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5920

현대엘리베이터-현대위아, 로봇 주차 솔루션 개발 맞손

왼쪽부터 백익진 현대위아 모빌리티솔루션사업부장과 이원해 현대엘리베이터 승강기사업본부장이 현대위아 의왕연구소에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뒤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현대엘리베이터와 현대위아가 미래형 로봇 주차 시장 선점을 위해 손을 잡았다.​양사는 28일 경기도 현대위아 의왕연구소에서 MOU 체결식을 가졌다. 행사에는 이원해 현대엘리베이터 승강기사업본부장과 백익진 현대위아 모빌리티솔루션사업부장 등 양측 관계자들이 참석했다.​현대엘리베이터와 현대위아는 미래형 로봇 주차 시대를 선도하겠다는 포부다. 그간 기계식 주차 시스템에 머물던 시장을 로봇과 결합해 미래형 ‘로봇 오토발렛 솔루션’을 선보인다는 것이다. 요약하자면 고객이 주차하는 데 소요되는 ‘대기 시간의 제로(Zero)화’ 실현이 가능해진다.​양사의 협..

엔닷라이트-크라우드웍스, 제조·로봇·피지컬AI 데이터 파이프라인 솔루션 개발 MOU

3D AI 기술 스타트업 엔닷라이트는 AI 테크 기업 크라우드웍스와 3D 제조 AI 데이터 파이프라인 솔루션 공동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이번 업무 협약은 제조, 로봇, 국방 및 향후 피지컬 AI 분야에서 고질적으로 제기되어 온 데이터 부족, 높은 데이터 구축 비용, 데이터 관리 플랫폼 부재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추진됐다.​양사는 엔닷라이트의 자체 AI 기반 3D CAD·합성 데이터 생성 기술 ‘트리닉스(TRINIX)’와 크라우드웍스의 AI 기반 데이터 구축 솔루션 ‘워크스테이지(Workstage)’, 고품질 LLM·비전 데이터 구축 역량을 결합해 산업 전반에 필요한 AI 데이터 파이프라인 솔루션을 공동 개발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생성 → 라벨링 → 품질..

종합 2025.08.29

로보티즈-씨메스, 물류·제조라인에 양팔형 휴머노이드 로봇 도입

씨메스 이성호 대표(왼쪽)와 로보티즈 김병수 대표(오른쪽)가 협약서를 들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로보티즈)로봇 전문기업 로보티즈(대표 김병수)는 28일, 인공지능(AI) 기반 로봇 응용 전문기업 씨메스(대표 이성호)와 피지컬 AI 기반 휴머노이드 로봇 상용화를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단순한 기술 제휴를 넘어 물류·제조 라인에 실제 투입 가능한 로봇 플랫폼 개발에 집중한다. 양사는 “현장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는 로봇 도입을 적극 검토 중”이라고 강조하며, 양팔형 휴머노이드 로봇 생태계 구축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로보티즈는 원천기술인 액츄에이터(Dynamixel) 기반의 정밀 하드웨어 및 구동 시스템 개발을 담당하며, ROS 기반 통합 플랫폼과 물류·제조 현장 최적화를..

인튜이티브 서지컬, 캘리포니아 본사 331명 감원

수술용 로봇 전문 기업인 인튜이티브 서지컬(Intuitive Surgical)이 캘리포니아주 서니베일 본사에서 총 331명의 직원을 해고할 계획이다.​의료 전문 매체 ‘매스디바이스’에 따르면, 인튜이티브 서지컬은 이달 21일 캘리포니아 당국에 ‘근로자 조정 및 재훈련 통지서(WARN)’를 제출했으며, 주 당국은 22일 이를 처리했다. 인력 감축은 2025년 10월 27일부터 효력을 발생한다.​이번 해고는 회사 전체 인력 1만5638명 중 약 2%를 차지한다. 인튜이티브는 WARN 통지서에서 “글로벌 ‘허브 모델’ 구축의 일환으로 10월 23일과 24일 각각 심야 및 주말 교대 근무를 종료하며, 10월 27일부터 근무 모델을 전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캘리포니아 고용개발국(EDD)의 통지서에 따르면, 이..

“현대차 조지아주 신공장, 로봇 도입 확대에도 인간 손길 필수”

산업용 로봇이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자동차 제조 공정(사진=현대자동차)현대자동차그룹이 미국 조지아주 서배너 인근에 건설한 최신 자동차 공장은 750대의 산업용 로봇과 수백 대의 무인운반로봇(AGV)이 가동되는 첨단 생산 현장이다. 산업용 로봇들이 자재 운반, 용접, 부품 장착 등 다양한 공정을 담당하며 공장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차량 생산의 완성도를 결정하는 데는 인간의 손길이 필수적이다.​월스트리트저널은 25일(현지 시각) “미국의 최신 자동차 공장은 로봇으로 가득하지만, 여전히 인간의 손길이 필요하다”라는 제하의 기사에서 자동차 제조라인에 많은 로봇들이 도입돼 운영되고 있지만 자동차 품질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여러 부분에 여전히 작업자의 세심한 손길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펼쳤다...

산업용로봇 2025.08.28

中 가정용 휴머노이드 로봇 1만 대 공급 계약 체결...세계 최대 규모

중국에서 1만 대 규모의 가정용 휴머노이드 로봇 공급 계약이 체결됐다. 건강 관리 및 방범 기능을 갖춘 로봇이 1000만 원 이하의 가격대로 대규모 상용화될 것이란 기대다.​28일 중국 IT 전문 매체 IT즈자에 따르면 중국 티티봇(ttbot, 天太机器人)은 VVLAI(山东未来机器人技术), 산둥미래데이터과기(山东未来数据科技), HK로보틱스(HK ROBOTICS, 港仔机器人)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휴머노이드 로봇 1만 대 주문계약을 체결했다. 이는 세계 최대 규모의 휴머노이드 로봇 주문 수량이다. ​티티봇이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및 설계, 제품 양산 등을 맡아 1세대 시제품을 올해 10월 출시, 납품할 예정이다.​티티봇은 산업용 로봇 본체와 핵심 부품 등을 개발 및 생산하는 기업으로 2014년 설립됐다..

현대모비스, 로봇용 액추에이터 시장 진출한다

현대모비스가 로봇용 액추에이터 시장에 진출한다.​현대모비스는 지난 27일 여의도 페어먼트 호텔에서 투자자와 애널리스트, 신용 평가사 담당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2025 CEO 인베스터 데이’를 개최하고, 로봇용 액추에이터 사업 진출 계획을 밝혔다.​이날 행사에서 현대모비스 이규석 사장은 지난 3월 발표한 회사 신규 비전을 기반으로 회사의 미래 사업 방향인 ▲선도 기술 경쟁력 확보 ▲수익성 중심 사업체질 개선 ▲글로벌 고객 확대 본격화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 전략과 성과를 제시했다. ​이규석 사장은 이날 로보틱스 사업 분야 액추에이터 시장 진출 계획을 처음으로 밝혔다. 그동안 자동차 부품 개발과 양산 경험을 토대로 차량 조향 시스템과 기술적으로 유사성이 높은 액추에이터 분야에서 신사업 기회를 찾기로 했다는..

킨텍스, 오는 9월 17~19일 ‘2025 한국건설·안전박람회’ 개최

드론 시설물 점검 솔루션(사진=벨로넥스)킨텍스는 오는 9월 17~19일 개최하는 ‘2025 한국건설·안전박람회’에 첨단기술 솔루션에 기반한 ‘스마트 건설안전관리’ 기술들을 대거 선보인다고 밝혔다.​‘스마트 건설안전관리’는 축적된 데이터와 AI, 로봇, 드론 등 첨단 기술을 적용해 건설현장의 재해 요소를 사전에 예방하고 신속히 대응하는 시스템이다. 기존처럼 법적 규제, 인력투입, 관리자의 숙련도에 의존하던 방식과 달리 고질적 사고 해결과 정부 안전정책 부응에 기여하는 혁신적 솔루션들이 주요 전시품목이다. ​특히, 이번 박람회에는 전체 참가기업의 65% 이상이 AI를 비롯한 첨단 기술을 활용한 신제품을 선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사전 설계 단계에서의 위험 예측부터 예방, 현장 대응까지 건설 안전 전 과정을 아..

종합 2025.08.28

국토부, ‘K-UAM’ 2028년 상용화

국토교통부는 29일 오후 서울에서 강희업 2차관(위원장) 주재로 ‘UAM Team Korea(이하 UTK)’ 제8차 본협의체 회의를 개최하면서, 2028년 K-UAM 상용화 추진 목표를 발표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안건을 심의한다.이번 회의에는 글로벌 상용화 지연으로 침체된 K-UAM 시장에 상용화 목표 발표를 통해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고, 그간 UTK 워킹그룹을 통해 민‧관이 함께 마련한 K-UAM 운용개념서 개정(안), 기술경쟁력 강화 방안, UTK 운영체계 개편안 등 상용화 준비 전략을 집중 논의할 예정이다.5개 실무분과 및 13개 워킹그룹(WG) 구성도이번 회의에서 논의되는 심의안건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 K-UAM 운용개념서(Concept of Operations, ConOps) 개정​..

정책 2025.08.28

日 화낙, 신형 기계가공 로봇 ‘M-810’ 공개

일본 산업용 로봇 전문기업 화낙(FANUC)은 신형 기계가공 로봇 'M-810’을 공개했다고 밝혔다. ​이번 신제품은 기존 M-800 시리즈를 대체하는 모델로, 작업 범위는 약 1.3배 확대됐으며, 절삭 부하 대응력은 약 3.4배 향상됐다. 높은 절삭 부하 대응력은 로봇이 더 큰 힘과 저항에도 흔들리지 않고 정확한 경로로 절삭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M-810은 자동차 부품 등 대형 기가 캐스팅 가공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됐다. 고강성 구조와 정밀 보정 기술을 적용해 강한 가공 반력에도 경로 정확성을 유지하며, 밀링·드릴링 등 다양한 금속 가공에서 기존 모델보다 높은 성능을 발휘한다.​또한, IP67 등급의 방진·방수 설계로 건식과 습식 가공 환경 모두에서 사용할 수 있어 활용 범위가 넓다..

산업용로봇 2025.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