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3 13

항공안전기술원, K-드론 배송서비스 본격화

▲‘드론배송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는 항공안전기술원.항공안전기술원(원장 황호원)은 전국 각지에서 ‘드론배송 서비스’를 순차적으로 개시했다고 3일 밝혔다. ​항공안전기술원은 올해 4월부터 ‘K-드론배송 상용화 사업’을 시작했다. 이 사업은 국토교통부가 주관하고 항공안전기술원이 수행하는 ‘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지난해부터 추진됐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양주시, 성남시, 포천시, 인천광역시, 공주시, 서산시, 남원시, 여수시, 김천시, 통영시, 울주군, 창원특례시, 제주특별자치도가 참여했다. 올해 시흥시, 안양시, 이천시, 원주시, 보령시, 대전광역시, 김제시, 고흥군, 영주시, 상주시가 새롭게 합류했다. ​항공안전기술원은 각 지자체가 사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담당 PM 제도 ▲정기..

드론 2025.07.03

한국엡손, 최경량 하이엔드 미니 스카라 로봇 ‘GX1-C’ 시리즈 선봬

▲하이엔드 미니 스카라 로봇 ‘GX1-C’한국엡손이 콤팩트한 사이즈로 자동화 생산 라인의 작업 효율을 극대화한 하이엔드 미니 스카라 로봇 ‘GX1-C’ 시리즈를 론칭한다.​GX1-C 시리즈는 기존 G1 시리즈의 후속 모델이다. 이번 신제품은 엡손 스카라 로봇 라인업 가운데서도 최경량인 8kg의 본체로,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한 것이 특징이다. 엡손은 GX1-C 시리즈가 특히 메디컬 및 전자 부품 조립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신제품 시리즈의 최대 가반 중량은 1kg(4축 기준), 1.5kg(3축 기준)이며 고강성 본체에 암 길이는 175-225mm로 소형 전자 부품의 고속 반송 및 정밀한 조립에 최적화 돼있다. 또한, 콤팩트한 설계로 생산 라인의 길이를 줄이고 랙과 펜스 등 주변 설비..

산업용로봇 2025.07.03

포탈301, 국토부 ‘2025년 건설현장 고소작업 로봇·XR 협업 기술 개발’ 사업 선정

AI 로보틱스 전문 스타트업 포탈301(대표 박장준)이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2025년 건설현장 다목적 고소작업을 위한 로봇 플랫폼 및 XR 기반 인간-로봇 협업 기술 개발 사업’에 공동 연구기관으로 선정됐다.​해당 사업은 총 320억 원(정부출연금 170억 원 포함)이 투입되는 대형 국가 연구개발 과제로, 2025년 4월부터 2029년 12월까지 약 5년간 수행된다. 서울대학교가 주관기관을 맡고, 현대엔지니어링, KCC, 포탈301을 포함한 16개 기업·연구기관이 컨소시엄 형태로 참여한다.​이번 과제는 건설 산업의 대표적인 고위험 작업인 고소작업 공정을 로봇과 XR(확장현실) 기술 기반의 인간-로봇 협업 체계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간 인력에 의존해온 고소 작업(용접, 도장, 내화 뿜칠 등)..

로크웰 오토메이션, 기아 슬로바키아 법인 차체 공장 자동화 시스템 현대화 지원

산업 자동화 및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문기업 로크웰 오토메이션(Rockwell Automation, Inc.)은 기아 슬로바키아(Kia Slovakia) 법인의 차체 공장에 최신 서보(Servo)기술을 구현해 핵심 생산 설비인 리프터(Lifter)의 안정성과 디지털 운영 역량을 대폭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이번 프로젝트는 차량 조립 공정에서 차체 부품을 들어 올리고 정밀하게 위치를 제어하는 리프터(lifter) 시스템의 노후 장비를 로크웰 오토메이션의 알렌 브래들리 키네틱스(Allen-Bradley Kinetix) 5700 서보 드라이브와 MPL 서보 모터로 업그레이드하는 것이 핵심이다. 서보 시스템은 로크웰 오토메이션의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및 네트워크 아키..

산업용로봇 2025.07.03

아이비스, ‘3-티어 연계형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통합 검증 과제’ 참여

차량용 모빌리티 소프트웨어 기업 아이비스(IVIS, 대표 남기모)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의 일환으로 추진중인, ‘3-티어(Tier) 연계형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통합 검증용 클라우드 기반 평가 모델·프로세스 개발’ 과제에 참여한다고 밝혔다.​이 과제는 차량(Vehicle), 엣지 인프라(Edge), 클라우드(Cloud)로 구성된 3단계(3-Tier) 자율주행 시스템에서 생성·전송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율주행 소프트웨어의 운행설계범위(ODD) 준수 여부와 데이터의 무결성·정합성을 신뢰성 있게 검증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통합 평가 모델과 프로세스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자율주행 시스템 전반에 걸친 실시간 연동성과 안전성을 확보하고, 데이터 기반의..

루닛, AI 진단 솔루션 도입 의료기관 '글로벌 1만곳' 돌파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대표 서범석)은 AI 영상진단 솔루션 도입 의료기관 수가 지난달 말 기준 전 세계 1만곳을 돌파했다고 3일 밝혔다.​이는 루닛 제품을 도입한 의료기관 6500곳에 더해 지난해 5월 자회사로 편입한 볼파라 헬스(Volpara Health, 이하 볼파라)의 도입기관 3500곳을 합한 수치다.​루닛은 지난 2019년 흉부 엑스레이 AI 영상분석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CXR'과 유방촬영술 AI 영상분석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MMG'를 출시했다.​이후 2020년말 100곳, 2022년말 1000곳, 2023년말 3000곳을 넘어섰고, 이번에 6,500개 기관에 제품을 공급하며 약 18개월 만에 두배 넘는 고속 성장을 이뤘다. 볼파라 역시 인수 당시 2000곳 남짓의 도입 기관이..

인공지능 2025.07.03

한국퀀텀컴퓨팅, 하이엔드 고성능 AI 데이터센터 구축으로 ‘AI 시장 본격 진출’

▲KQC AI DC 이미지양자컴퓨팅 연구개발 및 양자보안, AI 인프라 운영 기업인 한국퀀텀컴퓨팅(KQC, 대표 김준영)은 디지털엣지 부평 데이터센터에 엔비디아(NVIDIA) H200 GPU 기반의 초고성능 ‘AI GPU 팜(AI GPU Farm)’을 구축하고, 4일부터 클라우드 기반 고성능 컴퓨팅서비스(GPUaaS)를 시작한다고 밝혔다.​KQC는 LLM과 AI 코파일럿, 멀티모델 AI 등 새로운 응용 시장이 성장하고 보다 더 큰 메모리에 대한 니즈와 연산 수요가 폭증하고 있는 최근 시장에 발맞춰, 국내 기업과 기관들이 클라우드를 통해 유연하게 컴퓨팅 자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이제 고객들은 직접 운영체제를 설치하고 제어할 수 있는 물리서버(Dedicated Bare Metal) 환경에서 직..

인공지능 2025.07.03

伊 코마우, 새 AMR·코봇·외골격 선봬

▲코마우가 오토메티카 2025에서 선보인 마이엠알 자율이동로봇(AMR) 제품군은 레이아웃 변경에 따라 동적으로 조정되도록 설계됐다. (사진=코마우) 이탈리아 산업 자동화 공급업체인 코마우가 독일 뮌헨에서 열린 오토매티카 2025(6.24~27)에서 마이엠알(MyMR) 자율이동로봇(AMR), 마이코(MyCo) 협동로봇(코봇), 엑소스켈레톤(외골격) 을 대거 선보였다고 더로봇리포트가 28일(현지시각) 보도했다.​니콜 클레멘트 코마우 최고 사업 부문 책임자는 “오토매티카에서 마이엠알 로봇 제품군을 글로벌 시장에 선보인 것은 지능형 모바일 자동화를 통해 내부 물류를 재정의하려는 코마우의 노력을 보여주는 것이다. AMR과 AGV는 산업 자동화 분야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 중 하나로서 우리의 예측에 따르면 ..

로엔서지컬 신장결석 수술로봇 ‘자메닉스’, 인도네시아에서 첫 수술 성공

수술로봇 플랫폼 기업 로엔서지컬(대표 권동수)은 자사가 개발한 세계 최초 AI 기반 신장결석 수술로봇 ‘자메닉스(Zamenix)’가 인도네시아에서 첫 수술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3일 밝혔다.​이번 수술은 본격 장비 도입 전 현지 시장의 인지도와 신뢰도 구축을 위해 시범적으로 진행된 행사로, 인도네시아 내 자메닉스에 대한 시장 반응을 평가하기 위해 마련됐다.▲인도네시아 자카르타의 최고 권위 국립병원인 RSCM(Dr. Cipto Mangunkusumo Hospital)에서 현지의 의료진들과 로엔서지컬 직원들이 신장결석 수술로봇 자메닉스 데모 도입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로엔서지컬)이 행사는 지난 6월 18일부터 지난주까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의 국립병원인 RSCM(Dr. Cipto Mangunkusum..

美 비프, 플로리다 잭슨빌서 완전 자율 셔틀 ‘내비’ 운행 개시

▲비프가 플로리다 잭슨빌에서 완전 자율주행 대중교통 시스템인 내비(NAVI·Neighborhood Autonomous Vehicle Innovation)셔틀 운행에 들어갔다고 발표했다. (사진=비프)미국 플로리다에 본사를 둔 비프(Beep)가 플로리다 잭슨빌에서 완전 자율주행 대중교통 시스템 '내비(NAVI·Neighborhood Autonomous Vehicle Innovation)' 셔틀 운행에 들어갔다고 더로봇리포트가 30일(현지시각) 보도했다.​비프(Beep)는 옥사(Oxa)의 자율주행 시스템(ADS)과 통합된 ‘바이아메리카(Buy America)’ 및 장애인법(ADA·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 규정을 준수하는 포드 E-트랜짓(Ford E-Transit) 차량으로 ..

모빌리티 2025.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