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22 22

홍콩과기대 연구팀, 세계 최소형 다기능 생체 의료 로봇 개발

▲ 로봇의 실제 크기 홍콩과학기술대(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연구팀이 인체 내 질병 진단 및 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세계 최소형 다기능 생체의료 로봇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기존 내시경 로봇에 비해 60% 작지만, 영상 촬영, 고정밀 운동, 약물전달, 레이저 절제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경쟁력 있는 이미지 촬영과 10배 개선된 장애물 감지 능력을 제공, 인체내 비좁은 공간에서 로봇의 활동성을 높여준다.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다기능 생체의료 로봇에 관한 연구 논문을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했다.(논문 제목:Sub-millimeter fiberscopic robot with integrated maneuvering, im..

中 우한대 휴머노이드 로봇 '톈원', 올해 본격 생산 들어간다

중국 우한(武汉)의 대학에서 개발된 휴머노이드 로봇이 올해 생산에 들어간다. 21일 중국 언론 후베이르바오에 따르면 성(省) 정치협상회의 위원이자 중국 우한대학 부교장인 궁웨이(龚威) 교수는 정부 업무 보고에서 '라오둥저(劳动者)', '선눙(神农)', '톈원(天问)' 등 휴머노이드 로봇이 개발되고 있다고 밝혔다. 톈원의 경우 실험실에서 생산라인으로 이전 단계이며, 올해 양산을 계획하고 있다. 톈원은 우한대학 리우성(刘胜) 원사와 리먀오(李淼) 부교수 팀이 개발했다. 컴퓨터 공학, 전력 및 기계 공학, 도시 설계, 측량 및 원격 감지 등 11개의 전공 분야 교수와 학생들이 공동으로 기술 개발을 하고 있다는 게 궁 교수의 설명이다. 톈원의 개발은 서비스업 수요에 맞춰 이뤄지고 있다. 일부 슈퍼마켓, 외식 기..

中 팬지아, '결제' 기능 갖춘 인공지능 로봇 '샤오양' 공개

중국 기업 팬지아가 결제 기능을 갖춘 인공지능(AI) 로봇을 공개했다. 20일 중국로봇망에 따르면 중국 팬지아(FANJIA, 泛嘉)는 AI 임바디드 로봇 '샤오양(小杨)'을 발표했다. 팬지아 창업자인 양인펑(杨隐峰) CEO가 샤오양을 소개하면서 기업 서비스 분야 최신 AI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성과를 공개했다. 바이오와 탄소 기반 생물 협동의 새로운 장을 열고 기업의 서비스 지능화를 촉진하겠다고도 밝혔다. 팬지아는 기업용 디지털 서비스 플랫폼 기업으로 기업 출장 서비스뿐 아니라 기업 조달, 일상 소비 및 금융 서비스 등을 통합해 운영하는 인터넷 기업이다. 1만 개 이상의 상장사와 중대형 기업에 서비스를 하고 있다. 팬지아가 내놓은 AI 로봇인 샤오양은 팬지아의 '기업 서비스 에이전트'를 탑재했다. 팬지아의..

스위스 보타 시스템즈, 加 키노바와 제휴

▲캐나다 키노바가 스위스 보타 시스템즈의 센스원 힘-토크 센서를 탑재한 젠3(Gen3) 로봇 조작기를 제공한다. (사진=키노바) 캐나다의 로봇 매니퓰레이터(조작기) 업체인 키노바(Kinova)가 스위스 촉각센서 업체인 보타 시스템즈와 손잡았다고 더로봇리포트가 18일(현지시각) 보도했다. 두 회사는 인공지능(AI) 로봇 조작기와 촉각센서를 결합한다. 이를 통해 로봇 개발자들은 다중모드 상호작용 감지를 통한 ‘시뮬레이션-현실’ 간 격차를 메우고, 로봇의 머신러닝과 조작을 발전시켜 개발을 가속화할 수 있다. 보타 시스템즈는 “AI가 산업을 지속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는 가운데 힘-토크 데이터의 미개척 모드는 로봇 학습을 발전시킬 수 있는 전례없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번 협력을 통해 각 연구실은 힘-토크, 관성 및..

美 인튜이티브, 지난해 전세계 ‘다빈치’ 수술·매출 17%↑

▲미국 인튜이티브 서지컬이 잠정 실적치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다빈치 로봇 수술건수와 연간 매출이 전년대비 17% 증가하는 호조를 보였다고 15일 발표했다. (사진=인튜이티브 서지컬) 미국 인튜이티브 서지컬의 지난해 매출과 전세계 다빈치 로봇 수술 건수가 17%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또 이 회사 지난해 4분기 시술 성장률은 총 18%에 이르렀다. 매스디바이스는 15일(현지시각) 인튜이티브가 다빈치 수술 로봇 시술의 상당한 성장을 강조하는 4분기 및 연간 실적 잠정치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발표했다고 전했다. 인튜이티브 서지컬의 주가는 잠정 실적치 발표 후 이른 아침 5% 가까이 상승한 주당 565달러(약 81만 4800원)에 거래됐다. 이 회사는 올해에도 다빈치 로봇 시술건수가 13~16% 성장할 ..

에이딘로보틱스-퀘스터, 휴머노이드 로봇핸드와 모방학습 기술 공동 개발한다

로봇 센서 전문기업 에이딘로보틱스(대표 최혁렬, 이윤행)가 핸드 트래킹 솔루션 전문업체 퀘스터와 ‘휴머노이드 로봇핸드와 모방학습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휴머노이드 모방학습에 특화된 로봇핸드와 글러브 키트를 공동 개발할 계획이다. 에이딘로보틱스는 퀘스터의 기술을 자사 로봇핸드 제품에 접목해 원격 제어와 조작이 가능한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한다. 퀘스터는 이 과정에서 데이터 전달 기술을 제공하며, 양사는 협력의 결과물인 휴머노이드 모방학습 전용 로봇핸드와 글러브 키트를 시장에 출시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휴머노이드 로봇이 작업을 더 빠르게 배우고 일상생활에 도입되는 속도를 가속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에이딘로보틱스는 자체 기술로 개발한 6축 힘·토크..

마키나락스, 獨 쿠카 자회사와 산업용 AI 솔루션 공동 개발 나선다

산업 특화 AI 기업 마키나락스(MakinaRocks, 대표 윤성호)가 쿠카(KUKA)의 자회사이자 IoT/데이터 분석 전문 기업인 ‘디바이스 인사이트(Device Insight)’와 산업용 AI 솔루션 개발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양사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기업의 생산 환경에 특화된 AI 솔루션의 도입을 가속할 예정이다. 데이터 수집에서 데이터 거버넌스, 맞춤형 알고리즘과 AI 에이전트 개발에 이르기까지 생산 현장에서의 실질적인 AI 구현 속도를 획기적으로 앞당기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세계적인 산업용 로봇 메이커인 쿠카 로봇에 특화된 AI 기반 예지보전과 산업용 AI LLM 등을 공동 개발하여 유럽 현지의 제조 기업에도 공급할 예정이다.   ▲ 스테판 휘브너(Ste..

인공지능 2025.01.22

카덱스-로지스올엔지니어링, 창고 자동화 시장 확대 협력

스위스 물류 자동화 솔루션 전문기업 카덱스 코리아(Kardex Korea)와 로지스올(LOGISALL)그룹의 물류 자동화 구축 계열사 로지스올엔지니어링이 제조 및 물류영역의 창고 자동화 시장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물류 처리 및 분류 솔루션 설계와 비즈니스 시너지 강화를 통한 시장 영향력 확대 △비즈니스 기회 발굴 및 추진과 시장 분석 및 업계 트렌드 공유 △카덱스의 글로벌 레퍼런스와 로지스올엔지니어링의 기술력을 결합한 최적의 솔루션 제공을 추진한다. 카덱스(Kardex)는 자동 창고 시스템(ASRS) 솔루션 공급 및 창고 자동화 시스템 구축 분야의 글로벌 기업으로, 창고의 공간 활용과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다양한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큐..

씨드로닉스, AI 센서 모듈 선급 형식 승인 획득

▲ 선급 형식 승인을 획득한 AI 운항 지원 모니터링 시스템(NAVISS)의 센서 모듈과 사용자 UI모습(사진=씨드로닉스) AI 선박 자율운항 솔루션 선도기업 씨드로닉스는 AI 운항 지원 모니터링 시스템 'NAVISS'의 센서 모듈 SxSM300N 모델에 대해 한국선급(KR)으로부터 형식 승인을 획득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형식 승인을 계기로 씨드로닉스는 글로벌 스마트 선박 시장에서 NAVISS 솔루션 공급 확대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선급 형식 승인은 제품이 실선 적용 전 국제해사기구(IMO) 규정 등 국제 설계 기준을 충족하는 지 검토하는 절차로, 전 세계 해운 업계에서 신뢰받는 인증이다. 이번 승인을 통해 씨드로닉스의 센서 모듈은 우수한 품질과 안전성을 공식 인정받고, 선박 적용에 적합한 제품..

로엔서지컬, 태국 'RIRS 2025'에서 자메닉스 첫 해외 임상 라이브 성공

▲ 라마티보디 병원에서 친나켓 케츠완 교수의 주도로 자메닉스를 활용한 신장결석 수술을 진행하고 있다(사진=로엔서지컬) 로봇수술 플랫폼 기업 로엔서지컬(대표 권동수)은 AI 기반 신장결석 수술로봇 자메닉스(Zamenix)의 첫 해외 임상 라이브를 태국에서 성공적으로 진행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시연은 국제로봇공학및비뇨기과심포지엄(RIRS 2025)과 연계해 20~21일 태국 방콕 라마티보디 의과대학병원에서 열렸다. 이 심포지엄은 로봇 및 내시경 비뇨기 수술 분야의 의학적 발전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올해는 약 100명 이상의 전 세계 전문가들이 참석해 비뇨의학과의 최신 혁신 연구에 대한 발표와 임상 라이브 수술이 진행됐다. 21일 진행된 자메닉스 라이브 수술은 아시아 국가들에 처음 공개된 자리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