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 262

中 애지봇, "휴머노이드 로봇 DIY 시대 연다"

▲ 애지봇, 오픈소스 휴머노이드 로봇 DIY 세트 출시했다. 중국 애지봇(AgiBot, 智元机器人)이 세계 최초의 풀스텍 오픈소스 로봇 '링시 X1(灵犀X1)'의 전체 조립 세트를 출시했다. 약 10만 위안(약 2000만 원) 가격에 DIY 로봇을 보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비전 기반 멀티 모달 모델 등 AI 기술을 더하면, 링시 X1 로봇이 단순히 완구가 아니라 보거나 들고 이해할 수 있는 임바디드 인텔리전스 기기가 될 수 있다. 3일 중국 언론 상관신원에 따르면, 애지봇은 이 풀스택 오픈소스 로봇을 통해 전 세계 개발자들에게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도면과 코드 등 전체 세트를 오픈 소스로 제공한다. 기술 애호가와 개발자들이 직접 휴머노이드 로봇을 조립할 수 있는 '휴머노이드 로봇의 DIY 시대'가..

“코딩 몰라도 순찰로봇 제어 가능”

▲ 순찰로봇 전문기업 '도구공간'에서 개발한 플래너 V4의 사용 모습(사진=도구공간) 인공지능(AI) 자율주행 순찰로봇 전문기업 ‘도구공간’은 자체 개발 로봇 제어 소프트웨어 ‘플래너(Planner)’의 최신 버전 ‘V4’를 공식 출시한다고 5일 밝혔다. 도구공간은 2017년 설립 이후 AI 기반 순찰로봇 개발에 집중해 온 전문 기업이다. 실내용 로봇 ‘이로이’, 실외용 로봇 ‘패트로버’, 모듈형 로봇 ‘로브제’ 등 로봇 3종과 관제 시스템(Security Operation System), 로봇 컨트롤 소프트웨어(Planner) 등을 자체 개발해 경찰청, 에스원, SK쉴더스, KT, 포스코 등 다양한 기업과 기관에 제공하고 있다. 플래너는 프로그래밍 지식 없는 사람도 손쉽게 로봇을 운용할 수 있도록 돕는..

中 휴머노이드 로봇, 이젠 車 공장서 '그룹 협동 작업' 수행한다

중국의 자동차 공장에서 여러 대의 휴머노이드 로봇이 각자 맡은 임무를 하면서 서로 협업하는 프로젝트가 시작됐다. 3일 중국 언론 런민왕에 따르면 선전(深圳)시 유비텍(UBTECH, 优必选)이 중국 전기차 기업 지커(ZEEKR, 极氪)의 5G 스마트 공장에서 '여러 대, 여러 현장, 여러 임무'의 휴머노이드 로봇 협동 실전 훈련을 실시했다. 유비텍 산업용 휴머노이드 로봇의 2.0 단계 훈련이다. 여러 임무가 주어지는 산업 현장에서 범용 휴머노이드 로봇 그룹 작업 솔루션을 구축하도록 모색하고, 산업용 휴머노이드 로봇을 '자율적 단일 기기'에서 '그룹(군집) 지능'을 가지도록 진화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수십 대의 휴머노이드 로봇이 자동차 최종 조립 작업장, SPS(SET PARTS SUPPLY) 구역, 품질..

ABB 로보틱스, 英 오토메이티드 아키텍처와 제휴

▲영국 AUAR과 스위스 ABB 로보틱스가 제휴해 로봇 기반의 모바일 마이크로 팩토리로 건설 공정을 자동화하고 있다. (사진=ABB 로보틱스) 스위스 ABB 로보틱스가 영국 건설 기술 회사인 오토메이티드 아키텍처(AUAR)와 또다시 제휴해 지속 가능한 건설 연구 시설을 건설한다고 더로봇리포트가 3일(현지시각) 보도했다. 두 회사는 벨기에에 지속 가능한 건설의 발전을 보여주기 위한 연구 시설인 컨스트럭토로(ConstrucThor)를 건설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 결과물은 영국 AUAR의 마이크로 팩토리 기술을 활용하고 스위스 ABB 로봇으로 구동되는 자동화된 건설 공정을 사용해 조립된다. 이 시설이 완공되면 에너지 중립적 인프라와 기후 중립적 건축 자재를 연구하는 살아있는 실험실 역할을 하게 된다. 크레이그..

美 A3, ISO 10218 안전 표준 대폭 개정

▲미국 첨단자동화협회(A3)가 ISO 10218 안전 표준을 대폭 개정했다. 미국 첨단자동화협회(Association for Advancing Automation·A3)가 약 8년간의 작업 끝에 산업용 로봇 안전을 위한 글로벌 표준인 국제표준화기구(ISO) 10218 내용을 대폭 개정해 발표했다. 협동로봇·엔드오브암 툴링(EOAT) 등의 기능적 안전 요구사항을 명확화하는 내용 등이 포함돼 있으며 사이버 보안 요구사항도 들어 있다. 로보틱스247은 A3가 2011년 이후 처음으로 산업 로봇 제조업체와 시스템 통합업체(SI)들을 대상으로 하는 ISO 10218의 주요한 안전표준 내용을 개정해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A3는 2011년 이후 처음 개정된 새로운 문서가 산업 환경에서 로봇의 안전을 보장하는 데 큰 ..

종합 2025.03.05

씨드로닉스, 150억 규모 시리즈 B 투자 유치… 자율운항 AI 솔루션 해외 진출 본격화

▲ 씨드로닉스 CI와 AI 운항 지원 모니터링 시스템(NAVISS)의 사용자 UI 모습 AI 선박 자율운항 솔루션 선도기업 씨드로닉스는 시리즈 B 라운드에서 150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투자 라운드는 LB인베스트먼트, KB인베스트먼트, 한국산업은행이 신규 투자사로 참여했다. 또한 기존 투자자인 원익투자파트너스와 라이트하우스컴바인인베스트도 후속 투자를 단행했다. 씨드로닉스는 2015년 설립 이래, 우수한 연구진과 방대한 실제 운항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양 산업에서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상황 인식 AI 기술을 개발하며 선박 자율운항 솔루션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 빠르게 자리 잡았다. 특히 CES 2024 혁신상 수상, 세계 최초 선급 형식 승인, 해양수산부 신기술 및 혁신 제품 ..

클로봇-레인보우로보틱스, 제조물류로봇 협력 MOU 체결

▲ (좌) 이정호 레인보우로보틱스 대표, (우) 김창구 클로봇 대표(사진=클로봇) 지능형 로봇 서비스 전문기업 클로봇이 산업용 로봇 제조기업 레인보우로보틱스와 제조 물류 로봇 산업 발전 및 공동 비즈니스 창출을 위한 전략적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양사는 지난해부터 협력 사업을 전개해 왔으며, 이번 협약을 통해 2025년에는 협력 체계를 한층 강화하고 시장 확장을 위한 공동 프로젝트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클로봇은 ▲자율주행 솔루션 ▲작업제어 시스템 ▲통합관제 솔루션 개발을 담당하고,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자율이동로봇(AMR) 하드웨어 및 하드웨어 드라이버 개발을 맡게 된다. 양사는 완성된 제품의 공동 마케팅 및 시장 확대를 위한 공동 영업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특..

종합 2025.03.05

태국 쭐랄롱꼰대 연구팀, '외골격 휠체어' 개발

▲ 태국 연구팀이 외골격 휠체어를 개발했다(사진=쭐랄롱꼰대 ) 태국 쭐랄롱꼰대 연구팀이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로봇인 '엑소스켈레톤 휠체어(Exoskeleton Wheelchair)'를 개발했다. 이 기술은 쭐랄롱꼰대 공학부 부교수인 론나피 차이차오와랏 박사(Dr. Ronnapee Chaichaowarat)가 개발했으며, 기존 휠체어를 넘어 걷고 움직이는 등 더욱 향상된 이동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태국 아이언맨'이라는 별칭이 붙은 이 혁신적인 기술은 태국 연구팀이 개발한 최초의 엑소스켈레톤 휠체어다. 기존 휠체어와 달리 사용자가 스스로 일어서고 걸을 수 있도록 변형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장애인들은 계단을 오르거나 대중교통을 더 쉽게 이용할 수 있다. 이 프로젝트는 2021~2022년에 ..

로봇 스타트업 IR 행사 '2025 팁스밋업(로봇)', 이달 18일 개최

한국엔젤투자협회가 ‘2025 팁스밋업(로봇)’ 행사를 오는 18일 오후 2시 팁스타운에서 개최한다. '팁스밋업'은 중소벤처기업부 팁스(TIPS) 프로그램에 선정된 유망 스타트업들의 후속투자 유치 지원을 위한 IR 데모데이 행사다. 이번에는 '로봇'을 주제로 열린다. ‘2025 팁스밋업(로봇)’은 ▲ 산업분야 전문가의 인사이트 강연 ▲성공적인 투자유치 기업의 노하우 강연 ▲유망 팁스 창업기업 5개사의 IR 발표와 전문위원 피드백 등 프로그램으로 구성돼 있다. 대동 AI Lab 최준기 대표가 'Industry Vertical에서 바라보는 로봇 기술과 서비스', 럭스로보 오상훈 대표가 '로봇 회사가 투자받은 IR 꿀팁'을 주제로 키노트를 발표한다. IR 발표에는 5개사가 참여한다. 참여기업은 ▲디하이브(로봇 ..

종합 2025.03.05

개인정보보호위, 로봇청소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사전 실태 점검

개인정보보호위원회(위원장 고학수)는 최근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하는 가전제품인 로봇청소기의 판매량이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보주체의 영상·음성 정보 등을 처리하는 로봇청소기의 개인정보 수집·이용 현황에 대한 사전 실태점검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개인정보위는 국내 출시된 로봇청소기 국내외 주요 브랜드 제품을 중심으로 개인정보 처리 과정 전반에 대해 개인정보 보호법 준수 여부를 살펴볼 계획이다. 실태 점검 대상 로봇 청소기는 삼성전자, LG전자, 로보락, 에코백스, 샤오미 등 기업의 제품이며, 개인정보 처리 주체, 개인정보 처리 동의 여부, 수집·이용 항목 및 목적, 개인정보 보관·이전·전송 방식, 제3자 제공·공유 여부 등을 살펴볼 예정이다. 개인정보위는 이번 사전 실태점검을 통해 정보주체..

정책 2025.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