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유경 처장이 24일 로봇 조리자판기와 자동화된 튀김 조리 로봇을 살펴보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오유경 처장은 24일 무인 조리형 자판기가 설치된 죽전휴게소를 방문해 운영 실태를 점검하고, 이어 로봇을 활용해 음식을 조리하는 일반음식점 알엔(Rn)을 방문해 관련 업계(자판기‧조리로봇 제조업체 등)와 간담회를 개최하고, 현장 의견을 청취했다고 밝혔다,
이번 방문은 최근 로봇 등을 활용한 자동·반자동 형태의 식품조리·판매 영업이 늘어남에 따라, 새로운 변화에 맞추어 안전관리체계를 정비하는 한편, 로봇 조리 음식의 자판기 판매 허용 등 영업자의 진입 규제를 완화해 신산업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해 마련하였다.
오유경 처장은 먼저 고속도로 죽전휴게소를 방문하여 로봇이 조리하는 무인 커피‧라면‧솜사탕 자판기 등을 둘러보고, 관리자로부터 위생‧안전 관리 방법과 현장 의견을 청취했다.
식약처는 작년 6월에 발표한 ‘식의약 규제혁신 2.0 과제’의 일환으로 현행 식품자동판매기 영업 범위에 음식 조리를 포함하는 내용의 규제개선 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업체 관계자는 “향후 규제개선으로 식품자동 조리∙판매기 영업이 신설되면 고속도로 휴게소에도 다양한 조리식품 자동 판매기를 설치할 수 있어, 이용객들이 야간에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영업자의 매출 향상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오유경 처장은 “식품자동 조리∙판매기 영업의 경우 사람이 매장에 상주하지 않는 것을 감안하여 보다 철저하게 위생‧안전을 관리해줄 것”을 요청했다.
이어 로봇이 조리하는 음식점인 알엔(Rn)을 방문해 로봇을 이용한 치킨, 파스타 조리 현장을 둘러보고, 자판기 제조업체, 조리로봇 제조 스타트업 업체, 무인카페 운영업체 등 6개 업체를 대상으로 식품 매장에서 로봇 이용 시 현장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현장 애로 사항 청취에는 로보아르테, 엑스와이지, 크레오코리아, 동구전자, 이마트24, 풀무원 관계자들이 참여했다.
업체 관계자는 “로봇이 조리하는 음식점이 소비자들에게 다소 생소해 식품안전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있는 것 같다”며, “정부에서 로봇이 조리하는 음식점에 대해 위생인증을 해 준다면 로봇 관련 산업의 활성화와 관련 제품의 해외수출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다”고 건의했다.
오유경 처장은 “무인 매장, 조리로봇을 활용한 음식점 등 신산업의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만큼, 현장 의견을 반영, 합리적으로 규제를 개선하여 안전한 식품을 국민에게 제공하고 관련 산업은 활성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장길수 ksjang@irobotnews.com
<저작권자 © 로봇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전문서비스로봇'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센츄어-무진, 합작법인 '엑센츄어 알파 오토메이션' 설립 (0) | 2024.01.25 |
---|---|
이탈리아기술연구원, 휴머노이드 아바타 시스템 개발 (0) | 2024.01.25 |
中 냉장창고용 로봇 전문기업 '웨스로봇', 프리A 투자 유치 (0) | 2024.01.25 |
中 레노버 산업용 로봇, 항공·전력산업에 공급돼 (0) | 2024.01.25 |
멕시코 네트로지스틱, 美 SVT 로보틱스와 제휴 (0) | 2024.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