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 230

한국기계연구원, 차세대 모터 제작 위한 자성체 3D프린팅 기술 개발

▲ 기계연 자율제조연구소 3D프린팅장비연구실 하태호 책임연구원 연구팀. 왼쪽부터 하태호 책임연구원, 최준필 선임연구원, 신동운 선임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원장 류석현) 자율제조연구소 3D프린팅장비연구실 하태호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한국재료연구원 김태훈 책임연구원 연구팀, 가천대학교 김원호 교수 연구팀 등과 협력해 설계, 소재, 공정, 장비를 아우르는 자성체 특화 3D프린팅의 전 주기적 기술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동일 크기에서 더 높은 출력을 내는 고성능 모터 제작이 가능해졌다. 이번 기술의 핵심은 자성체 물성을 극대화하는 3D프린팅 장비를 개발해 금형 제작이 필요 없고 2차원 형상 제약을 극복해 모터 성능 한계를 넘어설 수 있다는 점이다. 이 기술은 제한된 공간에서 높은 토크와 출력을 요구하는 로봇, 전기..

3D 프린팅 2024.12.03

덴마크 미르,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MC600’ 발표

덴마크 MIR(Mobile Industrial Robots·미르)가 최신 제품인 모바일 협동로봇(코봇) ‘MC600’을 발표해 자사 '미르 고(MiR Go)' 승인 제품 목록을 늘렸다고 오토메이티드웨어하우스가 보도했다. 장-피에르 하투트 미르 사장은 “MC600은 이동로봇의 ‘다리’에 협동로봇의 ‘팔’을 통합함으로써 하나의 시스템으로 팔레타이징과 머신텐딩 같은 여러 자동화 워크플로우 과제를 해결한다. 일부 회사에서는 이러한 작업을 위해 휴머노이드 로봇이나 일회성 맞춤형 모바일 협동로봇 솔루션을 모색했지만 여전히 광범위한 산업적 사용과는 거리가 멀다. MC600은 오늘날의 복잡한 자동화 과제를 안전하게 처리할 준비가 됐다”고 말했다. 미르는 팔레트를 포함한 광범위한 탑재물에 대한 내부 물류를 자동화하고 자..

위플로, AI 에어택시 점검 솔루션 공개

AAM(미래항공모빌리티) 솔루션 스타트업 위플로가 영국 런던에서 개최된 세계 최대 규모 에어택시 전시회 ‘에어택시 월드 콩그레스(AIRTAXI World Congress)’에서 에어택시의 AI 스마트 점검 솔루션을 선보였다. 이번 전시회에서 위플로는 AI 기술을 활용한 'IAI(Intelligent AAM Inspection) 플랫폼'을 공개했다. IAI 플랫폼은 버티포트 및 격납고에 적용 가능한 자동화된 기체 점검 솔루션으로, 기존 육안 점검의 한계를 극복하며 더욱 정확하고 효율적인 기체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비접촉 방식으로 구동부 상태, 외관 결함 등을 점검할 수 있어 안전성을 높이고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IAI 플랫폼’의 경우 원하는 공간에 원하는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모듈형으..

서울로보틱스, ‘브릿지 라운드’ 신규 투자 유치

산업용 자율주행 기업 서울로보틱스(대표 이한빈)가 벤처캐피탈 ‘티케인베스트먼트’의 신규 투자를 유치하며 브릿지 라운드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3일 밝혔다. 복수의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들과 본 계약 체결을 위한 절차를 진행하고 있는 서울로보틱스는 미국과 일본, 중국 시장의 성공적인 진출을 위한 우수 인재 영입에 집중하고 있다. 또한, 복수의 글로벌 메이저 자동차 제조사들은 서울로보틱스가 독자 기술로 개발한 산업용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레벨5 컨트롤 타워’ 기술을 도입하기 위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서울로보틱스가 전 세계 자동차 제조사들의 뜨거운 주목을 받는 이유는 폭설·폭우 같은 혹독한 기상 조건에서도 운전석이나 조수석에 안전요원이 없는 자율주행 기술을 완벽히 구현할 수 있는 기업이기 때문이다. 이한빈 ..

종합 2024.12.03

HD현대로보틱스, IBK기업은행과 100억원 동반성장 펀드 조성

HD현대로보틱스가 중소기업 인력난 해소를 위한 동반성장 펀드 조성에 나선다. HD현대로보틱스는 최근 IBK기업은행과 총 100억원 규모의 동반성장 펀드를 신설했다고 2일 밝혔다. 조성된 자금은 중소기업의 자동화 설비 도입 지원 자금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만성적인 인력난으로 인해 자동화 설비 도입이 시급하지만 재원 마련에 고충을 겪는 중소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이다. HD현대로보틱스는 동방성장 펀드를 활용, 회사 제품 구매 기업들에 1.78%의 금리 감면 혜택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인력난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이 HD현대로보틱스의 산업용 로봇 구매를 희망할 경우, 동반성장 펀드를 통해 구매 부담을 상당 부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HD현대로보틱스는 사업장 내 자동화 설비의 확산이 안..

종합 2024.12.02

호주 CSIRO, 아기 산호 생육을 위한 소프트 로봇 핸드 개발

▲ 참에 부착된 소프트 로보핸드. 가운데 아기 산호가 있다. 호주 연방과학산업연구기구(CSIRO·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가 실험실에서 아기 산호(baby coral)를 생육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소프트 로봇 핸드를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이 소프트 로봇 핸드는 아기 산호를 생육하는 섬세하고 노동집약적인 과정에 혁신을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생육된 아기 산호는 산호 생태계 복원에 활용될 수 있다. 이 로봇 핸드는 '참(CHARM·Coral Husbandry Automated Raceway Machine)'으로 불리는 산호 재배 로봇에 부착하도록 설계됐다. 참과 비욘드코랄재단(Beyond Coral Founda..

中 수술 로봇 기업 세이지봇, 인도네시아 시장 진출

중국 수술 로봇 기업 세이지봇이 인도네시아 시장에 진출했다. 2일 중국 언론 헤이룽장르바오에 따르면 중국 하얼빈(哈尔滨) 세이지봇인텔리전트메디칼(AAGEBOT INTELLIGENT MEDICAL, 思哲睿智能医疗, 이하 세이지봇)이 인도네시아 의료 기기 유통 판매 기업 시느르기메디카우따마(Sinergi Medika Utama)와 제휴해 인도네시아 수술 로봇 시장에 진출한다. 양사는 내년 2월부터 인도네시아 고객들에게 세이지봇의 복강경 수술 로봇을 공급한다. 향후 1년 간 인도네시아에서 4000만 위안(약 77억 1800만 원) 규모의 매출을 올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중국 헤이룽장성(城) 정부가 인도네시아 기업 및 기관과의 교류 활동을 늘리고 양사를 매칭해 의료 기기 마케팅 및 무역에 대한 협력이 이뤄진..

中 허페이, 지하철 전력 공급 장치 점검 로봇 도입한다

중국 허페이(合肥)시가 지하철 전력 공급장치 점검용 로봇을 도입해 점검 효율과 정확도를 높인다. 2일 중국 언론 안후이상바오에 따르면, 허페이(合肥)시 도시농촌건설국(城乡建设局) 도시건설소방사무센터는 도심 철도교통 지하철 8호선(Hefei Metro Line 8)에 전력공급 지능형 순찰 로봇을 도입해 운영할 계획이다. 허페이 철도 교통 8호선은 남북 방향으로 연결된 간선 교통망이다. 남쪽 끝 이리징(一里井)역에서 시작해 북쪽 베이청가오톄(北城高铁)역까지 이어진다. 선로 길이가 22.5km이며 총 12개의 역을 두고 있다. 이중 2개는 환승역이다. 선로 북측에는 베이청 열차 차고와 두 개의 메인 변전소, 한 개의 공기 통로 등 총 16개의 시설물이 있다. 계획에 따르면 이 선로는 올해말 개통해 운영에 돌입..

日 야마젠, 협동로봇ㆍAGV 최적 배치위한 모빌리티 시스템 출시

▲로보코타츠와 모바일 로봇을 이용해 협동 로봇을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일본 야마젠(Yamazen,山善) 자회사인 '야마젠TFS지사'는 협동로봇이나 무인운반로봇(AGV)을 최적 배치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모빌리티 시스템인 ‘로보-코타츠(ROBO-COTATZ)’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야마젠에 따르면, 제조업계는 인력 부족이 심화하면서 작업자와 동일한 공간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협동로봇이나 기존의 운반 작업을 대체하는 AGV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다품종 소량 생산이나 검사공정 자동화 현장을 중심으로 로봇이나 AGV 도입대수가 증가하고 있지만 로봇의 가동률은 떨어지고 비용 대비 효과가 높지 않아 개선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를 개선하기위해 야마젠은 로봇이나 설비 자체를 적재적소..

한국로봇융합연구원-한국전자기술연구원, AI·로봇 분야 협력키로

한국로봇융합연구원(원장 여준구, 이하 KIRO)이 한국전자기술연구원(원장 신희동, 이하 KETI)과 2일 KETI 로봇플러스 테스트필드(서울 수서)에서 첨단 로봇 및 인공지능 분야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KIRO와 KETI는 이번 업무협약을 시작으로 인공지능, 로봇 등 첨단 분야의 공동 기술 개발을 추진할 수 있도록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데 합의했다. KIRO는 로봇기술의 R&D에 특화된 국내 유일의 로봇전문생산기술연구소로, 로봇융합기술개발 및 사업화를 바탕으로 국내 로봇기업을 육성하고 있으며, 로봇기술정책 및 기술개발 로드맵 수립, 로봇활용 전문가 양성 등을 지원하고 있다. KETI는 지난 7월 서울 최초의 로봇 공공기반 시설인 강남 로봇플러스 테스트필드를 개소한 이후..

종합 2024.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