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기술 78

日 오키나와과학기술대, 어린아이처럼 학습하는 '체화 지능 모델' 개발

▲로봇이 블록 쌓기 훈련을 하고 있다. 일본 오키나와 과학기술대학(Okinaw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OIST) 연구팀은 어린 아이들이 언어를 배우는 것 처럼, 작업을 빠르게 학습할 수 있는 신경망 아키텍처인 ‘체화 지능(embodied intelligence mode) 모델’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모델은 어린이들이 일반화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일반화’ 방법을 배울 수 있다. 인간은 일반화에 매우 뛰어난 능력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유아에게 빨간 공, 빨간 트럭 장난감, 빨간 장미를 보여주며 빨간 색을 식별하는 법을 가르치면, 처음 보는 토마토라도 색을 정확하게 식별할 가능성이 높다. OIST는 체화 지능 모델에 대한 연구 성과를 ‘사이언스 로보틱..

미래기술 2025.02.05

美 캔자스대, 스테레오택시스 수술 로봇으로 부정맥 시술

▲미국 캔자스대 헬스시스템이 스테레오택시스 수술 로봇으로 심장 수술을 했다. 제네시스 RMN시스템은 이 캔자스대 병원의 심장 부정맥 치료 프로그램의 일부다. (사진=스테레오택시스) 미국 캔자스대학교 의료시스템(University of Kansas Health System) 의사들이 스테레오택시스(Stereotaxis)의 로봇 자기 항법(RMN) 시스템 제네시스(Genesis)를 이용해 첫 번째 환자를 치료하는 데 성공했다고 더로봇리포트가 11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제네시스 RMN 시스템의 첫 번째 사용은 이 대학 병원의 로봇 심장 프로그램의 일부로 이루어졌다.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에 본사를 둔 스테레오택시스는 제네시스가 부정맥을 치료하기 위한 심장 절제술에 로봇 정밀도와 안전성의 이점을 제공한다고 말했..

미래기술 2024.11.18

처음으로 육지를 걸은 고대 물고기, '고대 로봇'으로 규명한다

고생물학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현대 육상동물의 조상은 대략 3억 9천만년 전(前)쯤 물에서 나와 육지에서 처음으로 걷기 시작했다. 이 같은 행동은 지구 역사상 가장 주목할만한 사건으로 인식되고 있다. 고생물학자들은 최초의 육상 동물이 어떻게 물에서 나와 땅을 걷게 되었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애쓰고 있으나, 남아 있는 화석들이 희귀해 규명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로봇공학자, 고생물학자, 생물학자 등으로 이뤄진 영국 캠브리지대 연구팀은 3억 9천만년 전 최초의 육상동물이 어떻게 처음으로 물속에서 나와 땅을 걸었는 지를 규명하기 위해 고대로부터 영감을 얻은 로봇을 제작해 실험하기로 했다. 연구팀은 전문 저널인 ‘사이언스 로보틱스’에 기고한 논문에서 고대에서 영감을 얻은 로봇을 활용해 고대 물고기의 가슴 ..

미래기술 2024.10.31

레드닷드론재팬, 실내 드론 실증 실험 실시

레드닷드론재팬(Red Dot Drone Japan)이 GPS 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실내 공간에서 드론 실증실험을 개시했다고 31일 밝혔다. 이 실증실험은 '공익재단법인 오사카산업국'의 IoT·로봇 비즈니스 실증실험 지원 프로그램인 ‘AIDOR(아이도르)’의 지원을 받아 이뤄지는 것이다. 레드닷드론재팬은 GPS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는 오사카 ‘아시아태평양트레이드센터(ATC)’ 내 창고시설에서 자사 독자적인 기술을 활용해 실내 드론 비행을 검증한다는 계획이다. 실증실험은 8월 1일부터 12월말까지 5개월간 진행된다. 2D마커 등 다양한 자기 위치 추정 기술을 사용해 드론의 자율비행 및 촬영의 검증 작업을 실시해 각각의 기술이나 복수의 기술을 조합했을 때 유용성을 평가한다. 비(非)GPS 환경에서 드론 원..

미래기술 2024.08.01

싱가포르 난양이공대, 소프트 로봇용 착용형 직물 개발

▲ NTU연구팀이 착용형 직물을 개발했다. 싱가포르 난양이공대(NTU) 연구팀이 유연하지만, 동시에 필요에 따라 뻣뻣해지는 특성을 갖는 혁신적인 웨어러블 직물 ‘로보패브릭(RoboFabric)’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로보패브릭은 기하학적 디자인을 하고 있으며, 3D 프린터로 손쉽게 제작할 수 있고, 로봇 제어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향후 의료기기, 소프트 로봇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NTU 연구팀은 로보패브릭을 활용해 사람들이 무거운 짐을 들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팔꿈치 지지대와 손목 지지대 시제품을 만들었다. 손목 지지대는 떨림 증상으로 일상 생활이 어려운 파킨슨병 환자들에게 관절 안정화 기능을 준다. 이를 통해 손떨림 현상을 크게 줄일수 있다. 연구팀은 천산갑과 아르마딜로의 ..

미래기술 2024.07.22

"로봇 안내견에 필요한 기능, 시각장애인에게 물어봐야"

▲ 매사추세츠대 에머스트 캠퍼스 연구팀은 로봇 안내견에 필요한 기능을 파악하기위해 안내견 사용자와 조련사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했다.(사진=메사추세츠대 에머스트 연구팀) “로봇 안내견에게 필요한 기능을 알려면 먼저 시각장애인에게 물어보세요“ 美 매사추세츠대 에머스트(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김동현 교수팀은 안내견 사용자(핸들러) 및 조련사들과 인터뷰를 통해 로봇 안내견을 개발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를 수행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성과를 ‘CHI(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2024’에 제출해 최우수 논문상을 수상했다.(논문 제목:Towards Robotic Companions: Understa..

미래기술 2024.05.24

스위스 EPFL, 피부 감각 모방한 컬러 기반 센서 개발

스위스 EPFL 연구팀이 여러 기계적인 자극과 온도 자극을 동시에 감지할 수 있는 컬러 기반 센서를 개발했다고 1일(현지 시각) 밝혔다. 사람의 피부 민감성을 모방한 센서로, 자율 소프트 로봇과 웨어러블 기술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란 설명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그동안 로봇과학자들은 위치, 압력, 온도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하는 데 큰 진전을 이루었다. 하지만 인간처럼 여러 자극을 동시에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하는 데는 기술적인 장벽이 많았다. 스위스 EPFL RRL(Reconfigurable Robotics Lab) 연구팀은 색깔을 기반으로 굽힘, 신축성, 압축, 온도 변화 등 여러가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전문 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

미래기술 2023.12.06

MIT, 곡예 비행하는 '테일시터' 비행 및 제어 알고리즘 개발

’테일시터(tailsitter)’는 수직으로 이착륙이 가능한 고정익 항공기다. 꼬리 부분을 바닥에 대고 있다가 수직으로 이륙하며, 어느 정도 안전 고도에 이르면 속도를 높이면서 기체를 기울여 전진 비행으로 바꾼다. 1928년 니콜라 테슬라가 고안한 항공기지만 실용화에는 이르지 못했다. 오늘날에도 테일시터 동작의 복잡성 때문에 테일시터 보다는 쿼드콥터(멀티콥터 비행체의 한 종류. 회전날개가 4개인 것을 의미) 드론처럼 제어하기 쉬운 비행체에 대한 연구 및 상용화가 활발하다. 하지만 테일시터에 대한 연구가 지금 보다 활발해지고, 실제 실용화 단계에 접어든다면 일반 항공기처럼 넓은 지역을 비행할 수 있고, 헬리콥터처럼 공중을 맴돌 수 있어(호버링 비행) 수색 및 구조 활동, 소포 배달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

미래기술 2023.09.11

유니버설로봇, UR20용 용접 솔루션 '팹테크 2023'에 선봬

▲ 벡티스 오토메이션 UR20 용접 솔루션 협동 로봇 전문기업 유니버설로봇(Universal Robots)은 이달 11일부터 14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팹테크(FABTECH) 2023’ 전시회에 UR20을 위한 용접 및 절단 솔루션을 선보인다고 31일(현지 시각) 밝혔다. 유니버설로봇은 고하중 협동 로봇인 UR20을 작년 6월 출시했다. 유니버설로봇(UR) 협력 기업인 벡티스오토메이션(Vectis Automation) 공동 설립자인 조시 폴리는 "새로운 협동 로봇의 반경이 18인치 추가됨에 따라 고정 설치 시 달성할 수 있는 용접 범위가 크게 넓어졌다“라고 말했다. 이어 "벡티스오토메이션은 통합된 협동로봇 용접 및 절삭 공구에 작업 범위가 넓은 UR20을 제공할수 있게돼 고무되어 있다”고 덧붙였..

미래기술 2023.09.04

유니버설로봇, UR20용 용접 솔루션 '팹테크 2023'에 선봬

▲ 벡티스 오토메이션 UR20 용접 솔루션 협동 로봇 전문기업 유니버설로봇(Universal Robots)은 이달 11일부터 14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팹테크(FABTECH) 2023’ 전시회에 UR20을 위한 용접 및 절단 솔루션을 선보인다고 31일(현지 시각) 밝혔다. 유니버설로봇은 고하중 협동 로봇인 UR20을 작년 6월 출시했다. 유니버설로봇(UR) 협력 기업인 벡티스오토메이션(Vectis Automation) 공동 설립자인 조시 폴리는 "새로운 협동 로봇의 반경이 18인치 추가됨에 따라 고정 설치 시 달성할 수 있는 용접 범위가 크게 넓어졌다“라고 말했다. 이어 "벡티스오토메이션은 통합된 협동로봇 용접 및 절삭 공구에 작업 범위가 넓은 UR20을 제공할수 있게돼 고무되어 있다”고 덧붙였..

미래기술 2023.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