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20 11

스티얼 테크놀로지스, 연마 작업용 휴머노이드 로봇 발표

▲ 연마 작업용 휴머노이드 로봇 스티얼 스티븐(사진=스티얼) 스티얼 테크놀로지스(Stial Technologies)가 연마 작업에 특화된 휴머노이드 로봇 ‘스티얼 스티븐(Stial Steven)’을 발표했다. 스티얼 테크놀로지스는 캐나다 토론토에 R&D 센터를 두고 있으며 중국 우시, 장수 등에 본부를 두고 있다. 스티얼 테크놀로지스는 지난 14일 6D 힘센서 선도 기업인 STF코어(중칭 테크놀로지)를 전략적으로 인수했으며, 동시에 세계 최초로 연마 작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휴머노이드 로봇 ‘스티얼 스티븐’을 내놓았다고 밝혔다. 실제 로봇이 동작하는 모습을 공개하지는 않았다. 스티얼은 “이같은 이니셔티브가 지능형 연마 기술에 대한 스티얼의 노력을 가속화할 뿐만 아니라, 산업용 및 휴머노이드 형태의 로봇..

한국로봇산업진흥원, 글로벌 로봇센터 구축 위해 베트남 방문

▲지난 18일 베트남 하노이 VKIST를 방문한 한국로봇산업 관계자들이 VKIST 원장 등 베트남 관계자들과 회의를 하고 있다. [베트남 하노이]한국로봇산업진흥원(원장 강철호)이 수요 시장 분석 및 기업 현지 경영 활동을 위한 글로벌 거점 마련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한국로봇산업진흥원 김종헌 전문위원을 비롯해 건솔루션 김삼성 대표, 유진로봇 김종현 전무 등 기업 관계자들이 18일 베트남 하노이에 위치한 VKIST를 방문해 부 득 러이 원장, 팜 두이 혹 전기기계연구소 책임연구원 등 관계자들을 만나 한-베트남 로봇 관련 협력 방안을 협의하고 현지 업무 시설을 둘러봤다.  ▲VKIST 본관 앞 모습  ▲VKIST 본관과 연구동 모습  ▲VKIST 연구동 모습 VKIST는 KIST와 KOICA가 베트남의 현대화..

종합 2025.02.20

로보락, 신형 ‘S9’ 시리즈 발표… 보안 이슈 의식 ‘안심 설계’ 강조

▲ 20일 열린 '2025 로보락 론칭쇼'에서 모델들이 2025년 플래그십 로봇청소기 ‘S9 맥스V 울트라(S9 MaxV Ultra)’와 ‘S9 맥스V 슬림(S9 MaxV Slim)’을 선보이고 있다(사진=로보락) 중국 고성능 로봇청소기 기업 ‘로보락’이 2025년 플래그십 로봇청소기 ‘S9 맥스V 울트라(S9 MaxV Ultra, 이하 울트라)’와 ‘S9 맥스V 슬림(S9 MaxV Slim, 이하 슬림)’ 모델을 국내에 새롭게 출시했다. 로보락은 20일 오전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호텔 그랜드볼룸에서 ‘2025 로보락 론칭쇼’를 개최하고 두 신형 모델을 공개했다. 화제의 중심에 있던 ‘양말 치우는 로봇 청소기’의 론칭은 좀 더 기다려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 행사에서 로보락은 한..

제주도교육청, 조리로봇 시범 도입 추진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은 20일 질 높고 행복한 학교급식 운영을 위해 학교급식비 7% 인상 및 조리로봇 시범 도입을 통한 쾌적하고 안전한 급식환경 개선을 적극 추진키로 했다. 질 높은 급식 제공을 위해 물가인상률 및 배추김치 완제품 도입 검토에 따른 추가 비용을 반영하여 학교급식비 단가(무상급식비ㆍ친환경식품비)를 7% 인상하고 제주산 친환경 식재료 및 비유전자 종합식품(Non-GMO) 등 우수 식재료 사용을 통해 질 높고 건강한 학교급식 운영을 도모한다. 조리로봇 시범 도입 및 현대화‧자동화 기구 보급·확충을 통해 쾌적하고 안전한 학교 급식실을 구축한다. 특히 올해 신규사업으로 추진하는 조리로봇 시범 도입은 학교급식 조리과정에 조리로봇과의 협업으로 조리종사자 업무경감 및 쾌적하고 안전한 급식환경을 조성하는데..

정책 2025.02.20

중국로봇망이 소개한 협동 로봇 분야의 강자들

19일 중국로봇망은 최근 몇 년간 중국 지능형 제조 분야의 급속한 발전으로 중국산 협동 로봇 시장도 활기를 띄고 있다며, 지능형 제조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는 협동 로봇과 부품업계 강자들을 소개했다. 그러면서 중국산 협동 로봇 분야 업이 기술 혁신과 시장 개척, 상품 응용 등 부문에서 우위를 갖고 있다고 분석했다. 주요 기업들을 소개한다. 1. 두봇(DOBOT, 越疆机器人) 두봇은 협동 로봇 분야 선두기업으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핵심 알고리즘, 지능형 제어 등 기술을 자체 개발했다. 제품별로 0.25~20kg의 탑재 능력을 갖춘 로봇 포트폴리오를 갖추고 있다. 특히 최근들어 차세대 협동 로봇 'CRA20'이 자동차, 가전, 식품 등 산업에서 좋은 성과를 내고 있다. 이 로봇은 고하중 물류나 복잡한 제어..

산업용로봇 2025.02.20

레인보우로보틱스-테크타카, 물류 자동화 사업 업무협약 체결

▲ 레인보우로보틱스 이정호 대표와 테크타카 양수영 대표 등 양사 임원진이 '물류자동화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식’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좌측부터) 임정수 레인보우로보틱스 기술이사, 이정호 레인보우로보틱스 대표, 양수영 테크타카 대표, 이경욱 테크타카 최고기술책임자 로봇 플랫폼 전문기업 레인보우로보틱스(대표 이정호)가 글로벌 통합 물류 플랫폼 ‘아르고’를 운영하는 테크타카(대표 양수영)와 ‘물류 자동화 사업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양사는 물류센터 현장에 최적화된 운영 솔루션을 제공하여 고객사의 비용 절감과 출고 효율 극대화에 기여할 계획이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이번 협약에 앞서 소형 물류로봇 ‘RBM-S100’ 5대를 테크타카에 납품해 사전검증(PoC)을 진..

中 휴머노이드 로봇 '링바오 카스봇', 누적 200억원 규모 투자금 유치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링바오 카스봇(CASBOT)' 시리즈를 공급하는 중국 베이징중커후이링(中科慧灵)이 최근 신규 투자를 받아 누적 투자 유치금액이 1억 위안(약 197억 5300만 원)을 넘어섰다. 투자자는 레노버캐피탈(Lenovo Capital, 联想创投), SDIC유니티캐피탈(SDIC UNITY CAPITAL, 国投创合), 허난자산기금(河南资产基金) 등이다. 투자금은 주로 휴머노이드 로봇 양산 및 핵심 기술 개발에 쓰인다. 회사의 로봇 브랜드인 '링바오(灵宝) 카스봇'의 시장 경쟁력을 높일 계획이다. 기술, 제품, 현장을 통합하면서 응용 프로그램을 확장하고 풀스택 기술 등 개발에 적극 나선다. 회사는 2023년 설립 이후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에 주력해왔다. 지능형 로봇, 정밀 조립, 비전 서보 제..

S2W, 롯데멤버스에 생성형 AI 플랫폼 ‘SAIP’ 공급

빅데이터 분석 AI 기업 에스투더블유(S2W, 대표 서상덕)가 롯데멤버스에 산업용 생성형 인공지능(AI) 플랫폼 ‘SAIP(S2W AI Platform)’를 공급했다고 20일 밝혔다. SAIP는 올해 2분기에 롯데그룹 제휴사를 대상으로 시범 도입될 롯데멤버스 트렌드 분석 AI 서비스 ‘세그먼트 랩(Segment Lab)’의 기반 플랫폼으로 납품됐다. S2W가 롯데이노베이트와 공동 개발한 세그먼트 랩은 롯데그룹 통합 멤버십 ‘엘포인트(L.POINT)’의 약 4300만 회원 소비 데이터와 외부 뉴스 데이터를 결합해 트렌드 분석과 예측을 자동화한 생성형 AI 플랫폼이다. SAIP의 차별화된 도메인 특화 대규모 언어모델(LLM) 기술과 온톨로지(Ontology) 기반 지식그래프, 검색·증강·생성(RAG) 기능 ..

인공지능 2025.02.20

美 심포니 로보틱스, 마이크로 로봇팔 기술 라이선싱

▲미국 심포니 로보틱스가 특허 출원 중인 기술은 마이크로 로봇 팔, 실시간 컴퓨터 비전, AI를 결합한다. (사진=심포니 로보틱스) 미국 클리블랜드에 본사를 둔 심포니 로보틱스가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대(CWRU)로부터 새로운 자기공명영상(MRI) 유도, 자기 작동 방식의 로봇 팔 기술 사용허가를 받았다고 더로봇리포트가 보도했다. CWRU의 기술은 로봇 수술시 비선형 궤적을 탐색해 실시간 안내를 통해 정밀하고 미세 침습적 수술을 가능케 한다. 심포니 로보틱스는 마이크로 로봇 팔과 실시간 컴퓨터 비전 및 최첨단 인공지능(AI)을 결합한 로봇 기반 미세 침습 뇌암 수술 기술을 발전시킬 계획이다. 이 회사는 처음에는 신경외과 의사의 복잡한 미세 수술시 향상된 기능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게 된다. 이들은 뇌암(..

獨 이구스, 산업용 4축 델타 로봇 ‘DR1000’ 발표

▲독일 이구스의 DR1000은 1m의 작업 직경에 물품을 잡고 방향을 정하는 추가 회전 축을 포함한 4자유도, 사용자 정의가 가능한 모듈형 설계가 특징이다. (사진=이구스) 모션 플라스틱 구성 요소 및 자동화 시스템 공급업체인 독일 이구스가 최근 고속 작동과 정밀성을 결합한 산업용 4축 델타 로봇인 DR1000을 발표했다고 로보틱스247이 15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이구스는 DR1000이 1m(약 39인치) 작업 직경을 가지며, 4 자유도를 제공하는 추가 회전 축을 통해 물체를 잡고 방향을 정할 수 있다고 밝혔다. DR1000은 분당 최대 96개의 픽킹 속도를 제공하는데 라인 끝단의 픽-앤-플레이스 작업과 3차원 공간에서의 컨베이어 벨트 픽킹이나 쌓기 작업에 적합하다. ◆모듈식, 사용자 정의 가능한 설..

산업용로봇 2025.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