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12 8

이탈리아기술원, 유압식 4족 양팔 로봇 '하이큐리얼' 공개

▲ 4족 양팔 로봇 하이큐리얼(사진=IIT) 이탈리아기술원(IIT·Italian Institute of Technology) 연구팀이 VR(가상현실, Virtual Reality) 환경에서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유압식 4족 양팔 로봇 ‘하이큐리얼(HyQReal)’을 새로 공개했다. 사람이 접근하기 힘든 위험한 곳에 로봇을 투입해 원격 제어할 수 있으며, 두 개의 로봇팔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복잡한 작업을 양손으로 처리할 수 있다. ‘로봇 텔레오페라티보 프로젝트(Robot Teleoperativo project)’를 이끌고 있는 클라우드 세미니(Claudio Semini)는 IEEE 스펙트럼과의 인터뷰에서 “이번 프로젝트는 산재보험공사(INAIL)와의 협력으로 진행됐으며, 인간의 능력을 로봇으로 확장하여 ..

中 러쥐로봇 휴머노이드 로봇 '쿠아보', 하얼빈 동계올림픽에 등장

▲휴머노이드 로봇이 인간 주자와 하이파이브하면서 성화를 받으려하고 있다.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이 동계올림픽에서 성화봉송 주자로 참여했다. 12일 중국로봇망에 따르면 러쥐로봇(LEJU ROBOT, 乐聚机器人)이 만든 휴머노이드 로봇 '쿠아보(Kuavo, 夸父)'가 중국 하얼빈에서 열리고 있는 동계올림픽 현장에 등장했다. 현장 기온이 영하 20도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혹한의 추위에서 다양한 성능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쿠아보는 동계올림픽 경기 릴레이 성화 행사에서 성화 주자와 하이파이브를 하면서 동계올림픽 경기를 응원했다. 러쥐로봇이 국제 동계 행사에 참여한 것은 이번이 벌써 세번째다. 평창 동계올림픽,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이어 하얼빈 동계올림픽에 참여했다. 앞서 러쥐로봇의 '아엘로스(Aelos..

中 줌라이언, 제조 공정 및 물류창고용 휴머노이드 로봇 공개

중국 기계 및 하이테크 장비 전문기업 줌라이언(ZOOMLION, 中联重科)이 자체 개발한 휴머노이드 로봇을 공개했다고 중국 언론 창사완바오가 11일 보도했다. 지난 1992년 설립된 줌라이언은 공정 기계, 농업용 기계, 하이테크 장비 및 건축 재료 분야 사업을 하고 있다. 이번에 개발된 휴머노이드 로봇은 건설 기계 생산 및 조립 라인에 적용된다. 향후 창고 및 물류, 유연 제조, 상업 서비스, 가정 노인 케어 및 기타 현장에 폭넓게 사용될 전망이다. 줌라이언은 이에 앞서 바퀴 달린 휴머노이드 로봇과 두 발로 걷는 휴머노이드 로봇 시제품을 개발한 바 있다. 일상 생활과 공장 물류 처리, 제품 분류 등 몇 가지 기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매체에 따르면, 이 두 제품의 연구개발 과정에서, 기술진은 멀티모달..

중국철도공정장비그룹, 터널 뚫는 '암석 드릴링 로봇' 해외 수출

▲ 중국철도공정장비그룹 사옥(사진=회사 홈페이지) 중국 기업이 개발한 암석 드릴링 로봇이 해외로 수출될 전망이다. 11일 중국 언론 허난르바오는 중국 정저우(郑州)시에 위치한 중국철도공정장비그룹(CREG, 中铁工程装备集团)이 자사 공장에서 암석 드릴링 로봇을 생산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곳에서 생산된 드릴링 로봇은 곧 유럽으로 수출될 예정이다. 생산 현장에서 공개된 암석 드릴링 로봇은 마치 '트랜스포머'를 닮은 장치에 3개의 로봇팔이 달려있다. CREG에 따르면, 이 로봇은 최신 터널 암석 드릴링 로봇으로 굴착 능력이 매우 뛰어나다. 독자 개발한 지능화 기능을 탑재, 원격 제어와 원클릭 굴착이 가능하다. CREG는 중국 터널 특수장비 분야 주요 기업이다. 2021년 초 페루에 장비 13대를 수출을 시작..

도구공간, AI 자율주행 순찰로봇 실시간 원격 시연

▲ 미국 KSC 시애틀에서 행사에 참석 중인 현지 투자자 및 관계자들의 모습(사진=도구공간) AI 자율주행 순찰로봇 전문기업 도구공간(대표 김진효)이 지난 8일 미국 현지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데모데이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서 도구공간은 자체 개발한 원격 로봇 관제 시스템인 ‘SOS(Security Operation System)’ 및 원격 로봇 제어 프로그램 ‘플래너(Planner)’ 등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사용해 한국 연구소에서 미국 시애틀 KSC(K-Startup Center)에 배치된 순찰로봇을 원격으로 관제하고 제어하는 모습을 선보였다. 도구공간의 SOS는 순찰로봇이 송신하는 데이터를 통해 순찰 현장을 관제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 없이 웹을 통해 간단히 접속할 수 있..

美 EPC, 휴머노이드용 AI 기반 소형 정밀모터 구동 설계 출시

▲미국 EPC가 내놓은 휴머노이드 로봇용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 기반 브러시리스 직류모터(BLDC) 드라이브 참조 디자인. (사진=EPC) 미국 캘리포니아의 EPC(Efficient Power Conversion)가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갠) 기반의 휴머노이드 로봇용 고성능 3상 브러시리스직류(BLDC) 모터 구동 인버터 참조 설계인 EPC91104를 출시했다고 뉴일렉트로닉스가 보도했다. 갠은 딥러닝을 사용해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는 머신러닝 모델의 일종이다. 이는 보다 현실적인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서로 경쟁하는 두 개의 신경망으로 구성된다. EPC의 참조 설계는 손목, 손가락, 발가락 움직임에 사용되는 휴머노이드 로봇의 소형 정밀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것이다. EPC91104 평가 보드는..

덴마크 오덴세 로보틱스, '2025년 4가지 로봇자동화 트렌드' 제시

▲ 덴마크 오덴세 로보틱스가 2025년 4가지 로봇자동화 트렌드를 발표했다(사진=오덴세 로보틱스) 덴마크 로봇 클러스터인 오덴세 로보틱스와 덴마크기술연구소(Danish Technological Institute)가 ‘2025년, 그리고 그 이후의 덴마크 로봇 산업 전략 트렌드’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두 기관은 높은 불확실성과 빠른 기술 발전을 특징으로 하는 이 시기에 더 많은 기업들이 회복력을 강화하기 위해 자동화를 선택할 것이라고 밝혔다. 소렌 엘머 크리스텐슨 오덴세 로보틱스 CEO는 "지난해는 기계 학습, 생성형 AI, 물리적 AI 등 인공지능의 지배력이 높아지면서 혁신의 선구자적인 역할을 했다“며, ”2025년에는 지능형 및 적응형 시스템이 계속 개발되어 제조업체 및 기타 부문에 새로운 기..

종합 2025.02.12

유니티, “도요타 자동차에 ‘3D 콘텐츠 기술’ 공급”

▲ (이미지=도요타 자동차) ‘도요타 자동차(Toyota Motor Corporation)’가 개발 중인 차세대 차량에 국내 기업 기술이 공급된다. 국내 실시간 3D 콘텐츠 제작 및 성장 플랫폼 기업 ‘유니티’는 도요타가 개발 중인 자동차 제어용 인간기계연결기술(HMI) 개발 파트너로 선정됐다고 11일 밝혔다. 유니티 측은 이번 협업에 대해 ‘게임 산업에서 다년간 다양한 플랫폼에 적용해 온 실시간 3D 기술이 현실 세계에서도 혁신을 이룰 수 있다는 점을 확신한 결과’라고 밝혔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도요타는 유니티의 기술을 HMI 개발 과정에 통합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재작업 최소화 및 개발 과정 최적화, 데이터 관리 간소화 등을 통해 모든 설계 및 엔지니어링 단계에서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

로봇카 2025.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