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용로봇 696

뉴로메카, 3분기 누적 매출 172억원...사상 최대 실적 달성

협동로봇 전문기업 뉴로메카(대표이사 박종훈)가 3분기 기준 누적 매출 172억 원을 기록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고 14일 밝혔다. 뉴로메카의 이번 3분기 기준 누적 매출액은 작년 온기 매출액 137억 원 대비 126%(작년 동기 매출 대비 142%) 수준으로 작년 연간 매출을 3분기만에 초과 달성했다. 최근 지속적인 수주 소식을 전하고 있는 만큼 연말까지 급격한 실적 성장이 기대된다. 뉴로메카는 용접, 식음료(F&B), 의료, 농업 등 산업 전반에 걸쳐 비즈니스 영역을 공격적으로 확장해 나가고 있다. 다양한 로봇 플랫폼과 자동화 솔루션 고도화를 통해 기업 생산성 향상을 입증하며 성공적인 사업 다각화를 이루고 있다. 특히, 국내 글로벌 탑티어 조선사의 선박 블록 제작 용접에 특화된 협동로봇 ‘옵티 ..

산업용로봇 2024.11.15

2023년 中 산업용 로봇 기업, 해외 매출 '1조 8천억원' 규모

지난해 중국 산업용 로봇 기업의 수출이 2조 원에 육박했다. 서비스 로봇뿐 아니라 협동 로봇 수출도 강세를 보였다. 5일 리서치회사 IDC가 발표한 '중국 로봇 수출 시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산업용 로봇 기업의 해외 매출은 총 95억 8000만위안(약 1조 8586억원)으로 나타났다. 주요 시장은 아시아/태평양/기타, 유럽, 북미 등 지역이며, 이들 지역이 중국 산업용 로봇의 해외 매출 90%를 차지했다. 지역별 비중을 살펴보면, 베트남ㆍ태국ㆍ인도 등 아시아/태평양/기타 지역(36.5%), 러시아ㆍ독일ㆍ이탈리아 등 유럽 지역(25.6%), 미국ㆍ캐나다 등 북미 지역(15.6%), 일본ㆍ한국(11.5%) 등이다. 협동 로봇은 중국 로봇 기업 수출의 새로운 동력이 되고 있다. 지난해 중국 협..

산업용로봇 2024.11.11

미쓰비시, 신형 멜파 수직 관절 로봇팔 출시

▲새로운 멜파 RV-12CRL은 배터리 인코더가 없는 서보 모터와 로봇 팔 종단 장치(EOAT)를 위한 내부 케이블 및 공기 호스를 갖추고 있다.(사진=미쓰비시 전기) 산업용 로봇팔 공급업체인 미쓰비시 전기(Mitsubish Electric Automation)가 최근 저비용 로봇 시리즈에 멜파(MELFA) RV-12CRL 수직 관절형 로봇팔을 추가했다고 로보틱스247이 2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이 로봇팔은 머신 텐딩·상자 포장·픽앤플레이스용으로 사용된다. 미쓰비시 전기 로봇 제품 관리자인 커티스 실리아센은 “RV-12CRL 로봇 출시는 고객들이 우리의 산업용 로봇 라인업에서 고품질과 성능을 협동 로봇 가격으로 경험할 수 있는 흥미로운 기회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멜파 RV-12CRL은 미쓰비시 전기 ..

산업용로봇 2024.11.05

화낙, '팩엑스포'에 식품산업용 협동 로봇 기술 선봬

▲ 베이커리용 협동 로봇 산업용 로봇 전문기업인 화낙의 미국법인이 이달 3~6일 시카고에서 열리는 포장 자동화 전문 전시회 ‘팩엑스포(PACK EXPO)’에 식품 산업 생산공정에 활용할 수 있는 '식품 등급(food-grade)' 협동 로봇 기술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화낙은 이번 전시회에 식품 등급 협동 로봇과 산업용 로봇을 출품했다. 화낙은 자사의 첨단 자동화 기술이 생산, 공급망, 인력 등 식품 산업의 각 분야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고질적인 문제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화낙은 설치가 용이한 식품 등급 CRX 협동 로봇과 고속 스카라 로봇, 식품 등급 델타 로봇, 식품 등급 및 클린룸 타입 LR 메이트 200i/D/7LC 로봇 등을 선보인다. 화낙은 전시장에 식품 등급 협동 로봇 CRX-20..

산업용로봇 2024.11.04

美 패스로보틱스, AI 용접 로봇으로 1380억원 유치

▲패스로보틱스는 로봇서비스(RaaS) 가격 책정 모델을 갖춘 자율 용접 로봇을 제공한다. (사진=패스 로보틱스) 미국 패스로보틱스가 지난 12개월 동안 1억달러(약 1380억원)의 신규 투자를 받았다고 더로봇리포트가 지난달 28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오하이오주 콜럼버스에 본사를 둔 이 회사는 로봇 시스템이 기존 자동화로는 해결할 수 없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AI)을 구현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2018년 앤디와 알렉스 론스베리 형제가 설립한 패스로보틱스의 명시된 목표는 제조 산업의 격차를 메우는 것이다. 그 결과 이 회사는 AI, 머신러닝, 컴퓨터 비전 시스템을 사용해 부품을 장착하고 용접하는 로봇을 만들었다. 이 회사는 현재 시장에 두 종류의 로봇 용접 제품을 출시했다. ..

산업용로봇 2024.11.04

빅웨이브로보틱스, 삼락열처리에 부품 적층 자동화 솔루션 구축

빅웨이브로보틱스(대표 김민교)가 자동차 부품 열처리 전문기업 삼락열처리(대표 신재영, 신호강)에 변속기 부품 핀 삽입과 적층 자동화 솔루션 구축을 완료했다. 삼락열처리는 표면열처리 전문 기업으로, 현대기아차 외 글로벌 자동차 메이커에 다수의 구동 및 엔진부품, 대형 선박의 디젤엔진 부품, 건설 중장비 유압구동 부품, 항공과 방산 및 의료용 부품등 전 산업계에 다양한 열처리 솔루션을 제공한다. 부품 특성상 핀 삽입과 같은 정교한 작업이 많고, 공정에서 동일 부품을 층을 쌓아 한꺼번에 처리해야 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부품의 중량이 커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 우려가 크고, 적재 불량시 대형 인사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존재했다. 핀 삽입과 제품 적층 작업은 단순 반복적인 업무라 작업자가 장시간 일 할 ..

산업용로봇 2024.10.28

中 상하이일렉트릭오토메이션, 화낙 中 합작사 지분 인수

중국 화낙 합작사의 주주에 변동이 생겼다. 22일 중국 언론 중궈정췐바오에 따르면, 상하이일렉트릭(Shanghai Electric, 上海电气)이 공시를 내고 회사의 100% 자회사인 상하이일렉트릭오토메이션그룹(Shanghai Electric Automation Group, 上海电气自动化集团有限公司)이 현금 매수 방식으로 닝성스예(宁笙实业) 지분 100%를 인수할 것이라고 밝혔다. 거래 가격은 30억 8200만위안(약 5973억원)이다. 닝성스예의 핵심 자산은 지배주주인 상하이일렉트릭그룹 산하 일렉트릭홀딩스(电气控股)가 보유하고 있던 상하이 화낙로봇유한회사(上海发那科机器人有限公司)의 지분 50%와 상하이 화낙국제무역유한회사(上海发那科国际贸易有限公司)의 지분 25%다. 상하이일렉트릭오토메이션그룹은 2019년..

산업용로봇 2024.10.25

로크웰 오토메이션-조광페인트, 스마트팩토리 조성 MOU 체결

산업 자동화 및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문기업 로크웰 오토메이션(Rockwell Automation) 코리아와 조광페인트가 조광페인트 충북 음성공장에 스마트팩토리를 본격 도입하기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조광페인트는 건축부터 중방식, 자동차, 공업, 선박 산업에 적용되는 다양한 페인트(도료) 제조와 판매를 주력으로 하는 제조기업이다. 이외에도 전기전자재료, 점착제 및 접착제, 냉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는 에너지 절감 제품과 친환경 발전 설비 등에 적용되는 제품을 제공하고 있다. 로크웰 오토메이션과 조광페인트는 충북에 위치한 조광페인트의 음성공장을 스마트팩토리로 추진하는 MOU를 체결하고 프로젝트에 착수한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로크웰 오토메이션은 조광페인트 음성공장에 MES(Manufac..

산업용로봇 2024.10.25

[2024 로보월드 지면 특별판] 산업용 로봇

로봇앤드디자인  ▲ 디자인 로보셀과 큐비컬 1999년 창업하여 반도체, 덴탈, 바이오메디컬 분야에서 400종이 넘는 로봇을 개발해온 국내 최고의 로봇 디자인 회사다. 웨이퍼 이송로봇 WTR, 얼라이너, 웨이퍼 로딩/언로딩을 위한 로드 포트, 이를 통합한 시스템인 EFEM 장비 라인업을 갖추고 있다. 다양한 사이즈와 작동 방식, 방수·방진·클린룸 환경 등 조건에 따른 맞춤형 개발이 가능하다. 또한 바이오메디컬 분야의 HW, SW 개발 경험을 집약하여 세포치료제 제조 솔루션 ‘로보셀(RoboCell)’을 개발했고, 실리콘밸리에 자회사를 설립, 글로벌 제약회사들에게 시스템을 공급하고 있다. ‘로보셀’은 실험실 프로세스에 맞춤형 개발 및 확장이 가능한 로봇자동화 플랫폼이다. 휴먼에러와 오염을 방지하고 정밀도와 ..

산업용로봇 2024.10.25

뉴로메카, ‘포스코홀딩스-뉴로메카 로봇공동연구센터’ 개소

▲ ‘포스코홀딩스-뉴로메카 로봇공동연구센터’ 전경 로봇 자동화 솔루션 전문 기업 ㈜뉴로메카가 22일 포스코홀딩스 미래기술연구원과 뉴로메카 포항지사 사내에 ‘로봇공동연구센터’를 개소했다. 앞서 지난 4월 23일, 뉴로메카는 차세대 로봇산업 육성과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해 포스코홀딩스와 로봇공동연구실(CO-LAB) 설립을 목적으로 투자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바 있으며, 이후 뉴로메카 포항지사 사내에 공동연구소를 목적으로 한 연구실 공간을 신축하여 이번에 개소식을 진행하였다. 해당 연구소는 ‘포스코홀딩스-뉴로메카 로봇공동연구센터’로 명명되었으며, 해당 연구센터를 통해 앞으로 ▲차세대 로봇산업 경쟁력 확보 ▲양사 협력을 통한 현장 로봇솔루션 고도화 ▲미래 선도형 로봇 기술 개발 등의 연구가 진행될 예정이다. ..

산업용로봇 2024.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