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카 626

모라이-텔레칩스, CES 2024에서 자율주행 분야 협력 MOU 체결

▲ 자율주행 시뮬레이션 전문기업 모라이와 차량용 반도체 설계 전문 기업 텔레칩스가 CES 2024 에서 MOU를 맺고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 및 자율주행 분야에서 협력한다. 모라이 홍준 대표(왼쪽)와 텔레칩스 이장규 대표가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자율주행 시뮬레이션 전문기업 모라이(대표 정지원, 홍준)와 차량용 반도체 설계 전문 기업 텔레칩스(대표 이장규)는 CES 2024 행사에서 MOU를 맺고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 및 자율주행 분야에서 협력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력에 따라 양사는 자율주행 기술의 발전을 위한 공동 연구를 진행한다. 모라이는 자율주행 기술 연구를 위한 테스트베드를 텔레칩스에 제공하며, 텔레칩스는 모라이의 시뮬레이션 플랫폼을 활용해 텔레칩스의 ADAS 칩의 성능 검증과 ..

로봇카 2024.01.10

부산시, '차세대 해양모빌리티 글로벌 혁신 특구' 지정

부산광역시는 지난 28일 부산이 '차세대 해양모빌리티 글로벌 혁신 특구'로 지정됐다고 밝혔다. '글로벌 혁신 특구'는 현 정부의 공약이자 국정과제로서 기존 규제 특례를 포지티브 방식에서 관련 법령의 금지ㆍ제한을 제외한 모든 것을 허용하는 네거티브 방식으로 부여하는 등의 새로운 규제혁신·지원 체계가 적용되는 지역이다. 부산광역시는 이번 '글로벌 혁신 특구' 지정에 따라, 차세대 해양모빌리티 산업육성을 위해 ▲전면적 네거티브 규제 시행 ▲국경과 공간을 초월하는 실증·인증 지원 ▲글로벌 진출 및 스케일업 패키지 지원 ▲기반구축ㆍ실증ㆍ인증ㆍ사업화 원스탑(One-Stop) 지원체계 구축 등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실증이 인증과 허가까지 연계되는 선순환 구조를 마련하고, 세계적(글로벌) 수준에 맞는 실증ㆍ인증체계..

로봇카 2023.12.29

美 메이모빌리티, 애리조나 선시티에서 자율차 시험서비스

▲미국 메이모빌리티가 애리조나주에서 자율주행차 서비스를 시작했다. (사진=메이모빌리티) 미국 앤아버에 본사를 둔 자율주행차 기술 개발 업체 메이모빌리티가 애리조나주 선시티 공공도로에서 이 회사의 첫 번째 자율주행차 운송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이 회사는 자율차량에 고유의 다중정책의사결정(Multi-Policy Decision Making·MPDM) 기술을 활용하며, 운전석에 운전자없이 승객만 태우고 주중 매일 운행한다. 발표에 따르면 선시티는 메이모빌리티가 접근 가능하고 안전하며 신뢰할 수 있는 교통 수단을 제공함에 따라 도시를 혁신할 운전사없는 탑승객 전용 자율차 서비스를 시작하려는 최초의 도시다. 에드윈 올슨 메이모빌리티 공동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CEO)는 “오늘날 우리는 상업적 성장과 확장을..

로봇카 2023.12.26

경찰청, 완전 자율주행 대비 도로교통안전 추진전략 발표

경찰청은 13일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완전 자율주행 시대에 대비한 도로교통안전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완전 자율주행 시대에 대비한 도로교통안전 추진전략'은 '자율주행차 상용화 대비 경찰 종합대책', '자율주행차 규제혁신 로드맵 2.0' 등 그간의 관련 대책을 종합하여, 자율주행 관련 도로교통 정책의 중장기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수립되었다. 경찰청은 이번 추진전략을 통해 자율주행 상용화 시기를 3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에 필요한 총 28개 과제를 ▲ 평가검증체계 ▲ 운행 안전관리 ▲ 기반 구축 3개 분야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추진한다. 먼저 경찰청은 평가검증체계 마련을 위해 운전자가 없는 자율주행차의 안전 운행 및 관리의 주체를 규정하고, 자율주행차의 도로교통법 준수 능력이 확인되도록 협력할 예정이다. 또..

로봇카 2023.12.13

서울시, 4일부터 심야 자율주행버스 운행 개시

▲ 심야 자율주행버스 차량 사진 서울시는 4일 오후 11시 30분부터 세계 최초로 부도심과 도심을 연결하는 간선 기능의 심야 자율주행버스(노선번호 : 심야 A21)가 정기 운행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4일 첫 선을 보이는 심야 자율주행버스는 대학가, 대형 쇼핑몰 등이 밀집하여 심야 이동이 많은 합정역~동대문역 중앙버스전용차로구간 9.8km을 순환하게 되며, 일반 시내버스와 동일한 규격의 대형 전기 자율주행버스(현대차 일렉시티 개조) 2대가 운행한다. 심야 자율주행버스가 운행을 시작하면 중앙정류소에 설치된 버스정보안내단말기(BIT)에 실시간 도착시간이 제공되며, 네이버 및 다음포털 등에서도 “심야 A21”노선을 검색하면 실시간 위치와 도착시간이 안내 될 예정이다. 대중교통 기능의 심야 자율주행버스는 별도의 ..

로봇카 2023.12.06

中 E카엑스, 자율차용 ADAS ‘스카이랜드 프로’ 양산

▲중국의 E카엑스가 전세계 자동차 제조사를 대상으로 하는 새로운 자율주행 ADAS 플랫폼을 출시했다. (사진=E카엑스) 중국 모빌리티 기술 제공업체인 E카엑스(ECARX)가 ‘스카이랜드 프로’(Skyland Pro)를 시작으로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 지원 제품 시리즈 본격 출시에 나섰다고 로보틱스앤오토메이션뉴스가 최근 보도했다. 이는 전세계의 자율성을 강화한 자동차 제조사를 대상으로 하며 자율차량 운전자들을 지원하게 된다. E카엑스의 ADAS 플랫폼의 제공은 양산 시작과 함께 이뤄졌으며 이는 이 회사에 중요한 이정표가 됐다. 이 회사의 스카이랜드 프로는 듀얼 시스템온칩(SoC) 아키텍처 덕분에 탁월한 성능을 제공하며 정교한 안전 시스템을 지원한다. 고성능 E카엑스 스카이랜드 프로는 자동차용 블랙 ..

로봇카 2023.12.05

울산, ‘자율주행자동차 시범운행지구’로 지정

울산시는 울산테크노일반산업단지 일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자율주행자동차 시범운행지구’로 지정됐다고 28일 밝혔다. 시범운행지구는 울산테크노일반산업단지 내 산학융합지구부터 대공원 호반베르디움까지 약 1.8km 구간으로, 울산에서는 처음 지정되었다. 울산시는 시범운행지구 지정을 위해 지역 내 여러 후보지 가운데 자율 주행 실증에 가장 적합한 울산테크노산단 일원을 선정하고 지난 8월 신청을 했다. 이후 국토교통부의 현장실사, 자율주행차시범운행지구위원회(위원장: 국토부장관) 심의·의결을 거쳐 이날 최종 지정ㆍ고시됐다. 이번 지정에 따라 이 구간은 원활한 자율주행 실증을 위해 ▲여객 및 화물 유상운송 허용 ▲자동차 안전기준에 관한 특례 ▲지능형 교통체계 표준에 관한 특례 ▲도로시설에 관한 특례가 적용된다. 자율주행..

로봇카 2023.11.28

인천시, ‘커넥티드 모빌리티 엑스포’30일 송도서 개최

▲ 행사 포스터 인천광역시는 11월 30일부터 12월 1일까지 2일간 송도 컨벤시아에서 '2023 커넥티드 모빌리티 엑스포(CONNECTED MOBILITY EXPO 2023)'가 개최된다고 밝혔다. ‘초연결시대, 인류를 위한 모빌리티’라는 주제로 개최되는 이번 전시회는 인천시가 주최하고, 인천관광공사와 ㈜메쎄이상이 주관한다.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발전 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전시회로 자동차 부품 중소벤처기업의 미래차 전환 및 커넥티드카, 자율주행, 사이버보안 등 최신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인공지능 기반 자동차 조립생산 시스템, 라이다/레이더/카메라 등 주요 센서, 자율주행 설계 및 보안 플랫폼 등의 핵심기술 및 신제품이 선보인다. 또한 국내외 전문가가 참여해 ▲모빌리티 분야 핵심 이슈 및 ..

로봇카 2023.11.28

美 RRAI-TSIS, 트럭 야적 자율화 운영 제휴

▲미국 RRAI와 TSIS가 손잡고 미 전역의 화물 야적 시스템 효율화에 나서기로 했다고 밝혔다. (사진=RRAI) 지상차량 자율주행기술 개발업체인 RRAI(Robotic Research Autonomous Industries)가 트럭 특화 정보 서비스업체인 TSIS와 손잡고 디트로이트 지역의 자율주행 트럭 운송 시대를 열어 나가기로 합의했다고 로보틱스앤오토메이션뉴스가 16일(현지시각) 보도했다. TSIS는 북미 트럭 주차 가능 네트워크(North American Truck Parking Availability Network)를 구축하는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회사다. TSIS는 디트로이트의 두 개의 레일헤드(railhead) 주변에 위치한 광범위한 야적장(야드)으로 시작했으며 자율성을 이 사업 운영의 핵..

로봇카 2023.11.27

모셔널, 현대차그룹 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에서 '아이오닉 5 로보택시' 생산

▲ 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에서 아이오닉5 기반 로보택시를 생산한다. 자율주행 기술 전문기업 모셔널(motional)과 현대자동차그룹은 순수 전기차 아이오닉(IONIQ) 5 기반 로보택시(Robotaxi)를 현대자동차그룹 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HMGICSㆍHyundai Motor Group Innovation Center Singapore)에서 생산한다고 22일 밝혔다. HMGICS에서 생산되는 아이오닉 5 로보택시는 2024년부터 모셔널의 미국 내 상업 서비스에 투입된다. 모셔널과 현대차는 아이오닉 5 로보택시가 미국 연방 자동차 안전 기준(FMVSS) 인증을 받은 최초의 SAE 레벨 4 자율주행 차량이라고 발표했다. 칼 이아그넴마(Karl Iagnemma) 모셔널 최고경영책임자(CEO)는 “FMV..

로봇카 2023.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