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6413

네이버, 내달 소형 휴머노이드 로봇 공개…“연내 사옥에 투입”

▲석상옥 네이버랩스 대표가 오늘(16일) 디지털 인사이트 포럼에서 개발 중인 휴머노이드 로봇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KAIT)네이버가 내달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와 공동 개발한 소형 휴머노이드 로봇을 공개한다. 연내에는 두 발로 걷는 로봇이 네이버 사옥 ‘1784’에 투입돼 커피, 도시락 배달 등 사내 시범 서비스에 나설 예정이다.​석상옥 네이버랩스 대표는 16일 오전 서울 강남구의 조선 팰리스 서울에서 개최된 디지털 인사이트 포럼에서 “지난 2019년부터 MIT와 협력해 개발한 휴머노이드 로봇이 실제로 만들어져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이 로봇은 네이버의 산학 협력을 통해 개발했다. 하드웨어는 MIT가, 제어 알고리즘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구팀이 담당했다. 구동은 네이버 로봇 클라..

ABB, 3분기 순이익 28% 급증…견조한 실적 발표

▲ABB의 스위스 본사 (사진=ABB)일본 소프트뱅크로의 로봇사업부 매각이 확정된 ABB가 지난 3분기 쾌조의 실적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스위스 로봇 및 자동화 전문기업 ABB는 2025년 3분기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28% 급증한 12억800만달러를 기록했다고 16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주당순이익(EPS)도 66센트로 29% 증가하며 시장 전망치를 상회하는 견조한 실적을 보였다.​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비 11% 증가한 90억8300만달러에 달했다. 특히 북미 지역에서의 강력한 수요와 전력 및 자동화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고객 투자가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ABB는 또 북미 지역에 2억1000만달러를 투자해 전력화 사업부의 현지 연구개발 및 제조 역량을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

산업용로봇 2025.10.17

이토 국제로봇연맹 회장, 내달 방한…20주년 로보월드 행사서 스페셜 강연

전 세계 로봇산업을 대표하는 가장 영향력 있는 비영리 국제단체인 국제로봇연맹(IFR)의 수장이 처음으로 한국을 방문한다.​한국AI·로봇산업협회(회장 김진오)는 오는 11월 5일부터 나흘간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전시장에서 국내 최대 로봇 전시회인 ‘2025 로보월드(ROBOT WORLD 2025)’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특히 20주년을 맞은 올해 행사에는 이토 다카유키 현 IFR 회장이 방한, 로보월드 2025와 함께 열리는 국제로봇심포지엄(ISR)의 스페셜 세션을 통해 ‘글로벌 로봇산업의 동향’을 주제로 특별 강연에 나설 예정이다. 현직 IFR 회장이 방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이토 회장은 또 로보월드 행사에도 참석해 IERA 어워드에서 직접 시상할 예정이다. IERA 어워드는 IEEE 산하 로보틱..

종합 2025.10.17

로보로드, 서울대기술지주 투자 유치…AI 도로복구 기술 실증·사업화 가속

▲로보로드는 최근 서울대기술지주로부터 2억원의 시드 라운드 투자를 유치했다. 왼쪽부터 곽태영 로보로드 CSO, 김남호 로보로드 대표, 목승환 서울대기술지주 대표.AI 도로 복구 로봇 개발 기업 로보로드(대표 김남호)는 최근 서울대기술지주로부터 2억원의 시드 라운드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투자는 로보로드의 기술력과 사업 비전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이루어졌으며, 기술 실증과 사업화 추진에 탄력을 더할 것으로 기대된다.​로보로드는 AI 기반 도로포장 관제⬝의사결정 시스템과 자율주행 복구 로봇을 결합한 ‘도로 포장 무인 유지관리 플랫폼’을 개발 중인 스타트업이다. 도로의 손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무인 로봇이 자동으로 복구하는 과정을 통해 도로 관리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

피지컬 AI 혁신기업 리얼월드, 2025 AWS AI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 합류

▲리얼월드가 자체 개발 중인 로보틱스 파운데이션 모델(RFM) 리얼덱스(RLDX) 시연 영상 (제공=리얼월드)피지컬 AI 선도기업 리얼월드(대표 류중희)가 AWS(Amazon Web Services, Inc.)에서 주관하는 ‘2025 AWS Generative AI Accelerator(생성형 AI 엑셀러레이터)’ 3기 프로그램에 선정되었다고 16일 밝혔다.​해당 프로그램은 생성형 AI를 활용해 복잡한 산업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 전 세계 유망 초기 스타트업을 발굴·육성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참가 기업은 AWS 크레딧, 멘토링, 학습 리소스 등 다양한 지원을 통해 AI 및 머신러닝(ML) 기술 활용 역량을 강화하고 사업을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이번 프로그램에는 전 세계 수천 개의 지원 기..

종합 2025.10.17

美 자빌, AI·데이터 센터용 확장형 서버 ‘J422-G’ 등 발표

▲자빌이 다음달 출시하는 J422-G 서버는 AI, 머신러닝, LLM, 고성능 컴퓨팅(HPC), 핀테크 분야의 고부하를 처리하도록 특별히 설계됐다. (사진=자빌)글로벌 엔지니어링, 공급망 및 제조 기술 공급업체인 자빌(Jabil)이 다음달 확장 가능한 새로운 인공지능(AI) 및 데이터 센터용 J422-G 서버를 출시한다.​로보틱스247은 13일(현지시간) 새너제이 OCP(Open Compute Project) 글로벌 서밋(10월 13~16일)에 참여 중인 자빌이 이같이 발표했다고 보도했다.​자빌은 J422-G 서버가 AI 및 데이터 센터 고객의 증가하는 요구를 충족할 것이라고 밝혔다.​◇최적화를 위해 설계된 프로세서 아키텍처​자빌은 J422-G 서버 프로세서의 마이크로아키텍처가 워크로드 최적화 가속기, ..

인공지능 2025.10.17

中 링커봇, 저지연 원격 조작 로봇핸드 시스템 발표

중국에서 다양한 설비 및 하드웨어와 연동해 사용할 수 있으면서 저지연 원격 조작이 가능한 로봇핸드 시스템이 공개됐다. ​중국 로봇 전문 포털 중국로봇망에 따르면 중국 로봇핸드 기업 링커봇(LINKERBOT, 灵心巧手)이 모듈형 로봇 원격조작 시스템 ‘오픈 텔레덱스(Open TeleDex)’를 발표했다.​이 시스템은 저원가 하드웨어 통합과 저지연 동기화 시간 등을 강점으로 내세웠다. 최근 원격 조작 기술이 발전하고 있지만 설비 호환성 부족이 문제로 꼽히는 가운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사용성을 강점으로 삼았다.​이 시스템은 개방형 원격 조작 시스템으로서, 모든 외부 장치와 로봇팔 및 로봇핸드를 모두 지원한다. 고정밀 원격 조작을 위한 통합 ‘제어-데이터-협업’ 시스템을 통해 로봇 원격 조작, 로봇 교육, 의..

中 아너 ‘로봇폰’ 공개...“로봇팔 달린 폰 카메라”

중국 로봇 기술이 스마트폰으로 확장되고 있다.​16일 중국 IT 전문 매체 콰이커지에 따르면 중국 스마트폰 브랜드 아너(HONOR, 荣耀)의 리진졔(李健揭) CEO가 일명 로봇 스마트폰 ‘아너 로봇폰(ROBOT PHONE)’을 발표했다.​아너에 따르면 로봇폰은 AI 성능을 강화한 대뇌를 보유해 언제 어디서나 모든 것을 이해할 수 있다.​이 제품은 내년 초 MWC에서 공개될 전망이다. 리 CEO는 “탐험은 끝이 없으며, 아너는 기술과 인간을 결합하는 가능성을 끊임없이 탐구할 것”이라며 “2026년 바르셀로나에서 만나자”고 언급했다.​아너가 공개한 로봇폰의 가장 큰 특징은 AI 두뇌, 로봇의 수행성, 전문가용 이미지를 통합했다는 점이다. 내장된 로봇팔 짐벌이 한 번의 클릭으로 펼쳐지면서 움직이고 완전히 자동..

종합 2025.10.17

中 휴머노이드 로봇 ‘촉각 센서’ 기업 200억원 투자 유치

중국 촉각 감지 기술 기업이 200억원 규모의 투자를 받아 기술 개발을 가속한다.​16일 중국 투자 전문 매체 터우쯔졔에 따르면 중국 센스로보틱스(Xense Robotics, 千觉机器人)가 1억위안(약 199억원) 규모의 시리즈 프리(Pre)-A 투자를 유치했다.​이번 투자는 포테라캐피탈(FORTERA CAPITAL, 孚腾资本)이 주도하고 중국 전기차 기업인 리오토(LiAuto, 理想汽车) 등 산업 자본, 그리고 기존 주주였던 중국 지엘벤처스(GL Ventures, 高瓴创投)도 참여했다.​투자금은 기술 연구개발과 상품 업그레이드, 인력 확충과 시장 유통망 확장 등에 쓰인다.​센스로보틱스는 지난해 5월 상하이(上海)에 설립된 멀티 모달 촉각 감지 기술 기업이다. 촉각 센서, 촉각 감지 알고리즘 및 촉각 제..

제이엠로보틱스, AX실무역량 강화를 위한 AI 휴머노이드 로봇 기반 피지컬 AI 교육센터 구축

주식회사 제이엠로보틱스(대표 김동진)는 AX실무역량 강화를 위한 AI 휴머노이드 로봇 기반 피지컬 AI 전문 교육 서비스 ‘AIFC(AI FRONTIER CENTER)’를 출시하고 본격적인 서비스에 들어간다고 밝혔다.​현재 산업용 로봇 교육과 훈련은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며 작업 변경시마다 재프로그래밍이 필요한 유연성 부족의 문제가 심각하고, 복잡한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와 전문성이 요구되는 문제로 기술의 보편화 및 대중화를 막는 매우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따라서, 이번 AX실무역량 강화를 위한 ‘AIFC’는 국내 최초 LLM(대규모언어모델) 기반의 고성능 인공지능 휴머노이드 로봇을 기반으로 고품질의 디지털 트윈 교육 환경에서 실제 산업 현장을 정밀하게 재현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시나리오 중..

종합 2025.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