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05 15

씨드로닉스, 150억 규모 시리즈 B 투자 유치… 자율운항 AI 솔루션 해외 진출 본격화

▲ 씨드로닉스 CI와 AI 운항 지원 모니터링 시스템(NAVISS)의 사용자 UI 모습 AI 선박 자율운항 솔루션 선도기업 씨드로닉스는 시리즈 B 라운드에서 150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투자 라운드는 LB인베스트먼트, KB인베스트먼트, 한국산업은행이 신규 투자사로 참여했다. 또한 기존 투자자인 원익투자파트너스와 라이트하우스컴바인인베스트도 후속 투자를 단행했다. 씨드로닉스는 2015년 설립 이래, 우수한 연구진과 방대한 실제 운항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양 산업에서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상황 인식 AI 기술을 개발하며 선박 자율운항 솔루션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 빠르게 자리 잡았다. 특히 CES 2024 혁신상 수상, 세계 최초 선급 형식 승인, 해양수산부 신기술 및 혁신 제품 ..

클로봇-레인보우로보틱스, 제조물류로봇 협력 MOU 체결

▲ (좌) 이정호 레인보우로보틱스 대표, (우) 김창구 클로봇 대표(사진=클로봇) 지능형 로봇 서비스 전문기업 클로봇이 산업용 로봇 제조기업 레인보우로보틱스와 제조 물류 로봇 산업 발전 및 공동 비즈니스 창출을 위한 전략적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양사는 지난해부터 협력 사업을 전개해 왔으며, 이번 협약을 통해 2025년에는 협력 체계를 한층 강화하고 시장 확장을 위한 공동 프로젝트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클로봇은 ▲자율주행 솔루션 ▲작업제어 시스템 ▲통합관제 솔루션 개발을 담당하고,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자율이동로봇(AMR) 하드웨어 및 하드웨어 드라이버 개발을 맡게 된다. 양사는 완성된 제품의 공동 마케팅 및 시장 확대를 위한 공동 영업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특..

종합 2025.03.05

태국 쭐랄롱꼰대 연구팀, '외골격 휠체어' 개발

▲ 태국 연구팀이 외골격 휠체어를 개발했다(사진=쭐랄롱꼰대 ) 태국 쭐랄롱꼰대 연구팀이 장애인을 위한 착용형 로봇인 '엑소스켈레톤 휠체어(Exoskeleton Wheelchair)'를 개발했다. 이 기술은 쭐랄롱꼰대 공학부 부교수인 론나피 차이차오와랏 박사(Dr. Ronnapee Chaichaowarat)가 개발했으며, 기존 휠체어를 넘어 걷고 움직이는 등 더욱 향상된 이동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태국 아이언맨'이라는 별칭이 붙은 이 혁신적인 기술은 태국 연구팀이 개발한 최초의 엑소스켈레톤 휠체어다. 기존 휠체어와 달리 사용자가 스스로 일어서고 걸을 수 있도록 변형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장애인들은 계단을 오르거나 대중교통을 더 쉽게 이용할 수 있다. 이 프로젝트는 2021~2022년에 ..

로봇 스타트업 IR 행사 '2025 팁스밋업(로봇)', 이달 18일 개최

한국엔젤투자협회가 ‘2025 팁스밋업(로봇)’ 행사를 오는 18일 오후 2시 팁스타운에서 개최한다. '팁스밋업'은 중소벤처기업부 팁스(TIPS) 프로그램에 선정된 유망 스타트업들의 후속투자 유치 지원을 위한 IR 데모데이 행사다. 이번에는 '로봇'을 주제로 열린다. ‘2025 팁스밋업(로봇)’은 ▲ 산업분야 전문가의 인사이트 강연 ▲성공적인 투자유치 기업의 노하우 강연 ▲유망 팁스 창업기업 5개사의 IR 발표와 전문위원 피드백 등 프로그램으로 구성돼 있다. 대동 AI Lab 최준기 대표가 'Industry Vertical에서 바라보는 로봇 기술과 서비스', 럭스로보 오상훈 대표가 '로봇 회사가 투자받은 IR 꿀팁'을 주제로 키노트를 발표한다. IR 발표에는 5개사가 참여한다. 참여기업은 ▲디하이브(로봇 ..

종합 2025.03.05

개인정보보호위, 로봇청소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사전 실태 점검

개인정보보호위원회(위원장 고학수)는 최근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하는 가전제품인 로봇청소기의 판매량이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보주체의 영상·음성 정보 등을 처리하는 로봇청소기의 개인정보 수집·이용 현황에 대한 사전 실태점검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개인정보위는 국내 출시된 로봇청소기 국내외 주요 브랜드 제품을 중심으로 개인정보 처리 과정 전반에 대해 개인정보 보호법 준수 여부를 살펴볼 계획이다. 실태 점검 대상 로봇 청소기는 삼성전자, LG전자, 로보락, 에코백스, 샤오미 등 기업의 제품이며, 개인정보 처리 주체, 개인정보 처리 동의 여부, 수집·이용 항목 및 목적, 개인정보 보관·이전·전송 방식, 제3자 제공·공유 여부 등을 살펴볼 예정이다. 개인정보위는 이번 사전 실태점검을 통해 정보주체..

정책 2025.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