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코퍼레이션(대표 임준환)이 자체 보유한 전문 3D프린터로 기업체ㆍ연구기관ㆍ개인 등 다양한 소비자들의 주문을 받아 시제품이나 완제품으로 제조해주는 맞춤주문형 시제품 제작 사업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맞춤 주문을 의뢰하는 소비자가 3차원 모델링 파일이 없는 경우, 엘코퍼레이션의 제휴업체를 통해 3D 도면을 개발하여 출력 서비스도 제공한다. 폼랩을 비롯해 마크포지드, 샤이닝, 스냅메이커 등 글로벌 3D프린터를 국내에 다수 공급해 온 엘코퍼레이션은 비용 부담 등으로 3D프린터를 선뜻 구매하지 못하는 기업ㆍ연구소ㆍ교육기관 등에 3D프린팅을 활용한 시제품 제작을 2014년부터 제공해오고 있다.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의 '2018 3D프린팅 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2018년 국내 3D프린팅 시장은 전년 대비 16.3% 성장한 약 3958억원 규모를 형성한 것으로 파악됐다. 2019년에도 정부의 스타트업 육성정책 및 다품종 소량화를 추진하는 다양한 업종의 기업과 교육분야 등에서 3D프린팅을 활용한 시제품/완제품 제조가 활발하여 지난해 국내 3D프린팅 시장은 4000억원 이상일 것으로 예상된다. 3D프린팅의 출력물도 시제품이 42.7%로 가장 많았지만 완제품 27.8%, 교육연구용 16.4%, 전시용 모델 10.5% 등 다양할 뿐만 아니라 휴대폰 케이스, 화장품 용기, 피규어 등 생활밀착형으로 수요 다양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의료기기에 대한 3D프린팅 규제가 완화되면서 수술용 가이드 등 의료산업 내 맞춤형 3D프린팅 수요도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은 분석했다. 이 같은 시장 분석을 바탕으로 엘코퍼레이션은 자체 유통하고 있는 폼랩(Formlabs), 마크포지드(Markforged), 신트라텍(Sintratec), 샤이닝 등 다양한 3D프린터를 활용하여 우주항공, 자동차, 기계, 학교, 디자인, 치과/의료, 이어폰/보청기, 의류/패션 분야를 대상으로 적극적인 마케팅 및 영업 활동을 진행할 계획이다.
엘코퍼레이션은 그동안 소비자들이 제기해 온 기존 3D프린터 및 시제품 제작에서의 낮은 출력물 품질이나 출력물 크기 제한 등의 불만을 해소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임준환 대표는 “3D프린터로 시제품 제작을 경험한 의료 및 디자인 분야 소비자들의 약 45%는 출력물의 낮은 품질로 인해 불만이 컸으며 건축, 항공분야 소비자들의 31.3%는 출력물의 크기가 제한된다는 점에 가장 불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또 "3D프린터를 통한 시제품 제작은 대량 생산에서 대중 생산으로 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4차산업혁명의 첨병"이라며 "소규모 정보화제조를 추구하는 기업 및 기관들을 위해 다양한 시제품을 맞춤 제작함으로써 산업 발달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 |||||||||||
<저작권자 © 로봇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3D 프린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트라타시스, 3D 프린터 신제품 ‘J55’ 출시 (0) | 2020.05.12 |
---|---|
알파퓨라 로보틱스, 재활용품 리사이클링용 3D 프린터 개발 (0) | 2020.05.12 |
큐비콘, 뉴트리진과 바이오 3D프린터 및 소재 개발 업무협약 (0) | 2020.04.10 |
현대엔지니어링, 로봇ㆍ3D 프린팅 활용 비정형 건축 시공기술 개발 (0) | 2020.03.26 |
엘코퍼레이션, ‘스냅메이커 1.0 버전 3-in-1’ 공급 (0) | 2020.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