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부품·소프트웨어 964

美 실크테크놀로지스, FMCW 라이다로 혼다 투자금 유치

▲미국 실크테크놀로지스는 지난해 10월 AI 및 머신 비전 용도에 최적화된 4개 아이오닉 버전을 출시했다. (사진=실크테크놀로지스) ◆실크 센서, 더 안전한 이동성을 위해 계속 발전중 미국 실리콘밸리에 본사를 둔 실크테크놀로지스(SiLC Technologies Inc.)가 혼다 엑셀러레이터 벤처스로부터 아이오닉 비전 시스템(Eyeonic Vision System) 개발 자금을 투자받았다고 더로봇리포트가 10일(현지시각) 보도했다. 해당 기술은 단일칩에 구현된 차세대 주파수변조연속파(Frequency-Modulated Continuous Wave·FMCW) 라이다 센서다. 오자와 마나부 혼다자동차 전무이사는 “실크는 장거리에서 차량과 다양한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는 FMCW 라이다의 연구 및 개발 분야에서..

홍콩 존슨일렉트릭, 슈 분류기용 고속 회전식 액추에이터 발표

▲존슨 일렉트릭의 솔리전스 고속 회전 액추에이터는 임베디드 인공지능(AI)을 통해 작업자에게 결함있는 마모를 경고하고, 바이스테이블 설계로 전력 사용량, 열, 소음을 줄인다. (사진=존슨일렉트릭) 홍콩에 본사를 둔 존슨일렉트릭이 최근 슬라이딩 슈 분류기(sliding shoe sorters)의 로터리 동작 흐름 전환을 위해 특별 설계된 새로운 고속 회전 액추에이터인 ‘솔리전스(Solligence)'를 발표했다고 로보틱스247이 9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이 회사는 전기 모터 및 액추에이터, 모션 제어 하위 시스템, 관련 전기 기계 부품 공급업체다. 존슨일렉트릭은 최근 대형 전자상거래, 우편, 유통 및 배송 운영에 필수적인 고속 자동 분류 시스템인 슬라이딩 슈 분류기의 동작 흐름을 바꾸기 위해 특별히 설계..

이스라엘 모빌리컴, 휴대형 드론·로봇 제어시스템 출시

▲이스라엘 모빌리컴의 새로운 8인치 컨트롤러 프로는 IP65 등급으로 모든 무선 통신을 사용할 수 있고 NDAA 규정을 준수한다. (사진=모빌리컴) 이스라엘의 모빌리컴이 자사의 지상 제어 스테이션 라인에 최신 차세대 8인치 컨트롤러 프로를 추가해 출시했다고 더로봇리포트가 보도했다. 이 회사는 이스라엘 쇼함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2023~2030년에 연평균 성장률이 22%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오렌 엘카얌 모빌리컴 공동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CEO)는 “8인치 컨트롤러 프로는 무인 시스템 및 로봇 산업에 혁신을 가져올 잠재력이 있다고 믿는다. 산업이 요구하는 고유한 성능, 휴대성, 저렴한 가격을 제공해 다양한 적용 분야에서 임무 성공을 위한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 ..

MIT 연구팀, 세포 크기 로봇 구동 소형 배터리 개발

MIT 연구팀이 모래 알보다 작은 소형 아연공기 배터리를 개발했다고 MIT 뉴스가 보도했다. 이 배터리는 향후 세포(cell) 크기의 소형 로봇에 전원을 공급하고, 주변 환경을 센싱 및 반응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이 소형 배터리를 활용하면, 인체 내에서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세포 크기의 자율로봇을 배치할 수 있으며, 가스 파이프라인의 가스 누출 위치를 찾는 데도 활용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길이 0.1mm, 두께 0.002mm(약 사람 머리카락 굵기)의 이 새로운 배터리는 공기에서 산소를 포집하여 아연을 산화시키는 데 사용하며, 최대 1볼트의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이 배터리가 소형 회로, 센서 또는 액추에이터에 전원을 공급하기에 충분하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성과를 학..

中 인스파이어로봇, '사람 손'처럼 쥘 수 있는 로봇핸드 발표

중국 로봇 핸드 기업 인스파이어로봇이 사람 손 처럼 움직일 수 있는 다섯 손가락 로봇핸드를 발표했다. 4일 중국 언론 IT즈자에 따르면 중국 인스파이어로봇(INSPIRE-ROBOTS, 因时机器人)은 FTP 시리즈 다섯 손가락 로봇핸드를 공개하고 수명, 가반 하중, 촉각 감지 등 측면에서 획기적인 성능 향상을 이뤘다고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FTP 시리즈 로봇핸드는 내장된 센서 솔루션을 기반으로 표면에 12개의 촉각 센서 모듈이 통합돼 있다. 손가락 끝과 손톱 뒷편 중앙 부위, 손바닥 등에 배치돼 있다. 힘 센서와 촉각 센서를 통해 다섯 손가락의 힘 상태와 촉각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그립 동작을 최적화하고 작업의 정밀도를 향상시켰다. 인스파이어로봇의 로봇핸드에 적용된 핵심 기술은..

샤프-도호쿠대학, 1000대 자동운반 로봇 동시 제어 엔진 개발

▲샤프는 도호쿠대학과 공동으로 '양자 어닐링(quantum annealing)' 기술을 응용해 1000대 규모의 자동운반로봇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엔진 개발에 성공했다.(이미지=샤프) 샤프는 도호쿠대학(東北大学)과 공동으로 양자컴퓨팅 기술의 하나인 '양자 어닐링(quantum annealing)' 기술을 활용해 1000대 규모의 자동운반로봇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엔진 개발에 성공했다고 2일 밝혔다. 샤프는 물류업계에서 심각해지고 있는 인력 부족 문제를 해소하기위해 자동운반로봇의 다수 동시 제어 기술에 관한 공동 연구를 지난해부터 진행해 왔다. 샤프는 작년 12월 500대 규모 로봇을 동시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했으며, 이번에 1000대 규모의 로봇을 동시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범용..

中 베이징이공대, 사이보그 곤충 제어위한 범용 시스템 개발

베이징이공대(Beijing Institute of Technology) 연구팀이 적외선 신호를 이용해 원격 신호 출력 제어를 위한 범용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기술은 사이보그 곤충의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에 활용될 수 있다. 연구팀은 전문 학술지인 ‘사이보그 및 바이오닉 시스템’에 발표한 연구 논문을 통해 맞춤형 파형 전기 자극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고정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통합하는 시스템을 제안했다.(논문 제목:Locomotion Control of Cyborg Insects by Charge-Balanced Biphasic Electrical Stimulation)이 기술은 실시간 제어와 동적 매개변수를 조정하면서 사이보그 곤충의 운동 제어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연구팀은 전자..

화낙, 로봇 컨트롤러 R-50iA 3개 모델 발표

▲화낙아메리카가 신형 R-50iA 컨트롤러 3종을 출시했다. (사진=화낙) 화낙아메리카가 로봇 성능을 극대화하는 새 기능, 광범위한 성능 향상 및 사이버 보안을 제공하는 로봇 컨트롤러 ‘R-50iA’ 3종을 발표했다고 더로봇리포트가 지난달 29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이 컨트롤러는 세 가지 캐비닛 크기, 즉 R-50iA 메이트 캐비닛, R-50iA A 캐비닛, 그리고 더 작은 크기를 제공하는 R-50iA B 캐비닛으로 구성됐다. 시카고에서 열리는 국제제조기술무역박람회(IMTTS, 9.9~14)에서 이 로봇 컨트롤러 작동 모습을 볼 수 있다.미시간 주 로체스터 힐스에 본사를 둔 화낙아메리카는 이 컨트롤러가 지적이고 소형으로 설계되었다고 주장했다. ◆로봇 컨트롤러에 기능 향상 포함 화낙은 새로운 컨트롤러가 ..

美 올리스, 원격진단 SW로 산업 로봇셀용 PLC 지원

▲미국 올리스 로보틱스의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LC) 시스템은 로봇이 작동을 멈추면 사용자에게 무엇이 잘못됐는지를 경고한다. (사진=올리스 로보틱스) 미국 올리스 로보틱스가 로봇셀 작동 이상 발생시 즉각 이상 부분을 경고해 주는 산업용 자동화 셀에 대한 원격 진단 시스템을 출시했다고 더로봇리포트가 26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올리스는 시애틀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작업 셀에 대한 비디오 및 원격 측정 기반 진단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기술자는 로봇 고장과 같은 가동 중단 이벤트의 근본 원인을 즉각 진단하고 가동 중단에 따른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된다. 올리스는 사용자에게 진단 데이터에 대한 즉각적인 액세스를 제공함으로써 로봇 셀을 빠르게, 원격으로 디버깅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를 통..

노스웨스턴대, 다재다능한 로봇 핸드 개발 목표로 '핸드 ERC' 설립

美노스웨스턴대학 등 주요 대학이 국립과학재단(NSF)으로부터 최대 5200만달러(약 694억원) 자금을 지원받아 다재다능한 손재주를 가진 로봇 핸드 개발을 위한 ‘엔지니어링 연구센터(ERC·Engineering Research Center)’를 설립했다. 이번 ERC 설립 및 로봇 연구를 위해 NSF는 최대 5200만달러를 지원한다. 향후 5년간 2600만달러(약 347억원)의 보조금을 우선 지원하고, 추가로 5년간 2600만 달러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이 센터는 노스웨스턴대학 주도로 운영되며, 카네기멜론대, 플로리다 A&M대학, 텍사스 A&M대학, 시라큐스대, 위스콘신-매디슨대, MIT가 참여한다. 지난 1985년 도입된 NSF ERC 프로그램은 미국 대학들이 실질적인 사회적 영향을 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