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부품·소프트웨어 1037

와이보틱, 68억 규모 시리즈 A펀딩 확보

▲ 로봇용 무선충전 업체인 '와이보틱'이 570만불 규모의 시리즈 A펀딩을 확보했다.(사진=와이보틱) ​미국 시애틀 소재 로봇용 무선충전 업체인 와이보틱(WiBotic)이 570만 달러 (약 68억 7000만원) 규모의 시리즈 A 펀딩을 확보했다고 발표했다.​ 투자자로는 준슨 캐피탈(Junson Capital), SV 테크 벤처스(SV Tech Ventures), 롤링 베이 벤처스(Rolling Bay Ventures), 아비스 캐피탈(Aves Capital), W펀드(W Fund) 및 WRF 캐피탈(WRF Capital) 등이 참여했다. 와이보틱은 이 시리즈 A 자금을 바탕으로 회사의 성장을 가속화하고, 영업팀을 확장하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을 발전시키고, 증가하는 고객 요구를 충족시킬 ..

미국 브리검영대, '소프트 로봇 강성 및 위치 제어 접근방법' 발표

▲ 휴머노이드형 팽창 로봇 ‘킹 루이(King Louie)’(사진=테크엑스플로어) ​ 부풀어 오르는 유연한 소재로 만들어진 로봇은 가벼운 무게와 높은 수준의 탄력성 등 여러 바람직한 특성을 갖고 있어 체계적이지 않은 환경 또는 인간과 밀접한 환경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데 적합하다. 물론 이 로봇이 가장 효율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선 그것의 강직과 위치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제어해야 하는데, 지금까지는 로봇의 강성(stiffness) 및 위치(position) 제어를 위한 대부분의 기존 모델이 다소 제한적인 상황이라 불만족스러운 결과를 낳는 경우가 많았다. ​ 테크 엑스플로어에 따르면 미국 브리검영대(Brigham Young University) 연구팀이 최근 팽창식 로봇(inflatable robots)의 강성..

스탠포드대, 롤러(굴대) 채택한 로봇 핸드 개발

▲ 롤러 방식 로봇 핸드를 이용해 농구공을 조작하고 있다(사진=스탠포드대) ​ 기존의 사람 손가락을 닮은 로봇 핑거나 핸드를 만드는 대신 완전히 새로운 디자인을 채택한 로봇 핸드가 개발됐다. 물체를 굴릴수 있는 롤러(roller,굴대)를 내장한 로봇 핸드다. ‘IEEE 스펙트럼’에 따르면 스탠포드대 연구진은 롤러(roller) 형태의 손가락을 갖고 있는 로봇 핸드를 개발하고,연구 성과를 ‘ICRA 2020’에서 발표했다. 기존의 로봇 핸드는 사람의 손가락을 모방한 제품이 많다. 이는 로봇이 가급적 사람의 신체적인 특성을 반영해야 한다는 로봇 과학자들의 생각을 반영하고 있다. 모든 로봇을 의인화하려는 생각이 로봇 과학자들의 머릿속에 들어있기 때문이다. 로봇 핸드는 사람처럼 능숙한 동작을 하지 못하지만 사람..

SVT로보틱스, 350만 달러 시드 펀딩 성공

▲ SVT 로보틱스 공동 창업자인 마이클 하우즈(Michael Howes)와 AK 슐츠(AK Schultz) ​미국 버지니아주 노포크(Norfolk)에 위치한 로봇 스타트업인 'SVT 로보틱스'가 350만 달러(약 42억 원)에 달하는 시드 펀딩 자금을 투자받았다고 발표했다. ​​SVT 로보틱스는 다양한 산업용 로봇의 설치 및 전개를 가속화하고 단순화할 수 있는 통합관리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iPaaS(robotic Integration Platform as a Service)’ 방식으로 제공하고 있다. SVT는 지난 2018년 iPaaS플랫폼을 처음으로 런칭했다 ​​이번 시드 펀딩은 카우보이 벤처스 주도로 이뤄졌으며 다이나모 벤처스, 스키매틱 벤처스, 루드로우(Ludlow)벤처스, NRV 등이 참여했다..

이탈리아 연구팀, 건설현장용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개발

▲ 모의 건설현장에서 모바일 로봇 '허스키 A200'을 테스트 하고 있다.(사진=테크엑스플로어) ​건설현장에서 로봇이 벽돌을 나르는 일이 머지않아 현실화 될 것으로 보인다. ​테크엑스플로어 등 매체들에 따르면 이탈리아 볼자노(Bolzano)에 기반을 둔 프라운호퍼 혁신공학 센터(the Fraunhofer Italia Innovation Engineering Center) 연구팀이 최근 건설현장에서 모바일 로봇이 스스로 돌아다니도록 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개발 중이다. ​​연구팀은 해당 소프트웨 개발하는 데 있어 건축 정보 모델링(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IM)이라는 기술을 사용한다. 이 기술은 3차원 정보모델을 기반으로 시설물의 생애주기에 걸쳐 발생하는 모든 정보를 통합해 ..

로봇코팅 온라인 교육 서비스 '코더즈' 국내 상륙

▲ '코더즈' 코딩교육 진행 화면(사진=기술과내일)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인 기술과내일(대표 김수범)이 이스라엘 로봇코딩 교육 회사인 코더즈 테크놀로지스(CoderZ Technologies)와 손잡고 3D 가상로봇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로봇코딩 온라인 교육 서비스를 한국에서 공식 시작한다고 4일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온라인 교육 서비스 '코더즈(CoderZ)'는 기존 오프라인 코딩 교육과 달리 클라우드 서버 플랫폼 안에서 실제로 코딩해 그 결과를 실제 모델과 동일한 가상 로봇(Cyber Robot)을 3D 가상 공간에서 직접 시뮬레이션해 볼 수 있다. ​코더즈 커리큘럼은 온라인 게임처럼 기초적인 미션에서 출발해 점차 난이도 높은 미션에 도전하는 방식으로 구성됐다. 또 자기주도 학습이 가능하도록 AI 코..

벨로다인 라이더, 아이드라이버플러스와 협력 확대

▲ 벨로다인 라이더와 아이드라이버플러스가 양사의 파트너십을 확대하고 벨로다인의 기술 통합업체 생태계인 오토메이티드 위드 벨로다인에 아이드라이버플러스가 합류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벨로다인 라이더는 벨로다인의 기술 통합업체 생태계인 ‘오토메이티드 위드 벨로다인(Automated with Velodyne)’에 아이드라이버플러스(Idriverplus)가 합류하기로 했다고 지난 29일 발표했다. ​‘오토메이티드 위드 벨로다인’은 기업이 벨로다인 라이더 기술을 활용하고 사업 성장을 도모하도록 돕는다. 벨로다인은 이 프로그램을 통해 아이드라이버 플러스와 협력을 강화해 아이드라이버의 지속적인 혁신을 지원하고 아이드라이버플러스의 청소차, 승용차, 물류차 등 자율 주행 차량을 홍보하는 데 힘을 보태게 된다. ​​벨로다..

퓨처플레이, 3차원 인식기술 스타트업 ‘멀티플아이’ 에 투자

▲ 멀티플아이 외부 전방향 거리 측정 촬영 화면 (제공=멀티플아이) ​글로벌 스타트업 육성기업 퓨처플레이가 전방향 거리 측정 및 환경 인식 시스템을 개발하는 '멀티플아이(대표 임종우)'에 투자했다고 28 일 밝혔다. 투자 규모는 비공개다. ​​멀티플아이(MultiplEYE)는 컴퓨터비전과 로보틱스 분야의 전문가인 임종우 대표(한양대학교 컴퓨터소프트웨어학과 정교수)와 박사과정 학생들이 2020년 설립한 스타트업이다. 다년간 개발한 다중 초광각 카메라와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360° 전방향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바탕으로, 로봇과 자동차의 자율 주행 등에 필수적인 주변환경 3차원 모델링 및 인식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실제로 정확한 3차원 거리 측정과 인식 기능은 국내외 많은 자율 주행 및 로..

홍콩대 연구진, ‘600만불의 사나이’처럼···생체공학 인공눈 개발

▲ 홍콩대학교 연구원들이 이미 휴머노이드 로봇에 더 나은 시각적 입력을 제공하거나 심지어 시각 장애인의 시력 회복에 사용될 수 있는 바이오닉 눈 시제품을 개발했다. 당장 이 시제품 인공 눈은 ‘E’,‘I’, 그리고 ‘Y’세 글자를 인식했다. (사진=테크스팟)​만화나 영화 속에만 등장하던 바이오닉(생체공학) 인공 눈(안구) 실현이 더 가까워진 것 같다. 1970년 대에 인기리에 방영됐던 미국드라마 ‘600만불의 사나이’ 주인공은 물론 최근 국내 영화채널에서 방송 중인 드라마 ‘루갈’ 속 주인공의 인공눈 같은 것이다. 드라마 속 주인공들의 눈은 육안으로는 잘 보이지 않는 먼 곳을 줌인해서 보거나 엄청난 범죄 데이터베이스를 눈에 띄워 볼 수 있는 것으로 설정돼 있다.​​세계적 과학잡지인 ‘네이처’는 지난 20..

셰플러, 최대 18m 주행 가능한 ‘리니어 액츄에이터’ 선봬

▲세플러코리아가 개발한 플러그 앤 플레이 리니어 액츄에이터​ 자동차 및 산업 기계용 정밀 부품 및 시스템 공급업체 셰플러코리아(대표 이병찬)가 산업용 로봇과 협동 로봇의 작업 범위를 획기적으로 확대할 수 있는 플러그 앤 플레이(Plug-and- play) 리니어 액츄에이터를 발표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