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1149

美 헴닷에이아이, 생성형 AI 모델 ‘젠심-2’ 공개

▲미국 헴닷에이아이의 젠심-2는 사용자가 생성적 AI를 사용해 비디오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사진=헴닷에이아이) 자율주행차 개발자들이 곧 생성형 인공지능(AI)을 사용해 도로에서 수집한 데이터에서 더 많은 것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미국 헴닷에이아이(Helm.ai)가 자율주행차량을 위한 비디오 데이터를 만들고 수정하기 위한 새로운 생성형 AI 모델인 젠심-2(GenSim-2)를 공개했다고 더로봇리포트가 보도했다. 이 회사는 이 AI 모델이 동적 날씨 및 조명 조정, 객체 모양 수정, 일관된 멀티 카메라 지원을 포함한 AI 기반 비디오 편집 기능을 도입했다고 밝혔다. 헴닷에이아이는 이러한 진전이 자동차 제조업체에 데이터 세트를 풍부하게 하고 자율주행차 개발시 코너 케이스의 롱테일을 해결하는 확..

인공지능 2024.12.30

생성형 인공지능으로 제작한 장편 영화, 내년 말 인도에서 개봉한다

생성형 인공지능(AI) 도구로 제작한 장편 영화가 내년 말 인도 극장에서 개봉한다. IEEE 스펙트럼 보도에 따르면, 인도 찬디가르에 본사를 두고 있는 스타트업 ‘인텔리플릭스 스튜디오(Intelliflicks Studios)’는 인도 유명 작가인 쿠슈완트 싱(Khushwant Singh)의 2014년 소설 '마하라자 인 데님스'를 스크린용으로 각색해 생성형 인공지능 영화로 제작하고 있다. 이 소설은 19세기 시크교 제국의 창시자인 마하라자 란짓 싱(Maharaja Ranjit Singh)의 환생이라고 믿는 한 청년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인텔리플릭스 스튜디오는 이 영화의 트레일러 동영상을 공개했다. 쿠슈완트 싱은 볼리우드의 스튜디오 사장들이 소설의 영화 판권을 두차 례에 걸쳐 구매했지만, 여러 시기에 걸..

인공지능 2024.12.26

법제처, ‘지능형 법령검색 서비스' 23일 개통

▲ 지능형 법령검색 시스템 화면 예시 법제처(처장 이완규)는 국가법령정보센터(www.law.go.kr)를 2009년에 처음 오픈한 이후 15년 만에 인공지능(AI)을 이용한 지능형 법령검색 시스템을 개발하여 23일에 새롭게 정식 개통한다고 밝혔다. 지금까지는 국가법령정보센터에서 정확한 법령명이나 법령에 규정된 용어를 입력해야 검색이 가능했지만, 지능형 법령검색 시스템을 이용하면 정확한 법령용어를 몰라도 사용자가 생활 속의 용어로 된 질문을 하면 인공지능(AI)이 그 질문의 의도를 분석하여 원하는 법조문을 신속하게 찾아준다. 지능형 법령검색 시스템 개통까지의 과정을 살펴보면, 2022년부터 2023년까지는 법령 총 5218건에 대한 법령용어, 일상용어와의 관계, 법령 간 관계 정보를 담은 지식베이스 약 7..

인공지능 2024.12.23

개인정보위원회, AI 프라이버시 리스크 관리 모델 제시

▲ AI 프라이버시 리스크 관리의 절차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AI 기업이 자율적으로 프라이버시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도록 '안전한 인공지능(AI)·데이터 활용을 위한 AI 프라이버시 리스크 관리 모델'을 공개했다. 이러한 리스크 관리 모델에는 AI 생애주기에 걸친 프라이버시 리스크 관리의 방향과 원칙, 리스크 유형, 경감방안을 체계적으로 담았다. AI 시대의 데이터 처리방식은 개인정보 유·노출 등 전형적 프라이버시 리스크는 물론 딥페이크로 인한 인격권 침해 등 새로운 리스크를 유발하고 있다. 이러한 리스크를 적정하게 관리하는 것은 정보주체의 보호뿐만 아니라 지속 가능하고 신뢰할 수 있는 AI를 위해 필수적이고, 리스크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비례적, 합리적 경감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인공지능 2024.12.19

마음AI-퀄컴, 'CES 2025'서 온디바이스AI 성과 공개

EAI(Embodied AI) 선도 기업인 마음AI가 내년초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5'에서 퀄컴 테크날러지스(Qualcomm Technologies)와 온디바이스 AI 협력 성과를 공개한다. 마음AI는 이번 전시회에 LLM 기반 음성 대화 제품인 'SUDA'를 내세운다. 'SUDA'는 퀄컴 QCS6490 프로세서 기반 퀄컴 RB3 2세대 플랫폼을 탑재해 음성 대화를 위한 STT, LLM, TTS 를 지원한다. 인터넷 연결 없이 디바이스 상에서 음성 대화가 가능하도록 해준다. 스마트홈 , 운송, 창고 관리, POS 키오스크, 커넥티드 헬스케어, 물류 관리 등 산업용 IoT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플랫폼이다. 마음AI는 퀄컴과의 협업을 통해 QCS6490 프로세서에 STT, LLM(Llama..

인공지능 2024.12.17

서울 AI 허브, 인도와 손잡고 글로벌 AI 협력 본격화

▲ 박찬진 서울 AI 허브 센터장(가운데, 스짓 자기르다르 T-Hub 대표(왼쪽 세번째)(사진=서울 AI 허브) 서울시의 서울 AI 허브(센터장 박찬진)가 AI 생태계 교류 및 AI 산업 발전을 위해 인도의 주요 AI 기관들과 힘을 합쳤다. 서울 AI 허브는 6일 인도 델리에서 인도공과대학교 델리캠퍼스(IIT Delhi)의 야디 인공지능대학원(Yardi School of AI)과 업무협약(MOU) 체결에 이어, 12월 9일 인도 하이데라바드에서 인도의 스타트업 생태계를 이끄는 T-Hub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AI 연구와 산업 협력을 아우르며, 양국 AI 스타트업 간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생태계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마련됐다. 서울 AI 허브는 두 기관과의 협약을 통해..

인공지능 2024.12.16

KAIST, 인간의 인지 방식과 유사한 AI 모델 개발

KAIST 연구진이 인간의 인지 방식을 모방해 이미지 변화를 이해하고, 시각적 일반화와 특정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했다. KAIST는 전기및전자공학부 김준모 교수 연구팀이 변환 레이블(transformational labels) 없이도 스스로 변환 민감 특징(transformation-sensitive features)을 학습할 수 있는 새로운 시각 인공지능 모델 STL(Self-supervised Transformation Learning)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시각 인공지능 모델 STL은 스스로 이미지의 변환을 학습하여, 이미지 변환의 종류를 인간이 직접 알려주면서 학습하는 기존 방법들보다 높은 시각 정보 이해 능력을 보였다. 특히, 기존 방법론들을 통해 학습..

인공지능 2024.12.13

국세청, AI 기반 사이버 보안관제 시스템 본격 가동

▲ 국세청과 AI의 만남 사진 국세청은 해킹 등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납세자의 과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AI(인공지능) 기반의 사이버 보안관제 시스템을 구축하고 12월부터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2003년 보안관제 시스템을 최초 도입한 이후 IT(정보기술) 발전 속도에 맞춰 단계적으로 고도화하여 지능화되는 해킹공격을 빈틈없이 방어해 왔다. 그러나, 챗GPT의 등장으로 촉발된 AI기술의 급격한 발전은 업무효율 향상 등 일상에 다양한 편리함을 주는 한편, 해킹도구로의 악용 가능성도 열었다. 챗GPT는 해킹 방법 등 악의적 질문에 구체적 답변을 하지 않도록 설계되었지만 이러한 기능을 우회하는 수법이 인터넷에 버젓이 공개되어 있어 일반인에게 해킹의 문턱이 점점 낮아지고 있다. 또한, 최근 북한이 AI로 ..

인공지능 2024.12.11

아크릴, 영남 제조업 대상 AI 도입 컨설팅 사업 추진

인공지능 전문기업 아크릴(대표 박외진)이 영남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제조업 AI 도입 컨설팅’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울산, 경남, 경북, 부산, 대구 등 영남 5개 지역 25개 기업을 대상으로 제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인공지능 컨설팅을 제공한다. 지난 11월 15일부터 12월 18일까지 진행되며, 내년 2월까지 전담팀을 운영해 제조업체에 대한 인공지능 도입 추가 지원을 할 계획이다. 아크릴은 각 기업의 특성과 요구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AI 전문가와 25년 이상의 경력을 지닌 공정 전문가로 구성된 지역팀을 운영하고 있다. 각 기업의 경영진 및 실무진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기업의 업무 및 공정 현황, 정보시스템 분석, 데이터 및 AI 보유 현황 등을 분석할 계획이다. ..

인공지능 2024.12.05

산업부, '대화형 테크-GPT 플랫폼' 구축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일 서울 콘래드 호텔에서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국전자정보통신진흥회, 한국생산기술연구원과 ‘테크-GPT 프로젝트 협약식’을 개최했다. 이번 협약식은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 기술을 적용해 전 세계의 기술, 기업, 인재 정보를 탐색할 수 있는 테크-GPT 플랫폼 구축(2024~2028)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리는 자리다. 이 프로젝트는 지난 9월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3차 인재양성전략회의에서 발표된 '글로벌 개방 혁신을 위한 첨단산업 해외인재 유치ㆍ활용전략'의 후속조치이다. 민관이 함께 구축하게 될 테크-GPT는 미국, 중국, 독일, 일본, 유럽연합(EU) 등 주요 5개국에 등록된 1억 1천만 건의 특허와 최근 발표된 2억 2천만 건의 국내외 논문 등을 학습하여, 내년 하..

인공지능 2024.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