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25 13

‘과학기술혁신’ 정책 분석하는 생성형 AI 등장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개발한 생성형 AI 서비스 키스텝젠(KISTEP-GEN) 실행 화면(이미지=KISTEP) 과학기술정책을 전문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생성형 인공지능(AI)이 등장했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은 과학기술혁신 정책 분야에 특화된 소형언어모델(SLM: Small language Model) ‘스파크(SPARK: S&T Policy Analytics Reasoning Model by KISTEP)’를 개발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과학기술 정책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생성형 AI 서비스 키스텝젠(KISTEP-GEN) 역시 구축했다고 25일 밝혔다. 스파크는 과학기술혁신 정책 분야에 특화된 AI다. 오픈소스 AI 모델(Gemma 27B, Mistral 12B)에 국..

인공지능 17:35:22

“3만분의 1 전력이면 충분”… 초저전력 웨어러블 플랫폼 등장

착용형(웨어러블) 로봇이나 로봇의수, 로봇의족 등의 보조기기 등의 다양한 인체 착용형 로봇 장치가 실용화 수준에 도달하면서, 신체 움직임이나 심박수 등 생체 정보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 기술은 센서, 연산, 디스플레이 기능이 개별적으로 동작해 시스템이 복잡하고, 데이터 처리 지연이나 전력 소모가 크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런 가운데 기존 스마트워치보다 전력 소모가 3만 배 이하로 낮출 수 있는 기술이 새롭게 개발됐다. 한국연구재단은 연세대 박철민 교수, 고려대 왕건욱 교수 공동팀이 센서-시냅스-디스플레이 기능을 단일 소자로 융합한 ‘초저전력 뉴로모픽(뇌신경구조) 기반 일체형 AI 디스플레이 소자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스마트워치 등의 기존 웨어러..

일본 초소형 달 탐사 로버 '야오키', 달 탐사 "준비 끝"

▲ 달 탐사 로버 야오키(사진=다이몬) 일본 로봇·우주기술 개발 벤처기업인 다이몬(Dymon)은 초소형·초경량 달 탐사 로버 ‘야오키(YAOKI)’의 달 착륙선 탑재 작업을 완료했다고 25일 밝혔다. 달 탐사 로버인 야오키는 무게 498g, 크기 15*15*10cm의 초소형·초경량·고강도 로봇으로, 달 표면을 자유롭게 주행하면서 촬영, 데이터 송신 등 업무를 수행한다. 다이몬은 인튜이티브 머신즈(Intuitive Machines)의 달 착륙선 ‘노바(Nova)-C’(통칭, 아테나)에 야오키를 탑재하는 작업을 완료, 현재 발사를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다. 발사 시점은 이달 27일 이후로 잡혔으며, 발사후 약 8일이 지나 달에 착륙할 예정이다. 노바-C 착륙선은 스페이스X의 '팔콘 9'에 실려 플로리다주 케이..

레나투스 로보틱스, 범용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한다

무인창고 전문 스타트업 레나투스 로보틱스(RENATUS Robotics)가 범용 휴머노이드 로봇 ‘도모다치(가칭)’의 개발을 시작했다고 25일 밝혔다. 레나투스 로보틱스는 2022년 5월 도쿄대와 UC 버클리 출신이 설립한 자동창고 시스템 분야 스타트업으로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본사를 두고 있다. 지난 2023년 5월 e-로지트로부터 약 1억 4천만달러(약 2000억원)의 자금을 조달하면서 주목받았다. 도모다치는 물류창고나 공장에서 입하 및 출하 작업, 공장내 물자 운반 등 업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레나투스 로보틱스는 그동안 통합형 메가 자동창고 '레나투스'와 픽킹 로봇 '아담(ADAM)'을 개발해왔다. 이들 시스템은 EC 출하창고의 전체 작업량 중 60~65%를 자동화하는 데 성공했지만 나머지 작업인 '..

배달의민족, 강남 일대 B마트 로봇배달 서비스 시작

▲ 서울 강남구 역삼동 일대에서 배달 업무를 수행 중인 딜리가 B마트 PPC에서 상품을 적재 후 배달목적지까지 이동하고 있다. (사진=우아한형제들) 배달의민족이 서울 강남 일대에서 무인 자율주행 로봇배달을 시작한다. 수년간 자체기술로 대학교, 아파트 단지, 쇼핑몰 등 제한된 공간에서 테스트를 진행한 배민은 사람과 차량이 자유롭게 오가는 이면도로를 누비는 고도화된 로봇 배달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배민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대표 김범석)은 25일부터 서울 강남구 논현동과 역삼동 내 일부 지역에서 배민B마트 로봇배달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배민이 자체기술로 선보이는 로봇배달 서비스는 강남 지역 내 B마트 도심형 유통센터(Pick Packing Center, PPC)를 중심으로 장보기, 쇼핑..

中 "휴머노이드 로봇, 리튬 배터리 수요 성장 견인"

중국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이 리튬 배터리 수요를 성장시킬 것이란 전망이 제기됐다. 24일 중국 언론 정췐르바오는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의 고속 성장이 리튬 베터리 수요를 지속적으로 견인하면서 산업 생태계내 주요 기업의 성장을 촉진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기업 유니트리(Unitree, 宇树科技)의 휴머노이드 로봇 'H1'에는 15Ah 리튬 배터리가 탑재됐다. 중국 하이파워(HIGBPOWER, 豪鹏科技)는 'AI+어린이 동반자' 컨셉의 주요 로봇 브랜드에 배터리 시제품을 납품했다. 중국 선전에 위치한 배터리 전문 기업인 하이파워는 올해 대량 생산 단계에 진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배터리 기업 썬워다(SUNWODA, 欣旺达)는 회사의 반고체 배터리 에너지 밀도가 500Wh/kg이며, 청소 로봇 ..

中 로보센스, 세계 최초로 라이다 '100만대' 출하

중국 로봇 시장에 라이다(LiDAR)를 공급하는 기업이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성장에 발맞춰 세계 최대 규모의 라이다 출하 기록을 세웠다. 25일 중국 언론 IT즈자에 따르면 중국 로보센스(robosense, 速腾聚创)가 선전(深圳)에서 100만 대째 라이다 출하 행사를 열었다. 로보센스는 세계 최초로 고선수(高线数) 라이다 100만 대를 출하한 기업이 됐다. '고선수'는 라이다의 선(线) 수가 많다는 의미로, 통상 라이다의 스캔 성능과 정밀도를 대변한다. 고선수 라이다는 더 상세한 환경 정보를 감지하고 복잡한 도시 주행에 쓰일 수 있어 자율주행 자동차, 로봇 등의 주변 환경 감지에 쓰인다. 이날 로보센스는 정식으로 풀사이즈 범용 휴머노이드 로봇 '칭룽(青龙)'에 100만대째 라이다 'E1R'을 공급했다...

현대자동차·기아-삼성SDI, 로봇 전용 배터리 공동 개발한다

현대자동차·기아는 24일 의왕연구소에서 삼성SDI와 ‘로봇 전용 배터리 공동 개발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현대자동차·기아 로보틱스랩장 현동진 상무와 삼성SDI 소형사업부 전략마케팅팀장 조한제 부사장이 참석했다. 이번 협력은 양사가 각각 보유한 자원과 전문 기술 역량을 한 곳에 모아 로봇 최적화 배터리를 개발하고, 다양한 서비스 로봇에 탑재하겠다는 공동의 목표에 따른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로봇 산업군에서는 전용 배터리의 부재로 전동 공구나 경량 전기 이동수단(LEV : Light Electric Vehicle) 등에 쓰이는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다. 하지만 구조가 복잡하고 비정형적인 로봇의 특성상 배터리 탑재 공간이 제한적인 데다가 규격에 맞춰 작은 셀을 적용하면 출력 용량도 함께..

플로틱, 영국 '물리적 AI' SW 시장 공략한다

▲ 코번트리 물류 허브 전경(사진=플로틱) 플로틱(대표 이찬)이 영국 시장을 시작으로 물리적(Physical) AI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해외 시장에 선보인다고 25일 밝혔다. 플로틱은 창고 실행 시스템(WES), 자율주행 로봇(AMR), 스마트 픽킹 기술을 결합해 AI 기반 자동화 최적 솔루션을 제공하며, 이번 영국 진출을 통해 유럽 시장 공략의 전략적 교두보를 마련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영국 물류의 중심지인 코번트리(Coventry)에 위치한 2만 피트 규모 파트너사의 데모 센터에서 해당 AI 소프트웨어의 실증 시연을 진행할 예정이다. 플로틱이 영국을 첫 해외 진출 시장으로 선택한 이유는 영국은 유럽 물류 허브로서 DHL, UPS, 페덱스(FedEx) 아마존 등 글로벌 물류 기업들의 주요 거점이 밀집..

2025년 로보월드, 20주년 맞아 '1000부스 시대' 연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로봇산업협회,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제어ㆍ로봇ㆍ시스템학회가 공동 주관하는 국내 최대 로봇 전시회인 2025 로보월드(ROBOTWORLD)가 고양시 킨텍스 제1전시장 1~3홀에서 11월 5일부터 8일까지 나흘간 개최될 예정이다. 한국로봇산업협회(회장 김진오)는 이번 로보월드가 국내외 350개사, 1000부스 규모로 역대 최대 규모의 전시회로 구성하고,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휴머노이드 로봇, 피지컬 AI, 자율 제조 뿐만 아니라 제조업용 로봇ㆍ스마트팩토리ㆍ자동화, 전문·개인 서비스용 로봇, 자율주행ㆍ물류로봇, 의료ㆍ재활ㆍ국방로봇, RaaS, 로봇부품ㆍSW 등 로봇분야 모든 제품군들이 전시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국제로봇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R..

종합 16:5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