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2 13

10배 용량 ‘리튬 금속 음극’ 배터리 실용화 길 열었다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연구진이 차세대 배터리로 꼽히는 '리튬 금속 음극 전지'의 실용화 방안을 찾아냈다. 충전 후 리튬 금속 음극의 전자현미경 이미지, 연구진이 개발한 첨가제를 사용해 분자 구조 안정성이 훨씬 높아진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이미지=DGIST) 로봇을 비롯해 다양한 첨단 기술 발전의 가장 큰 걸림돌로 ‘배터리’를 꼽는 경우가 많다. 고효율 배터리가 없으면 어렵게 개발한 로봇 등의 첨단기기도 결국 사용성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국내 연구진이 충전식 배터리의 효율을 큰 폭으로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알아냈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공학과 유종성 교수팀은 부산대 나노에너지공학과 강준희 교수와 공동으로 20㎛(마이크로미터, 1㎛는 100만 분의 1m) 두께의 초극박 리튬..

2024년 국내 상장 로봇기업 '매출 2조 6153억'...전년비 1.3% 성장

▲ 2024년 국내 상장 로봇 기업 매출 및 당기순이익 현황(금액 단위 : 억원) 지난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미-중 무역 갈등, 고물가와 고금리, 국내 복잡한 정치 환경 등 여러 가지 어려운 대내외 여건 때문에 국내 로봇 관련 상장 기업들의 매출 실적이 2023년 대비 소폭 성장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지가 코스피 및 코스닥에 상장된 한국거래소 유가증권 시장의 12월 결산법인 34개 로봇 기업의 지난해 실적(연결기준)을 분석한 결과, 총 매출액은 2조 6153억원으로 2023년 2조 5826억원 대비 1.3%(327억원) 성장하였고, 영업이익은 2023년 860억원 적자에서 969억원 적자로, 당기순이익은 1253억원 적자에서 593억원 적자로 나타났다. 영업이익은 적자가 13% 늘어났으나 당기..

종합 2025.04.02

日JAXA, 국제우주정거장에서 활약하는 구형(球形) 카메라 로봇 공개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는 독자 개발한 자율비행 구형(球形) 카메라 로봇 ‘인트-볼2(Int-Ball2)’가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밝혔다. JAXA는 최근 ISS에서 활약하고 있는 이 로봇의 유튜브 동영상을 공개했다. 최초의 '인트-볼'은 지난 2017년 6월 미 스페이스 X의 우주선 ‘드래곤’에 실려 ISS로 이동했으며, 이번에 공개된 로봇은 업그레이드된 로봇이다. 2023년 6월에 발사됐으며, 같은 해 10월 우주비행사 후루카와가 최초 점검 작업을 수행했다. 우주비행사들을 대신해 사진과 동영상을 촬영하는 등 JAXA 비행통제팀(JFCT)의 통제하에 ISS를 비행한다. 그동안 우주비행사는 촬영에 사용할 카메라를 직접 준비하여 카메라 설정과 화각을 조정한 후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