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8 15

中 휴머노이드 로봇 기업 '로봇에라', 1000억원 투자 유치

▲ 중국 로봇에라의 휴머노이드 로봇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기업 로봇에라가 1000억원에 육박하는 규모의 투자금을 유치하고 제품 양산에 속도를 낸다.​7일 중국로봇망에 따르면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기업 로봇에라(Robot Era, 星动纪元)가 5억 위안(약 952억 3500만원) 규모 시리즈 A 라운드 투자를 받았다고 밝혔다.​이번 투자는 CDH인베스트먼츠(CDH Investments, 鼎晖投资) 산하 딩후이(鼎晖)VGC와 하이얼캐피탈(Haier Capital, 海尔资本)이 공동으로 이끌었다.​이번 투자 금액은 휴머노이드 로봇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기술 연구개발과 제품 양산에 쓰인다. 모델-본체-현장 데이터에 이르는 폐쇄루프 환경을 빠르게 운영할 수 있는 기술 개발도 가속한다.​로봇에라는 2023년 8월 ..

中 휴머노이드 로봇 마라톤 챔피언 '톈궁', 모션 제어 프레임워크 공개

▲휴머노이드 로봇 하프마라톤에서 우승을 차지한 톈궁 휴머노이드 로봇중국에서 열린 휴머노이드 로봇 하프 마라톤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한 로봇의 핵심 기술이 오픈소스로 공개됐다.​7일 중국 언론 IT즈자에 따르면 베이징휴머노이드로봇혁신센터가 공식 소셜미디어 계정을 통해 정식으로 오픈소스 모션 제어 프레임워크 '톈궁-랩(Tien Kung-Lab)'을 발표했다. 로봇 마라톤 챔피언의 모션 제어 알고리즘을 오픈소스로 공개한 것이다.​센터는 이번 알고리즘 발표를 통해 고성능 휴머노이드 로봇의 모션 제어 프레임워크 영역의 업계 공백을 보완하면서 산업 현장과 물류 현장, 특수 작업 등 복잡한 환경에서 모듈화 응용하기 위한 핵심 기초 기술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모션 제어 성능은 환경 적응성과 임무 실행 성능을 위한 ..

加 애페트로닉스, 완전 자동화 키친 플랫폼 공개

▲캐나다 애페트로닉스는 아시아 및 멕시코 두 가지 새로운 로봇 요리 분야를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사진=애페트로닉스)캐나다 로봇 식음료 시스템 공급업체 애페트로닉스(Appetronix)가 차세대 완전 자율형 주방 플랫폼을 공개했다고 로보틱스247이 지난 4일(현지시각) 보도했다.​애페트로닉스는 자사 플랫폼이 퀵 서비스 레스토랑(QSR)의 대규모 운영 방식을 재정의할 것이라고 밝혔다.​이 회사는 콜럼버스에 있는 도나토스 피자에 성공적으로 완전 자율형 주방 도입을 완료한 데 이어 이제 아시아 및 멕시칸 두 가지 새로운 요리 로봇 분야를 적극적으로 개발해 늘려가고 있다.​애페트로닉스는 이러한 새로운 기술을 통해 탁월한 품질, 속도, 일관성을 유지하면서도 사람의 개입없이 다양한 음식을 제공할 수 있는 애페..

오토노머스에이투지, 그랩과 협업... 싱가포르 최초 도심 자율주행 셔틀 운행

▲오토노머스에이투지x그랩 싱가포르 도심 공동도로 최초 자율주행 셔틀 운영(좌 Yee Wee Tang 그랩 운영 매니징 디렉터, 우 김호진 오토노머스에이투지 사업개발실 상무)글로벌 자율주행 스타트업 오토노머스에이투지(대표 한지형)가 동남아시아 슈퍼앱 그랩(Grab)과 협력해 싱가포르 도심 공공도로 최초로 자율주행 셔틀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8일 밝혔다.​에이투지는 이번 협업을 통해 싱가포르의 그랩 본사와 원노스 지하철(MRT)역 사이 3.9km 구간에서 그랩 임직원을 대상으로 24인승 버스 기반 자율주행 셔틀을 운행한다. 에이투지의 레벨4 자율주행 솔루션이 탑재..

로봇카 2025.07.08

美 시브 로보틱스, 자동측량기술로 100억원 유치

▲시브닷은 건설 현장 측량 자동화를 위해 설계됐다. (사진=시브 로보틱스) 건설 업계가 자동화 도입에 소극적이긴 하지만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는 기술이 부상하고 있다.​미국 시브 로보틱스(Civ Robotics)가 자율 지상 측량 기술로 시리즈 A 펀딩 라운드에서 750만 달러(약 102억원)를 유치했다고 더로봇리포트가 보도했다.​이로써 지금까지 이 회사의 총 투자유치 규모는 1250만 달러( 약 171억원)에 달한다.​시브 로보틱스는 이번 투자를 통해 건설 로봇 개발을 지속하고 재생 에너지와 태양광 발전에 중점을 두고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을 확대해 갈 계획이라고 밝혔다.​톰 예슈룬 시브 로보틱스 공동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CEO)는 “건설 현장의 비효율성에 큰 좌절감을 느꼈다. 기술적으로 오랫동안 뒤처져 ..

종합 2025.07.08

웨이비스, 인도 안티드론 시장 공략 본격화

▲이미지=웨이비스질화갈륨(GaN) RF 반도체 전문기업 웨이비스(대표 한민석)가 인도 대표 민간 방산기업과 안티드론 재머(Jammer)용 고출력 증폭 모듈 수출 계약을 맺고, 인도 안티드론 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이번에 수주한 고출력 증폭 모듈은 전파 방해를 통해 드론을 무력화하는 재머에 탑재되는 핵심 부품으로 웨이비스의 질화갈륨(GaN) RF 반도체 칩이 탑재된다. 고주파 대역에서 높은 출력과 효율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질화갈륨(GaN) RF 반도체는 첨단 무기 시스템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으며, 그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이번 수주는 2023년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계약에 이은 후속 프로젝트로 웨이비스의 고출력 증폭 모듈이 탑재된 안티트론 재머는 최종적으로 인도 국방부에 납품되어 인도와 파키스..

드론 2025.07.08

달봇, 마늘의 식감 저해하는 마늘꼭지 제거로봇 출시

▲ 마늘꼭지 제거 로봇마늘 꼭지를 제거하는 인공지능 로봇장비가 등장해 마늘 가공식품의 맛과 품질이 크게 향상될 전망이다.​경북 달성의 푸드테크 전문기업 달봇(대표 강정근)은 마늘의 꼭지부분을 제거하는 마늘꼭지로봇을 출시했다. 이 시스템은 인공지능 비전 검사기술로 하루 평균 300kg의 깐마늘을 스캔해 불량품을 거르고 꼭지부위를 자동으로 제거한다. 마늘꼭지로봇 여러 대를 모듈식으로 한 곳에 설치하면 컨베이어를 통해 대량의 마늘꼭지 처리작업도 지원한다.▲ 로봇이 마늘 꼭지를 제거하고 있다.마늘 꼭지는 식감이 거칠고 질겨서 식자재로 쓸모 없지만 하나씩 수작업으로 제거하기에 매우 까다롭다. 시중의 마늘제품은 대부분 질긴 꼭지가 붙은 상태로 소비된다.​달봇은 마늘꼭지 제거로봇이 작업자 3명을 대체할 수 있어 고령..

현대글로비스, ‘자율비행 드론’ 활용 재고 관리 시스템 도입

▲카메라 비전 기술 기반의 ‘자율비행 드론’(사진=현대글로비스)현대글로비스가 카메라 비전 기술 기반의 ‘자율비행 드론’을 물류센터 재고 관리에 투입해 업무 효율화를 이뤄냈다고 7일 밝혔다.​현대글로비스는 올해 상반기부터 자율비행 드론 2대를 미국 조지아주 엘라벨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안의 통합물류센터(CC)에 투입해 자동차 반조립부품(KD) 재고조사에 활용하고 있다.​드론이 투입되면서 기존의 육안을 통한 재고 조사 대비 시간이 90% 이상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지상 3.5m 이상에 위치하거나 사각지대에 있어 사람이 놓치기 쉬운 물품의 재고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언제든 재고 조사가 가능하기에 인력의 피로도를 줄여 업무 효율성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

드론 2025.07.08

당뇨 환자의 '신장 위험' AI로 미리 예측한다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연동건·이상열 교수 연구팀(우세린 연구교수, 황승하·조재형·김소은 연구원, 성균관대 원홍희 교수)이 국내외 대규모 의료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 만성신장질환(Chronic Kidney Disease, CKD)이 5년 이내 발병할 위험을 조기에 예측할 수 있는 다중모달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했다. ​이 모델은 임상검사 정보와 망막 영상을 결합해 기존 AI보다 높은 정확도와 설명 가능성을 확보했다. 혈관 합병증 위험도 예측할 수 있어 향후 정밀의료와 환자 맞춤형 관리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 연구 성과는 세계적 당뇨병 학술지인 'Diabetes Care' 온라인판에 게재됐다.​당뇨병은 전 세계적으로 유병률이 높고, 신장질환은 그 대표적 합병증의 하나다. 조기 예측..

인공지능 2025.07.08

CJ대한통운, 中 크록스 물류센터에 로봇분류시스템 적용

▲(사진=CJ대한통운)CJ대한통운은 중국 상하이시 자딩구에 소재한 크록스센터에 자체 개발한 로봇분류시스템 ‘MAAS(Mini AGV Assorting System)’를 적용했다고 8일 밝혔다. 앞서 CJ대한통운은 지난해 2월 경기도 이천에 있는 크록스 통합물류센터에 MAAS를 처음 도입했다.​MAAS는 수십 대의 운송로봇(Mini AGV)을 활용해 다양한 종류의 상품 및 박스 운반, 지역 분류작업(고객사 매장)등을 자동화한 시스템이다. 미니 AGV가 스스로 작업자의 픽킹(상품 픽업) 상품을 박스로 이동시키면 또 다른 작업자가 포장 후 출고하는 방식이다. 과거에는 근무자가 직접 상품 수거부터 분류, 포장 등에 이르는 업무를 수행했지만 MAAS 체계에서는 다수 작업이 자동화돼 업무속도는 물론 분류 정확성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