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RS3LW/btsMd486KTK/W7NfdHu8zzP5S40uW01Mpk/img.jpg)
▲GM 지원을 받는 자율주행차 업체인 크루즈는 가장 성공적일 때는 3개 도시에서 서비스를 운영했고, 지난해에는 추가로 12개 도시로 확장할 계획이었다. (사진=크루즈)
미국 자율주행차업체 크루즈가 더 많은 직원을 해고하기 시작했으며 이는 직원의 거의 절반인 1000명 이상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더로봇리포트가 지난 5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최근의 해고는 크루즈 직원들에게는 놀라운 일이 아니다. 크루즈 모회사인 제너럴 모터스(GM)는 지난해 12월 이 스타트업의 로보택시 배치에 더 이상 자금을 지원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대신 GM은 크루즈와 GM 기술 팀을 통합해 GM의 핸즈프리 운전자 지원 시스템인 ‘슈퍼 크루즈’에 집중하고 있다. 이 자동차 제조업체는 로보택시 대신 개인 자율 주행차에 베팅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크루즈의 가장 최근 해고는 최고경영자(CEO)와 여러 다른 최고 임원으로까지 확대됐다. 해고자에는 마크 휘튼 CEO, 닐카 토머스 최고인사책임자(CHO), 스티브 케너 최고안전책임자, 롭 그랜트 글로벌 공공정책책임자 등이 포함됐다.
한편, 모 엘셰나위 크루즈 최고기술자는 4월 말까지 남아서 전환을 돕는다.
크레이그 글리든 크루즈의 사장 겸 최고행정책임자는 이메일을 통해 직원들에게 해고 사실을 발표했다. 토머스 CHO는 별도 이메일로 해고 영향을 받는 사람들에게 통고했다.
크루즈 대변인은 더로봇리포트에 “오늘 크루즈는 직원의 약 50%와 헤어지는 어려운 결정을 공유했다. 우리는 이 단계에 오기까지 도움을 준 그들의 열정과 기여에 감사드리며, 우리의 초점은 퇴직금과 경력 지원을 통해 그들이 다음 단계로 나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쉬운 결정은 아니지만, 우리는 GM과 협력해 개인용 자율주행차의 자율성을 대규모로 가속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GM, 엔지니어 유지를 최우선으로
크루즈는 더로봇리포트에 자리를 유지한 직원의 약 88%가 엔지니어링 또는 관련 기능을 맡아 일한다고 말했다. 이 회사는 이것이 GM이 기술 전문성에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음을 반영한다고 말했다.
데이브 리처드슨 GM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엔지니어링 부문 수석 부사장은 “우리는 크루즈의 전문 기술과 인재를 슈퍼 크루즈 개발 팀과 결합함으로써 보조 주행과 자율주행 모두에 대한 작업을 가속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될 것이다. 크루즈와 협력해 함께 작업을 가속화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한 크루즈는 해당 법률에 따라 직원에게 해고 60일 전 사전 통지를 했다. 이 기간 동안 크루즈는 해고된 직원들에게 기본 급여 전액과 목표 실적에 따른 2024년도 보너스를 지급한다.
퇴직금 제공에는 8주치의 급여가 포함되며 장기 근무 직원에게는 크루즈에서의 지난 3년 재직기간 동안 1년에 2주치의 추가 급여를 받는다. 또한 회사에서 지불하는 3개월간의 COBRA 보장과 1년 동안 프리미엄 링크드인 구독을 통해 구직 활동을 지원한다. 이는 크루즈가 2023년에 제공한 패키지와 유사하다. (COBRA는 통합 총괄 예산 조정법(Consolidated Omnibus Budget Reconciliation Act)을 뜻하며 직원들이 특정한 생활 사건이 발생한 후에도 고용주가 제공하는 건강 보험을 유지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미연방법이다.)
◆웨이모, 마지막 남은 로보택시
크루즈는 몇 년 동안 문제에 직면해 왔다. 지난 2023년에는 도로 충돌로 인해 캘리포니아 자동차부(DMV)가 주 내 주행 허가를 정지했다. 지난해 이 회사는 서비스를 재개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충분치 않았다. GM은 긴 개발 시간, 높은 비용, 점점 더 경쟁이 치열해지는 시장을 크루즈 지원 중단 결정의 이유로 들었다.
알파벳 산하 자율 주행 사업부인 웨이모는 그동안 속도를 늦추지 않았다. 지난해 로스앤젤레스에서 첫 로보택시 서비스를 시작했고 샌프란시스코와 피닉스에서 서비스를 확대했다. 이 회사는 이미 배치 전반에 걸쳐 주당 15만회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는 웨이모는 올해 확장을 발표했다. 지난달 말에는 애틀랜타에서 직원들에게 처음으로 완전 자율주행을 제공했다. 이는 이 회사가 우버 테크놀로지스의 도움을 받아 올연말로 계획중인 대중 배치를 위한 첫단계다.웨이 모는 또한 올해 마이애미에서 로보택시 서비스 테스트를 시작할 계획이다.
이재구 robot3@irobotnews.com
<저작권자 © 로봇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로봇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니티, “도요타 자동차에 ‘3D 콘텐츠 기술’ 공급” (0) | 2025.02.12 |
---|---|
中 임바디드인텔리전스 스타트업 '비타다이나믹스', 시드 자금 1억 위안 유치 (0) | 2025.02.10 |
中 위라이드, 스위스 취리히공항에 자율 셔틀버스 배치 (1) | 2025.01.15 |
日 오키나와 리조트, 자율주행차 활용 무인 판매 실증한다 (1) | 2024.12.27 |
KG 모빌리티,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고도화 기술 MOU 체결 (0) | 2024.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