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릴레이픽 작업자상자전달(Tote-to-Person·T2P·TTP) 자동화는 창고 주문품처리 과제를 해결한다. (사진=그레이오렌지)
그레이 오렌지가 지난달 시카고에서 열린 프로맷에서 자동보관회수시스템(ASRS)의 대안으로 작업자상자(토트) 전달(Tote-to-Person·T2P·TTP) 시스템 릴레이픽(Relay Pick)을 소개했다고 오토메이티드웨어하우스가 28일(현지시각) 보도했다.
미국 조지아주 로즈웰에 본사를 둔 이 회사는 고밀도, 고속, 비용 효율적 주문품처리를 위해 인공지능(AI)과 그레이매터 소프트웨어(SW)를 사용하는 릴레이픽을 설계했다고 밝혔다.
그레이오렌지는 이 새로운 시스템이 인증받은 레인저 네트워크(CRNㆍCertified Ranger Network) 파트너 하드웨어(HW)와 통합돼 기존 ASRS에 대한 더 효율적인 대안을 제공한다고 주장했다.
아카쉬 굽타 그레이오렌지 공동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CEO)는 “릴레이픽은 더 높은 보관 밀도, 더 높은 처리량, 유연성에 대한 시장 수요에 대응해 개발됐으며, 동시에 강력한 투자 수익률(ROI)을 제공한다. 그레이매터는 창고의 모든 측면을 실시간으로 조정해 최고의 성능을 보장한다”고 말했다.
◆T2P 자동화 수요 증가
인터랙트 어낼리시스에 따르면 전 세계 창고의 80%가 여전히 수동으로 운영되고 있어 상당한 자동화 도입 여지가 있다.
이 조사회사는 작업자 물품 전달(G2P)에서 작업자 토트 전달(T2P) 자동화로의 전환 움직임이 전자상거래 성장과 옴니채널 주문품처리에 의한 것이라고 봤다.
이 회사는 2025년까지 T2P 매출이 15억 달러에 이르면서 G2P의 13억 달러를 넘어설 수 있으며, 이는 업계 전체가 확장 가능한 자동화로 전환되었음을 반영한다고 말했다.
2012년에 설립된 그레이오렌지는 혁신, 오케스트레이션 및 고객 만족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이 회사는 자사 시스템이 “생산성을 높이고, 성장과 규모에 힘을 실어주고, 노동 문제를 완화하고, 위험과 출시 시간을 줄이고, 고객과 직원들에게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경쟁 우위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그레이오렌지, “릴레이픽이 ASRS보다 우위”
그레이오렌지는 릴레이픽이 큐브 기반의 ASRS보다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제공한다고 주장했다.
▲더 높은 보관 밀도=새로운 시스템은 최대 3줄 깊이, 12m 높이까지 토트를 보관해 공간을 최적화한다.
▲더 빠른 처리량=토트를 초속 4m로 이동해 스테이션마다 한시간에 400개의 토트를 제공할 수 있다.
▲더 큰 유연성=경직된 ASRS 인프라와 달리 릴레이픽은 변화하는 재고 요구 사항에 적응하고 점진적 배치를 허용한다.
그레이오렌지는 자사의 릴레이픽이 단 9개월 만에 완전히 작동해 기존 ASRS의 12~18개월 걸리는 배치 속도를 크게 단축한다고 밝혔다.
이 회사는 릴레이픽이 모듈식으로 설계돼 전체 자동화가 필요한 그린필드(도시개발 확장을 위한 부지) 현장과 주요 인프라 변경없이 업그레이드를 원하는 브라운필드(산업용이었던 버려진 부지) 현장 모두에 적합한 시스템이라고 말했다.
굽타는 “릴레이픽은 동급 최고의 밀도, 속도 및 비용 효율성을 제공한다. 빠른 배치와 AI 기반 조정으로 자동화를 더 접근 가능하고 미래에 대비하도록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레이매터 생태계의 일부인 AMR들
그레이오렌지에 따르면 릴레이 경주에서 영감을 받은 릴레이픽은 자율이동로봇(AMR)을 사용해 토트를 봇(bot)에서 봇으로 전달해 혼잡을 줄이고 처리량을 최적화한다. 또한 정적 시스템과 달리 동적으로 토트를 넘겨주는 프로세스는 효율성을 개선하고 대기 시간을 최소화한다고 덧붙였다.
이 회사는 자사의 이 그레이매터 AI 기반 조정 플랫폼은 실시간 재고관리단위(SKU) 할당이 가능하고 실시간으로 픽킹을 최적화한다고 밝혔다. 또한 여러 공급업체 로봇군(群)과 통합돼 수직 토트 무버(VTM)와 수평 토트 무버(HTM)에 걸쳐 활용도를 극대화한다.
릴레이픽은 그레이오렌지의 주문품처리 생태계의 최신 혁신품으로서 다음 제품과 기능을 포함한다.
▲팔레트 처리를 위한 레인저 포크리프트 봇(Ranger Forklift Bot)
▲자동 사이클 계수(計數) 솔루션 캡티스(CAPTIS)에 의한 자동 재고 추적
▲인간-로봇 협업을 위한 작업자픽킹(P2G) 코봇(P2G).
그레이오렌지는 프로맷에서 창고 시뮬레이션, 그레이매터 기반 랙-투-퍼슨 조정및 TTP 하이브리드 픽킹, 자동 지게차 관리와 같은 소프트웨어 경험도 제공했다.
이재구 robot3@irobotnews.com
<저작권자 © 로봇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전문서비스로봇'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존슨 앤 존슨 메드테크, '듀알토' 에너지 시스템 출시 (0) | 2025.04.01 |
---|---|
中 키논, 첫 휴머노이드 서비스 로봇 ‘X맨-R1’ 발표 (0) | 2025.04.01 |
고영테크놀로지, SMT 저가시장 공략 및 뇌수술로봇 일본 PMDA 획득 추진 (0) | 2025.04.01 |
와트, 짐 나르는 ‘포터로봇 서비스’ 아파트 실증 완료 (0) | 2025.03.31 |
엑스와이지-로보티즈, ‘피지컬 AI 기반 리테일 서비스 로봇 개발’ MOU 체결 (0)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