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라이드의 자율주행 미니버스가 취리히 공항에서 셔틀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진=위라이드)
중국 위라이드(WeRide)가 취리히공항 및 스위스 트랜짓 랩(Swiss Transit Lab)과 협력해 취리히 공항에 자율주행 미니 셔틀 로보버스(Robobus)를 배치했다고 더로봇리포트가 9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위라이드는 이것이 주요 유럽 항공 허브에 자율주행 이동성 시스템 도입에서 중요한 이정표라고 말했다.
취리히 공항 측은 “위라이드는 완전히 개발되고 철저히 테스트된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취리히 공항에 적용되는 모든 법규, 안전 요구 사항, 그리고 규정된 데이터 보호 요구 사항을 충족할 것을 보장한다”고 말했다.
이 배치는 2024 프랑스 오픈 기간 동안 롤랑가로스에서 실시한 최근의 자율주행 셔틀버스 서비스를 포함한 위라이드의 성공적인 유럽내 운영 경험을 기반으로 한다.
2017년 설립된 위라이드는 미국자동차기술자협회(SAE) 레벨2~4 수준의 자율주행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회사는 7개국 30개 도시에서 연구 개발, 테스트 및 운영을 수행했다. 지난해 10월 나스닥 글로벌 셀렉트 마켓에 ‘WRD’라는 티커 심볼로 공식 상장됐다.
◆위라이드, 취리히 공항의 과제에 대처할 준비
알프스 기슭에 위치한 취리히 공항은 복잡한 운영 환경과 기후 조건으로 인해 자율주행에 상당한 과제를 안겨준다. 위라이드는 강력한 기술 역량과 구현 경험으로 이러한 문제를 성공적으로 극복해 성숙하고 신뢰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했다고 밝혔다.
이 회사는 9명의 승객을 태울 수 있는 자율주행 로보버스의 상업적 배치가 유럽 공항에서 첫 번째 프로젝트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취리히 공항의 자율셔틀 초기 서비스 단계에는 안전 운전자가 탑승하고, 원격 모니터링 작업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로보버스 테스트 운영을 시작하기 전에 위라이드의 자율주행 로보택시는 취리히 공항에서 경로 매핑을 완료했다. 이는 또한 이 로보택시가 스위스에서 더 많은 적용분야를 갖게 될 것임을 보여주었다.
취리히 공항 측은 역시 자율주행차 기술을 테스트하고 있는 브뤼셀 및 암스테르담의 공항과 협력하고 있다. 또한 위라이드는 스위스 트랜짓 랩과 협력해 원활한 운영을 보장할 계획이다.
위라이드는 게이트 101의 직원 입구와 게이트 130의 유지 관리 구역을 연결하는 전용 경로 서비스를 취리히 공항 직원들에게 제공한다. 이 회사는 올해 1분기에 서비스를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자율주행 서비스, 분주한 공항에 잇따라 진입
공항은 자율주행차에 고유한 환경을 제공한다. 한편으로는 개방된 도로보다 통제가 더 잘되는 환경이다. 즉, 개발자는 자율차량이 작동할 구역의 자세한 지도를 만들고 해당 환경의 세세한 부분까지 집중적으로 훈련할 수 있다. 반면, 공항까지 운전해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겠지만, 공항 운전은 몹시 바쁘고 예측할 수 없는 운전자가 많다.
비프(Beep)는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에 본사를 둔 개발자로서 민간 및 공공 커뮤니티를 위한 자율주행 셔틀을 계획, 배치 및 관리하는 회사인데 지난해 5월 호놀룰루 공항에서 자율주행 셔틀을 출시했다. 이 회사는 하와이 운송 및 지속 가능성 파트너부와 협력해 다니엘 K. 이노우에 국제공항에서 18개월짜리 자율주행 셔틀 시범 운영을 시작하고 있다.
또한 로보택시 분야의 선두 주자이자 알파벳의 자율주행 사업부인 웨이모는 애리조나주 피닉스의 스카이 하버 국제공항에서 도로변 승하차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이 서비스는 직원들에게 24시간 연중무휴로 제공되며 일반인에게는 제한된 시간에만 제공된다.
비프 및 위라이드와 달리 웨이모는 공항 내 지역에서 사람들을 이동시키는 데 그치지 않는다. 이 회사는 도시 곳곳이나 공항에서 승객을 태우고 목적지까지 운송한다.
이재구 robot3@irobotnews.com
<저작권자 © 로봇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로봇카'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 임바디드인텔리전스 스타트업 '비타다이나믹스', 시드 자금 1억 위안 유치 (0) | 2025.02.10 |
---|---|
美 크루즈, 직원 절반 1000명 해고 (0) | 2025.02.10 |
日 오키나와 리조트, 자율주행차 활용 무인 판매 실증한다 (1) | 2024.12.27 |
KG 모빌리티,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고도화 기술 MOU 체결 (0) | 2024.12.27 |
탐라자율차 시범운행 마무리, 5개월간 무사고 운행 성과 (1) | 2024.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