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4 12

KAIST-하이퍼엑셀, 고성능·저전력 NPU 핵심 기술 개발

오픈AI 챗GPT4, 구글 제미나이 2.5 등 최신 생성형AI 모델들은 높은 메모리 대역폭(Bandwidth) 뿐만 아니라 많은 메모리 용량(Capacity)를 필요로 한다.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 생성형AI 클라우드 운영 기업들이 엔비디아 GPU를 수십만 장씩 구매하는 이유다. 이런 고성능 AI 인프라 구축의 핵심 난제를 해소할 방안으로, 국내 연구진이 최신 GPU 대비 약 44% 낮은 전력 소모에도 평균 60% 이상 생성형 AI 모델의 추론 성능을 향상할 NPU(신경망처리장치) 핵심 기술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KAIST는 전산학부 박종세 교수 연구팀과 (주)하이퍼엑셀(전기및전자공학부 김주영 교수 창업기업)이 연구 협력을 통해, 챗GPT와 같은 생성형AI 클라우드에 특화된 고성능·저전력의 NPU(신..

종합 2025.07.04

DGIST 임용섭 교수 연구팀, IAS 학술대회 최우수 논문상 수상

▲7월 4일 이탈리아 제노아에서 열린 제19회 지능형자율시스템 국제컨퍼런스에서 배종호 연구원이 최우수 논문상을 수상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이건우 총장) 로봇및전자공학과 임용섭 교수 연구팀이 지난 6월 30일부터 7월 4일까지 이탈리아 제노아에서 열린 '제19회 지능형자율시스템 국제컨퍼런스(IAS:Intelligent Autonomous Systems 19)'에서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DGIST 로봇및 전자공학과 임용섭 교수(사진 왼쪽)와 배종호 박사과정 모습 DGIST 배종호 박사과정(제1저자)이 대표 수상한 최우수 논문상은 "Platform development and durability testing of an amphibious reconnaissance r..

종합 2025.07.04

대구광역시, 휴머노이드 로봇 활용 '제조 특화 거점센터' 구축 나선다

대구광역시가 산업통상자원부 '로봇 플래그쉽 사업' 공모에 2년 연속 선정돼 전국 최초로 휴머노이드 로봇을 지역 특화 제조 공정에 접목한 테스트베드를 구축한다.​로봇 플래그쉽 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의 '지능형 로봇 보급 및 확산' 사업의 일환으로, 중앙과 지자체 협력을 기반으로 지역별 특화 로봇산업의 경쟁력 제고 및 확산을 견인할 수 있는 '로봇 플래그쉽 지역거점 구축'을 목표로 한다.​이번 공모 선정으로 대구시는 휴머노이드 로봇을 적용해 부품의 이동·적재 및 검사·분류 공정 등에 로봇의 사용성 평가·분석 체계를 마련하는 AI기반 휴머노이드 로봇 활용 '제조 특화 거점센터' 구축에 나설 수 있게 됐다.​또한, 휴머노이드 로봇을 활용한 SI기업을 적극 육성하고 데이터플랫폼 구축 및 이족보행 제어기술을 확보하는..

정책 2025.07.04

日 도쿄대 스타트업 하이랜더스, 휴머노이드 로봇 ‘HL 휴먼’ 공개… 2026년 양산 예정

▲하이랜더스(Highlanders)가 지난 30일 휴머노이드 로봇 ‘HL 휴먼’의 프로토타입 모습일본 도쿄대 출신 로봇 스타트업 하이랜더스(Highlanders)가 지난 30일 휴머노이드 로봇 ‘HL 휴먼’의 프로토타입을 처음으로 공개했다.​HL 휴먼은 19 자유도를 지닌 인간형 구조와 고출력 액추에이터, 생성형 AI 기반 자연어 인터페이스를 갖춘 AI 탑재 로봇이다. 제조현장, 물류창고, 인프라 점검, 재난 대응 등에서 인간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는 자율형 기계를 목표로 하고 있다. 양산형 제품의 출시는 2026년으로 예정되어 있다.​하이랜더스는 오는 9월부터 베타 제공 프로그램을 시작하고, 4분기부터 파트너 기업 을 대상으로 '조기 접근 프로그램(Early Access Program)'을 통해 프로토..

중국 갤봇, 1억 5300만달러 신규 투자 유치 …'G1' 로봇 연내 100개 매장에 공급한다

▲중국 로봇 전문기업 갤봇의 G1 로봇중국 로봇 전문기업 갤봇(GALBOT·Galaxy General Robot Co., 银河通用)이 최근 11억위안(약 1억 5300만달러, 약 2천억원) 규모 투자 유치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갤봇은 지난 2년간 총 3억 3500만달러(약 4555억원)의 투자금을 확보했다. ​갤봇은 지난 3월, 플래그십 로봇인 G1을 공개했다. 이 반휴머노이드(semi-humonoid) 이동형 조작 로봇은 바퀴와 두 개의 팔을 갖추고 있으며, 재고 관리, 제품 보충, 배송, 포장 자동화를 목표로 설계됐다. 갤봇 측은 G1이 자체 인공지능 모델을 통해 5000가지 종류의 상품을 처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특히, G1은 새로운 매장에 배치하는 데 단 하루밖에 걸리지 않는다는 점을 ..

中 피아오토메이션-애지봇, 휴머노이드 로봇 양산 돌입… 첫 대규모 수주도 확보

중국의 자동화 기업과 로봇 기업이 손잡고 휴머노이드 로봇의 양산 체제를 본격 가동한다. 이미 50대 규모의 초기 수주도 확보하며 상용화 단계에 돌입했다.​2일 중국 신랑차이징에 따르면, 중국 피아오토메이션(PIA Automation, 均普智能)의 자회사인 푸즈웨이라이지치런(普智未来机器人)은 최근 ‘로봇 범용 제품 제조 인증’ 행사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푸즈웨이라이지치런은 상하이 소재 로봇 기업 애지봇(AgiBot, 智元机器人)으로부터 범용 제품 인증을 획득한 첫 생산 기업으로 공식화됐다.​양사는 공동 개발한 ‘애지봇 G1’과 ‘A2’ 휴머노이드 로봇의 대량 생산을 위한 파일럿 라인을 통해 양산 체제에 돌입했다. 특히 ‘A2’는 범용 휴머노이드 로봇으로서 산업 현장 적용을 목표로 한다.​푸즈웨이라이지치..

中 유비텍, 100억 원 투자해 신규 로봇 법인 설립… AI 로봇 사업 박차

중국 로봇 전문 기업 유비텍(UBTECH, 优必选)이 약 100억 원을 투자해 신규 로봇 회사를 설립하고 로봇 사업 확장에 나섰다.​중국 매체 진룽졔에 따르면, 유비텍은 최근 저장성 항저우(杭州)에 새로운 로봇 법인을 세웠으며, 산업용 및 지능형 로봇의 제조·판매·연구개발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신설 법인의 자본금은 5000만위안(약 95억원)이며, 유비텍이 지분 100%를 보유한다. 대표는 하오바오위(郝宝玉)다.​기업 정보 플랫폼 치차차에 따르면 이 회사는 산업용 로봇 제조, 서비스용 소비자 로봇 생산 및 판매, 지능형 로봇 R&D 등을 주요 사업 범위로 설정했다. 업계는 유비텍이 이번 법인 설립을 통해 AI 기반 로봇 사업을 전방위로 확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유비텍은 지난 2월에도 허베이성 슝안(雄安..

종합 2025.07.04

세계 최대 촉각 기술 학술대회 'IEEE 월드 햅틱스 컨퍼런스 2025', 이달 8일 수원서 개막

세계 최대 규모의 촉각상호작용 기술 분야 국제학술대회인 ‘IEEE 월드 햅틱스 컨퍼런스(WHC) 2025’가 오는 8일부터 11일까지 나흘간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다.​WHC는 촉각 기술의 중요성에 공감하는 전 세계 연구자들이 2년마다 한자리에 모여 최신 연구 성과와 기술을 공유하는 행사로, 2005년 첫 대회가 개최된 이래 가장 권위 있는 학술대회로 자리 잡았다.​촉각상호작용은 가상현실(VR), 로봇, 인간-컴퓨터 인터페이스(HCI) 등 미래 응용기술의 핵심 요소일 뿐 아니라, 촉각에 대한 인지과학 연구에도 중요한 역할을 미치고 있다.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참여하는 융합형 학술대회인 ‘IEEE 월드 햅틱스 컨퍼런스(WHC) 2025'는 연구 논문 발표뿐 아니라 첨단 기술 시연, 경연, 기조강연 등..

종합 2025.07.04

KAIST, 장시간 음성 생성해주는 음성 언어 모델 '스피치SSM' 발표

▲ 노용만 교수와 박세진 박사과정 KAIST는 전기및전자공학부 노용만 교수 연구팀의 박세진 연구원(박사과정)이 장시간 음성 생성이 가능한 음성 언어 모델 ‘스피치SSM(SpeechSSM)’을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이번 연구는 국제 최고 권위 머신러닝 학회인 ICML(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chine Learning) 2025에 전체 제출된 논문 중 약 1%만이 선정되는 구두 논문 발표에 확정돼 뛰어난 연구 역량을 입증할 뿐만 아니라 KAIST의 인공지능 연구 능력이 세계 최고 수준임을 다시 한번 보여주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SpeechSSM 개요. SpeechSSM의 하이브리드 상태공간 모델은 중첩된 고정 크기 윈도우로 인코딩된 의미 토큰(USM-v2)에 대해 LM ..

인공지능 2025.07.04

'푸드테크 연구지원센터' 착공식 개최...2026년까지 총 사업비 총 155억원 투입

▲식품로봇 푸드테크 연구지원센터 조감도농림축산식품부는 3일 경북 포항시에서 식품 로봇 분야 푸드테크 연구지원센터를 착공한다고 밝혔다.​푸드테크 연구지원센터는 지역에 푸드테크 기업을 유치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시설로서 산ㆍ관ㆍ학 협력을 통해 중소식품ㆍ외식업체의 푸드테크 신기술 적용 확대를 목적으로 하며, 기업이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시설과 장비를 갖추고 푸드테크 기업의 시제품 개발 및 기술 실증 등을 지원하게 된다.​농림축산식품부가 선정한 푸드테크 10대 핵심기술 가운데 식품로봇 분야 '푸드테크 연구 지원센터 구축' 공모 사업에 경북도가 신청해 지난해 전국 최초로 선정돼 추진됐다. 센터는 2026년까지 총 사업비 총 155억원을 투입해 전체 면적 2500㎡ 규모로 조성된다. ​2026년 완공..

정책 2025.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