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 882

美 베러티, RFID 탑재 드론으로 창고 재고관리 시범사업

▲미국 베러티는 온, 머스크와 협력해 창고 재고관리 개선을 위해 RFID 기술이 탑재된 베러티 자율 드론을 배치하는 시범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사진=베러티) 미국 시애틀의 베러티(Verity)가 온(On)과 머스크(Maersk)와 협력해 물리적 및 디지털 공급망 환경 간의 격차를 메우는 시범 프로젝트 협업을 발표했다고 로보틱스247이 보도했다. 이 시범 프로그램은 베러티의 자율 재고 추적 시스템을 무선 주파수 식별(RFID) 기능으로 증강하는 내용으로 진행됐다. ◆RFID와 자율 드론 시범사업은 온의 창고 중 하나에서 재고 가시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RFID 기술과 자율 드론의 잠재력을 탐구했다. 베러티, 온, 머스크는 이 프로젝트에 대한 비전, 즉 공급망의 재고 가시성을 전례없는 수준으로 향상시킨다는 ..

드론 2025.02.14

美 개더AI, 통합 파트너 프로그램 발표

▲미국 피츠버그에 본사를 둔 개더AI가 통합 파트너 프로그램을 출범시키고 협력사를 선정해 발표했다. 검증된 공급망 컨설턴트, 창고관리시스템(WMS) 공급업체, 시스템 통합업체(SI)가 개더 AI의 AI 기반 재고 드론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사진=개더 AI) 창고 재고 관리 인텔리전스 시스템 공급업체인 미국 피츠버그의 개더AI가 통합 파트너 프로그램을 출범시키고 협력사를 선정해 발표했다고 로보틱스247이 보도했다. 이 프로그램은 검증된 공급망 컨설턴트, 창고관리시스템(WMS) 공급업체, 시스템 통합업체(SI)가 인공지능(AI) 기반 재고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파트너로는 아르곤앤코(Partners include Argon & Co), 피크 테크놀로지스(Peak Tec..

드론 2025.02.11

美 히든 레벨, 드론 탐지시스템으로 950억원 투자 유치

▲미국 히든 레벨은 수동 레이더와 무선 주파스 감지 기술을 사용해 미연방, 주 및 지역 기관의 공중 위협 상황 인식을 강화시켜 준다. (사진=히든 레벨) 미국 히든 레벨(Hidden Level)이 시리즈 C 투자행사에서 6500만 달러(약 948억원)를 투자받았다고 더로봇리포트가 7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이 회사는 수동 레이더 및 무선 주파수 감지 기술로 유무인 항공기(드론)의 공역내 활동과 기타 물체의 공중 활동 위협을 감지하고 드론 운영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한다. 새로운 유입된 자본은 미 항공우주국(NASA), 육군, 공군, 국방부 등 12개 이상의 첨단 고객사에 제품을 배치한 후 신규 고객의 수요를 충족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자사의 전반적 제조와 고용을 확대하고 국제적으로 성장해 비즈니스를 확장..

드론 2025.02.11

美 드론 디플로이, 미 전역 BVLOS 비행승인 받아

▲드론 디플로이가 FAA로부터 미국 전역에 대한 시계외비행(BVLOS)에 대한 면제 승인을 받았다. 취득. 사진은 이 회사가 사용하는 DJI 도크 2. (사진=드론 디플로이) 미국 드론 디플로이(DroneDeploy)가 미국 전역의 중요 인프라에 대한 시계외(BVLOS)비행 검사 작업 승인을 받았다고 더로봇리포트가 보도했다. 미국 연방항공청(FAA)의 모든 비행에 대한 승인 요구 절차 면제(waiver·절차 면제) 조치로 이 회사의 고객들은 합법적으로 원격 자율 드론을 배치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다. 드론 디플로이는 미국 상위 50대 일반 계약업체의 80% 이상이 자사 플랫폼을 사용한다고 밝혔다. 선도적인 하이퍼 스케일 데이터 센터 개발자들이 인프라 및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자세한 항공 모니터링 및 분석을..

드론 2025.02.10

“드론을 기지국으로 쓴다”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연구진이 재난 환경에서 빠른 통신망 구축이 가능한 ‘공중이동체 기반의 대용량·장거리 이동통신 인프라 기술’을 개발했다. 사진은 5G(5세대) 이동통신 기지국과 공중 이동 백홀 터미널을 탑재한 공중 이동체와 지상 통신 시스템간의 통신을 시연하는 모습.(사진=ETRI) 국내 연구기관이 ‘공중이동체(드론 등)’를 이용해 휴대전화 이동통신망을 구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화재나 재난, 전쟁 등 이동통신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이나 붕괴 지역에서 발 빠르게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공중이동체 기반 대용량 장거리 이동통신 인프라 제공 기술’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6일 밝혔다. 해당 기술을 지난해 말 충남 태안군 일원에서 검..

드론 2025.02.06

니어스랩 자체 개발 드론, 산자부 절충교역 우선추천품목 선정

니어스랩이 자체 개발한 드론 ‘에이든(AiDEN)’과 ‘카이든(KAiDEN)’이 2024년 하반기 산업통상자원부 지원 ‘산업협력분야 절충교역 추천대상’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절충교역은 해외에서 무기나 장비를 구매하는 대가로 국산 부품을 수출하거나 관련 국방 기술을 이전받는 형태의 교역으로, 국가 간 대규모 계약에서 산업협력과 기술 교류를 촉진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국방절충교역 대상 품목이 기존 군수품에 국한되지 않고 항공우주, 전기전자, AI(인공지능) 등 첨단전략산업 분야로 확대되면서, 민·군 겸용 품목에서 추천대상이 선정·관리되고 있다. 고부가가치 기술이 대상 품목으로 확대된 만큼, 방위산업뿐만 아니라 민간 첨단산업의 발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

드론 2025.02.05

美 레드와이어, 드론 기업 '엣지 오토노미' 인수

▲미국 레드와이어가 최근 엣지 오토노미를 인수하면서 이를 계기로 미 국가 안보 임무를 지원하는 자율 비행 플랫폼까지 포함시키는 등 포트폴리오를 확장해 가고 있다. (사진=레드와이어) 미국 레드와이어가 무인항공기(UAS·드론) 공급업체인 엣지 오토노미를 9억 2500만달러(약 1조 3300억원)에 인수했다고 더로봇리포트가 보도했다. 이 우주 인프라 개발업체는 중요 임무인 우주 인프라 포트폴리오를 확대해 전투에서 검증된 자율 비행 플랫폼까지 포함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피터 카니토 레드와이어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는 “레드와이어와 엣지 오토노미의 결합으로 방위 기술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두 가지 트렌드에 집중하는 독특한 입지를 갖춘 우주 및 방위 회사가 탄생했다. 우주 및 비행 플랫폼이 자율 협업 시..

드론 2025.02.05

美 아마존, 텍사스와 애리조나에서 드론 배송 잠정 중단

▲아마존이 1월 17일자로 텍사스와 애리조나에서 드론 배송을 잠정 중단했다. (사진=아마존 프라임 에어) 미국 아마존이 텍사스와 애리조나에서 드론 배송을 잠정 중단했다고 드론라이프가 보도했다. 아마존은 최근 별도의 통지가 있을 때까지 텍사스주 칼리지 스테이션과 애리조나주 톨레슨에 있는 시설에서 드론 배송 서비스를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이 회사는 지난 2020년에 드론을 이용한 소포 배송 항공사임을 인정하는 ‘FAA 파트 135 항공사 인증’을 받았으며, 드론 소프트웨어 변경을 구현하기 위해 1월 17일자로 배송 서비스를 중단했다. 샘 스티븐슨 아마존 대변인은 성명에서 “안전은 프라임 에어에서 하는 모든 일의 핵심이며 MK30 드론은 안전하고 규정을 준수한다. 알려진 방식으로 알려지지 않은 이벤트에 안전하..

드론 2025.02.04

DJI, 카메라 드론 시리즈 DJI 플립 출시

DJI가 카메라 드론 시리즈인 DJI 플립(Flip)을 출시한다. 249g 미만의 무게를 자랑하는 이 드론은 접이식 풀 커버 프로펠러 가드를 특징으로 하여 매우 안전하고 안정적인 비행을 보장한다. 사진가들은 버튼 하나로 드론의 12mm(1/1.3") CMOS 센서를 이용해 인상적인 48MP 사진과 4K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페르디난드 울프(Ferdinand Wolf) DJI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는 “DJI는 소비자용 카메라 드론의 성공을 바탕으로 DJI 네오(Neo)의 단순함과 DJI 미니(Mini)의 뛰어난 사진 기능을 결합한 DJI 플립을 소개하여 누구나 쉽게 항공 촬영과 근접 인물 촬영을 할 수 있게 한다”며, ”DJI 플립은 AI 피사체 추적 및 인텔리전트 촬영 모드와 같은..

드론 2025.01.15

美 로봇랩, 비전 에어리얼 드론 판매·서비스 제휴

▲비전 에어리얼의 다중 탑재물을 지원하는 스위치블레이드(Switchblade) 트라이콥터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된다. (사진=비전 에어리얼) 미국 로봇서비스(RaaS) 제공업체인 로봇랩(RobotLAB)이 비전 에어리얼의 드론 판매 및 서비스에 들어갔다고 더로봇리포트가 2일(현지시각) 보도했다. 미국 몬태나주 보즈먼에 있는 드론 제조업체 ‘비전 에어리얼’은 로봇랩의 레스토랑, 호텔, 바닥 청소 및 보도 배달용 이동로봇 판매 및 서비스 사업 모델 포트폴리오에 합류한 최초의 드론 회사다. 텍사스주 사우스 레이크에 본사를 둔 로봇랩은 미국 전역 18여 지역에 프랜차이즈 가맹점을 보유하고 있다. 이번 제휴에 따라 로봇랩 가맹점들은 비전 에어리얼의 8개 드론 제품을 가지고 서비스 공급사들에게 현장에서 광학 가..

드론 2025.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