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1 15

과기정통부, 2025년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선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은 21일 디지털 대전환 시대 소프트웨어·인공지능 핵심인재를 양성하는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사업의 2025년도 선정 결과를 발표했다. 소프트웨어 중심대학은 2015년부터 산업체 수요기반의 소프트웨어 교육과정 개편, 소프트웨어 전공 정원 확대, 비전공자 대상 소프트웨어 융합교육 등을 통해 신기술 수요에 부합하는 소프트웨어 전문·융합인재 양성을 주도해왔으며, 지난해까지 10년간 5만 8782명의 소프트웨어 전공인력과 4만 390명의 융합인력을 배출하였다. 과기정통부는 올해 10개 대학(일반분야 8개, 특화분야 2개)을 선정하고 일반분야(트랙) 대학에는 연 20억원, 특화 분야(트랙)에는 연 10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지역별 SW중심대학 현황 일반 분야는 올해 38개 대학이..

종합 2025.05.21

과기정통부, 인공지능 핵심 인재 양성을 위한 투자 확대 추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1일 소프트웨어 마에스트로 연수센터에서 인공지능 핵심 인재 양성과 확보를 위한 정책 방향을 논의하는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했다. 최근 인공지능 기술 패권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세계 각국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으며, 우수 인공지능 인재 확보에도 사활을 걸고 있다. 특히 전 산업에 인공지능이 활용되면서 인공지능 인재 양성은 단순한 개발자 양성이 아닌 산업 전 영역을 아우르는 국가 경쟁력 확보의 기반이 되고 있다. 정부도 그간 인공지능 인재 양성을 위해 노력해 왔으며, 특히 과기정통부는 지난 5월 1일 통과된 추가경정예산(AI 인재 양성 분야에 총 665억 원)을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인공지능 인재 확보와 양성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원할 계획이다. 먼저 해외 최고급 인공..

정책 2025.05.21

美 DARPA, 대규모 재난 대응 위한 ‘환자 분류 챌린지’ 후끈

▲ 4족 보행 로봇이 사상자를 탐색하고 있다. (사진=피츠버그대) 미 국방부 산하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이 전쟁, 대형 재난 등 비상 사태에 대비해 의료진의 긴급 대응 능력을 키우기 위해 추진하는 ‘환자분류챌린지(DARPA Triage Challenge·DTC)’가 중반전에 접어들었다. DARPA(방위고등연구계획국) 주최로 열리는 DTC는 전쟁, 대형 재난 등으로 대규모 사상자 발생 시 의료진이 확장 가능하고, 시기적절하며 정확한 환자 분류를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되는 혁신적인 부상 '징후' 식별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챌린지의 최대 관심사항은, 민간과 군대 모두에서 의료 자원이 수요에 비해 제한되어 있는 '대량 사상자 사고(MCI)'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의료 조치를 취하는 것이다. ..

美듀크대, 로봇 감각 혁신… 시각·진동·촉각 융합한 ‘와일드퓨전’ 개발

美 듀크대 연구팀은 로봇이 사람처럼 복잡한 야외 환경을 인식할 수 있도록 시각, 진동, 촉각 정보를 융합한 새로운 센싱 프레임워크인 ‘와일드퓨전(WildFusion)’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인간은 숲길을 걷는 동안 단순히 시각에만 의존하지 않고, 나뭇잎 부스럭거리는 소리, 진흙의 촉감, 나뭇가지가 부러지는 소리 등 다양한 감각을 활용해 복잡한 지형을 안전하게 이동한다. 반면 기존의 로봇은 주로 카메라나 라이다 같은 시각 정보에 의존해 왔으며, 멀티센서를 활용한 내비게이션은 여전히 도전 과제로 남아 있었다. 특히, 울창한 덤불과 쓰러진 나무, 시시각각 변하는 지형으로 이루어진 숲은 기존 로봇에게 ‘불확실성의 미로’와도 같았다. 이에 듀크대 연구팀은 로봇이 숲, 재난 현장, 오프로드 지형 ..

루벤티스, 인도네시아 물류 시장 진출

루벤티스, 인도네시아 M+ Software 사의 로고(사진=루벤티스) 인공지능(AI) 기반 물류 전문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기업 루벤티스(대표 오상규)가 인도네시아 시장 진출에 나섰다. 루벤티스는 인도네시아 현지 소프트웨어 기업 ‘M+ 소프트웨어(M+ Software)’와 전략적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루벤티스는 한국은 물론 일본 등 아시아 전역에서 WMS(창고관리시스템), SaaS 및 클라우드 기반 물류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유통업체뿐 아니라 제조업체, 병원 등 다양한 산업군을 대상으로 맞춤형 물류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루벤티스와 M+ 소프트웨어 양사는 이번 계약을 통해 다양한 인도네시아 현지 사업을 추진해 갈 계획이다. 우선적으로 SaaS 기반 WMS(창고관..

인공지능 2025.05.21

獨 세일릭스, 모듈식 천장 장착 로봇시스템 첫 선

▲독일 세일릭스가 보슈 렉스로스 산하 카소 로봇(Kassow Robots)과 협력해 만든 천장 장착식 모바일 협동로봇(코봇)을 오토메이트 2025에서 처음 선보였다. (사진=세일릭스) 독일 세일릭스(CeiliX)가 지난주 모듈식 천장 장착 로봇시스템을 처음 선보였다고 로보틱스247이 지난 19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세일릭스는 지난 15일 폐막된 디트로이트 '오토메이트 2025'(5.12~15)에서 두 종류의 천장 거치식 물류 및 제조용 시스템을 처음 선보였다. 이 회사는 이동 가능한 천장 장착식 협동로봇(코봇)과 함께 인피니티 크레인(InfinityCrane)도 선보였다. 세일릭스는 이 두 가지 제품을 결합해 자재 취급 및 로봇 작업을 바닥에서 천장으로 이동시키는 통합 오버헤드 플랫폼을 개..

대동, ‘농업용 피지컬 AI’용 온디바이스 반도체 개발 나선다

농업분야 기술 기업 대동은 ' K-온디바이스 AI 반도체 기술 개발'에 참여키로 하고 참여기관 및 기업 간 '양해각서(MOU)'를 체결 했다.(사진=대동) 농업분야 기술 전문기업 대동(공동대표 김준식·원유현)이 ‘물리(피지컬) AI’ 시대를 맞아 ‘온디바이스 AI 반도체 개발’에 나서기로 했다. 피지컬AI는 로봇 제어에 특화된 인공지능(AI)으로, 최근 로봇제어 분야에서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대동은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한국반도체산업협회, 한국팹리스산업협회 및 주요 제조기업들이 참여하는 ’K-온디바이스 AI 반도체 기술개발‘ 사업에 참여키로 했으며, 이를 위해 각 기관 및 단체, 기업들과 업무협력을 위한 상호간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20일 산..

큐어인, '2025년 혁신 프리미어 1000'에 선정돼

큐어인(대표 조영호)이 정부의 2025년 ‘제1차 혁신 프리미어 1000’ 기업에 선정됐다. 정부 13개 부처는 총 509개의 중소 및 중견기업을 ‘제1차 혁신 프리미어 1000’ 기업에 선정했다. 기존 기업 지원 제도를 통합해 금융 및 산업 간 협업을 통해 산업별 우수기업을 집중지원하기 위해 올해 처음으로 도입된 제도로, 각 부처가 정책 방향성을 고려하여 마련한 기준에 따라 혁신성 성장성 있는 기업을 선정하면 정책금융기관이 맞춤형 금융 및 비금융 지원을 2026년 말까지 집중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큐어인은 자기공명영상(MRI) 유도로 갠트리 내부에서 생검을 실시할 수 있는 자동화로봇 시스템을 개발해 공급하고 있다. 이 기술을 개발한 국립암센터 연구팀이 2020년 창업한 의료로봇 스타트업으로, MRI에서..

美 세일드론, 덴마크 수출투자기금 주도로 830억원 유치

미국 해양 자율 시스템 개발업체인 세일드론(Saildrone)이 지난주 6000만 달러(약 832억원) 규모의 투자행사를 마무리했다고 더로봇리포트가 19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세일드론은 이 투자금으로 유럽에 자사 기술을 소개해 중요 인프라 및 광범위한 국방용 해상 보안에 대한 시급한 필요성을 해결할 것이라고 밝혔다. 덴마크 수출투자기금(EIFO)이 이번 라운드를 주도했다. 기존 투자자인 럭스 캐피털, 워싱턴 하버 파트너스, 크롤리, 아카데미 시큐리티스 외에 파인그로브가 이번 투자행사에 새로 가세했다. 리처드 젠킨스 세일드론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CEO)는 “EIFO 및 덴마크 정부와 협력해 덴마크 코펜하겐에 세일드론 유럽 본사를 설립하게 돼 매우 기쁘다. 덴마크는 독특하게도 지리적, 정치적으로 북유럽의..

드론 2025.05.21

中 씨테크-알파, GaN 기반 로봇 관절 모듈 공개

중국 반도체 기업 씨테크-알파가 휴머노이드 로봇을 위한 첨단 로봇 관절 모듈 기술을 선보였다. 20일 중국로봇망에 따르면, 중국 칩 제조업체 씨테크-알파(Ctech-alpha, 中科阿尔法)는 질화갈륨(GaN) 기반의 구동 방식이 적용된 로봇 관절 모듈을 발표했다. 이번에 공개된 모듈은 GaN 기반 HEMT(고전자이동도 트랜지스터,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를 활용하고 있으며, 기존의 실리콘 기반 MOSFET(Metal-Oxide-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 MOS튜브) 방식과 비교해 더 높은 에너지 변환 효율과 낮은 발열 특성을 강점으로 한다. 특히 에너지 효율성과 방열 성능이 뛰어나, 휴머노이드 로봇이 장시간 작동하더라도 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