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BB의 산업용 로봇(사진=IFR)
지난해 전세계적으로 산업용 로봇의 판매대수가 전년대비 27% 증가한 48만6800대를 기록했다. 코로나의 확산으로 판매가 부진했던 지난 2020년에 비해 30% 가까이 판매 실적이 증가하면서 코로나 대유행의 충격에서 벗어나는 모습이다.
국제로봇연맹(IFR)은 최근 2021년 전세계 로봇판매 실적에 관한 예비 결과를 발표하고, 지난해 산업용 로봇 시장이 강한 회복세를 보였다고 밝혔다.
이번 예비 결과에 따르면 아시아와 호주 지역에서 전년대비 33% 증가한 35만4500대의 산업용 로봇이 판매됐으며, 미국과 유럽에선 각각 27%와 15% 증가한 4만9400대와 7만8000대의 산업용 로봇이 판매됐다.
밀턴 게리(Milton Guerry) IFR 회장은 “전세계적으로 로봇 설치가 강한 회복세를 보이면서 2021년은 로봇 산업계에 가장 성공적인 해였다”며 "지속적인 자동화 추세와 기술혁신으로 (산업용 로봇)수요는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에 도달했다. 2021년에는 팬데믹 이전 시기인 2018년(42만2000대) 기록을 뛰어넘었다“고 말했다.

▲ 2020년과 2021년 산업용 로봇 판매 현황(파란색-아시아, 빨간색-유럽, 회색-미주), (단위:1000대)(도표=IFR)
지난해 산업용 로봇 시장의 최대 성장 동력은 전자산업이었다. 전자산업은 전년대비 21% 증가한 13만2000대의 로봇을 도입했으며, 자동차산업은 전년대비 37% 증가한 10만9000대의 산업용 로봇을 도입했다. 이어 금속기계(5만7000대, 전년대비 38% 증가), 플라스틱 및 화학 제품(2만2500대, 전년대비 21% 증가), 식음료(1만5300대, 전년대비 24% 증가) 등 순이었다.
지역적으로는 아시아 지역이 산업용 로봇의 최대 시장 자리를 유지했다. 2021년에 새로 배치된 전체 로봇 가운데 73%가 아시아에 설치됐다. 2021년 출하량은 총 35만4500대로 2020년 대비 33% 증가했다. 전자산업이 12만3800대(전년대비 22% 증가)의 산업용 로봇을 도입했으며, 자동차산업(7만2600대, 전년대비 57% 증가), 금속 및 기계산업(3만6400대,전년대비 29% 증가)이 뒤를 이었다.

▲ 유럽의 연도별 산업용 로봇 설치 현황(단위,1천대)(도표=IFR)
유럽과 미국 시장도 강한 회복세를 나타냈다. 지난해 유럽의 산업용 로봇 설치는 2년간의 감소 이후 회복으로 전환되면서 2018년 최고치인 7만5600대를 넘어섰다. 하지만 최대 수요처인 자동차 산업은 전년수준인 1만9300대에 그쳐 횡보세를 보였다.
미주 지역은 산업용 로봇 설치건수가 2018년(55,200건)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높은 기록을 보였했다. 최대 시장은 미국(3만3800대)으로 미주 지역의 68%를 차지했다.
장길수 ksjang@irobotnews.com
<저작권자 © 로봇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산업용로봇'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TP,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 기업 세미나' 개최 (0) | 2022.07.14 |
---|---|
伊 코마우, 中 수소 연료전지 공장 자동화 지원 (0) | 2022.07.11 |
中 리더즈쿠-자카, '2022 중국 협동 로봇 기술 보고서' 발간 (0) | 2022.06.27 |
"왜 우리는 스마트 팩토리 구축이 더딘가? (0) | 2022.06.24 |
"지능형 자율공장의 발전 방향은?" (0) | 2022.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