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웨이스트 로보틱스의 폐기물 분류 로봇시스템(사진=웨이스트 로보틱스)
전세계 폐기물 분류 로봇 시장이 지난 2021년 21억 9100만달러(약 2조 8735억원)에서 오는 2030년 102억 8600만달러(약 13조 4901억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연평균 19.1%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됐다.
시장 조사 및 분석 기업인 애큐먼 리서치 앤 컨설팅(Acumen Research and Consulting)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폐기물 분류 로봇 시장 전망, 2022~2030‘ 보고서를 발표했다.
폐기물 분류 로봇은 고형 폐기물에 대한 환경적인 우려가 높아지면서 로봇산업계와 환경 전문들의 높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세계은행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0년에 전세계적으로 23억 톤 이상의 고형 폐기물이 발생했다. 고형 폐기물 발생량은 2050년에 2020년 대비 70% 이상 증가한 39억 톤을 기록할 전망이다. 고형 폐기물의 상당 부분은 도심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다. 도시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약 33%는 환경적으로 안전하지 않는 방법으로 관리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을 중심으로 폐기물 배출 관리에 대한 효율적인 절차의 요구가 강해지고 있으며, 폐기물 분류 로봇에 대한 수요가 급증세를 보였다.
전세계적으로 가속화되고 있는 디지털화는 폐기물 분류 로봇의 수요를 견인하는 중요한 트렌드 중 하나다. 하지만 폐기물 분류 로봇 도입 시 높은 초기 비용과 유지 비용이 이 시장의 성장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기술적 진보와 폐기물 관리에 대한 정부의 엄격한 지침은 향후 폐기물 분류 로봇 성장을 가속화할 전망이다.
폐기물 분류 로봇 수요는 코로나 영향으로 지난 2020년에 감소세를 보였다. 이는 각국 정부가 봉쇄 조치를 취하면서 폐기물 분류 로봇 기업들의 제품 제조 및 공급이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이는 폐기물 분류 로봇 시장 성장을 방해했다.
그러나 바이러스 확산을 줄이기 위해 많은 산업들이 로봇 자동화에 초점을 맞추면서 폐기물 분류 로봇 시장 가치는 점점 높아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전의 유행병과 현재 흐름에 비춰보면 로봇에 대한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전세계적으로 폐기물 분류 로봇 수익성이 향후 몇 년 동안 증가할 전망이다.
세계 인구 증가에 따라 지구 자원에 대한 부담도 커지고 있다. 자원 재활용(리사이클링)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재활용 재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노동력 부족이 심화하면서 폐기물 분류 로봇이 해결책으로 떠오르고 있다.
지능형 폐기물 분류 로봇은 AI 기술을 활용해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을 감지하고, 노동자에게 가해지는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
폐기물 분류 방식은 크게 플라스틱 제품 분류, 목재 및 벽돌 분류, 금속 폐기물 분류, 기타 분류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 가운데 플라스틱 제품 분류는 2022년부터 2030년까지 상당한 시장 점유율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전세계적으로 생산되는 플라스틱 쓰레기의 양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플라스틱 쓰레기는 환경에 훨씬 나쁜 영향을 미친다.
지역적으로 보면 현재 북미 지역이 시장 점유율과 성장률 측면에서 폐기물 분류 로봇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나, 향후 아시아 태평양 지역을 중심으로 로봇 도입에 따른 인식이 높아지면서 빠른 속도로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이 시장에선 AMP로보틱스, ABB, 클레이 로보틱스, 그레이패롯, 웨이스트 로보틱스 등이 경쟁하고 있다.
장길수 ksjang@irobotnews.com
<저작권자 © 로봇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종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로봇산업진흥원, 고령화 사회 대비 생활지원산업 국제표준 확산 나서 (0) | 2022.07.08 |
---|---|
한국로봇산업협회, 7월 15일 대전 로봇기업 대상 ‘로봇리더스포럼’ 개최 (0) | 2022.07.06 |
[UR 2022] 최우수 논문상 UCLA '데니스 홍' 교수 팀 수상 (0) | 2022.07.06 |
[UR 2022]기조 강연 - 장진아 교수, 김상연 교수 (0) | 2022.07.06 |
[UR 2022]젊은 연구자 세션-문지윤 교수, 김정중 박사, 이석주 교수 (0) | 2022.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