인력양성을 위한 상호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식에는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김영호 학장, 한국로봇산업협회 김진오 회장을 비롯한 양측 관계자들이 참석해 향후 공동 추진할 사업방향과 협력 체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나누고 지속 가능한 협력 기반을 확장해 나갈 것을 약속했다. 국내 로봇산업은 기술력, 제조 인프라, 인재를 일정 수준 확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산학연 간 협업 구조의 부재, 민간 수요와의 단절, 글로벌 진출 전략 부족 등 구조적 한계에 직면해 있다. 이에 ..

종합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