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9 23

고성능 감성교류 로봇 ‘아메카’ 한국 온다

인간형(휴머노이드) 로봇 아메카(AMECA)의 모습[사진=화성시] 사람처럼 자연스러운 표정을 지을 수 있어 인터넷 상에서 큰 화제가 되고 있는 인간형(휴머노이드) 로봇 ‘아메카(AMECA)’가 한국을 방문한다. 경기도 화성시는 휴머노이드 아메카를 내달 18일부터 사흘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국제 행사 ‘마르스(MARS) 2025’를 통해 볼 수 있다고 19일 밝혔다. MARS 2025는 AI(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도시 문제를 해결하고,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해법을 제시하고자 기획된 대규모 국제 행사다. 아메카는 2022년 CES(국제전자제품박람회)에서 영국 로봇 전문기업 ‘엔지니어드 아츠(Engineered Arts)’가 공개한 휴머노이드 로봇이다. 자연스러운 표정과 몸동작, AI를 통해 ..

엔비디아, 휴머노이드 로봇용 파운데이션 모델 '아이작 그루트 N1.5' 발표

엔비디아가 19일 대만 타이페이 뮤직센터에서 열린 ‘컴퓨텍스 2025’에서 휴머노이드 로봇 추론 및 기술을 위한 파운데이션 모델인 아이작 그루트(Isaac GR00T) N1.5‘를 발표했다. 젠슨 황(Jensen Huang) 엔비디아 설립자 겸 CEO는 이날 컴퓨텍스 기조연설에서 "물리적 AI와 로봇 공학은 다음 산업 혁명을 가져올 것“이라며 ”로봇을 위한 AI 두뇌부터 실습할 시뮬레이션 세계, 파운데이션 모델을 훈련하는 AI 슈퍼컴퓨터에 이르기까지 엔비디아는 로봇 개발 여정의 모든 단계에 걸쳐 빌딩 블록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이날 엔비디아는 합성 모션 데이터 생성을 위한 블루프린트 ’아이작 그루트-드림스(GR00T-Dreams)‘와 휴머노이드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한 ’엔비디아 블랙웰 시스템‘도 공개했..

인공지능 2025.05.19

GIST, 차세대 ‘슈퍼커패시터’ 기술 개발

(왼쪽부터) GIST 화학과 박찬호 교수, 신소재공학과 조영훈 박사과정생·유승준 교수, 우측 상단에 김종경 GIST 졸업생 [사진=광주과학기술원] 전기를 보관했다가 필요할 때 꺼내 쓰려면 흔히 ‘배터리’를 이용한다. 그러나 배터리 이외에도 전기를 보관했다가 꺼내 쓰는 장치가 존재하는데, 이를 ‘커패시터’라고 부른다. 그 효율을 한층 높인 ‘슈퍼커패시터’를 통해 기존 배터리 시스템의 단점을 극복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슈퍼커패시터의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새롭게 개발했다. 고속 충방전이 가능한 새로운 에너지 저장장치의 상용화, 자율주행차나 로봇 등 첨단기기의 효율을 큰 폭으로 높일 수 있을지 기대된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총장 임기철) 화학과 박찬호 교수, ..

미래기술 2025.05.19

美 퍼듀대 학생팀, 루빅 큐브 세계 신기록 경신… 0.103초 만에 해결

▲(왼쪽부터) 매튜 파트로헤이, 아덴 허드, 준페이 오타, 밀린드 쿨카르니 교수 미국 퍼듀대 전기 및 컴퓨터공학부 소속 학생팀이 루빅 큐브(Rubik's Cube) 부문에서 새로운 기네스 기록을 수립했다. 퍼듀대 학생 엔지니어링팀은 지난달 ‘퍼듀빅스 큐브(Purdubik's Cube)’라는 로봇을 활용해 단 0.103초 만에 큐브를 푸는 데 성공했다. 이는 지난해 5월 일본 미쓰비시전기 팀이 ‘토쿠패스트봇(TOKUFASTbot)’으로 세운 기존 공식 기록 0.305초를 3배 가까이 단축한 것이다. 당시 미쓰비시 팀은 이전 기록이었던 0.38초를 앞서며 주목을 받았다. 퍼듀대 학생팀은 ‘협동 교육 프로그램(co-op)’을 통해 모인 팀이다. 팀원 중 한 명인 아덴 허드(Aden Hurd)는 “우리 팀은 협..

인공지능 2025.05.19

中 톈진 첫 산업용 휴머노이드 로봇, 올 하반기 상용화한다

중국 톈진(天津)시에서 개발된 첫 산업용 휴머노이드 로봇이 공개됐다. 중국 매체 IT즈자에 따르면, 천싱(辰星)자동화설비유한회사가 개발한 휴머노이드 로봇 ‘톈빙 1호(天兵一号)’가 19일 열린 ‘제2회 베이징-톈진-허베이 지능 제조 장비 협력 발전 콘퍼런스’에서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냈다. 이 로봇은 해당 회사의 로봇 브랜드 ‘아톰로봇(AtomRobot, 阿童木机器人)’으로 발표됐다. ‘톈빙 1호’는 산업 현장을 겨냥한 산업용 휴머노이드 로봇으로, 허리와 목 부위에 병렬 메커니즘을 적용해 운반 능력을 강화하고 회전 자유도를 높인 것이 특징이다. 허리는 최대 200kg, 팔은 5kg의 하중을 견딜 수 있다. 천싱 측은 이 로봇이 응용 시나리오 기반 훈련을 통해 특수한 지능형 의사결정과 행동 능력을 갖췄다고 ..

中 하이얼 주도 '체화형 지능 로봇연맹' 창설…로봇 생태계 본격 육성

중국 주요 가전 기업들이 로봇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로봇 연맹’을 결성하며 본격적인 협력 체계 구축에 나섰다. 15일 중국로봇망(中国机器人网)에 따르면, 최근 칭다오(青岛)에서 열린 ‘임바디드(체화형) 인텔리전스 로봇 생태계 발전 콘퍼런스’에서 하이얼(Haier, 海尔)이 주도하는 ‘임바디드 인텔리전스 로봇 산업 발전 연맹(具身智能机器人产业发展联盟)’이 공식 출범했다. 이번 연맹은 정부 주도 아래 주요 기업들이 참여하여 기술, 인재, 지역 클러스터 간의 유기적 협력을 통해 시장을 활성화하고, 산업 전반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하이얼은 1984년 설립된 중국 대표 가전기업으로, TV는 물론 에어컨, 냉장고, 세탁기 등 다양한 생활가전 제품을 생산해왔다. 최근에는 로봇 기술 개..

마음AI, ‘AI 엑스포 2025’서 피지컬 AI 기술력 입증

피지컬 AI 선도기업 마음AI(대표 유태준)는 지난 5월 14일부터 16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AI 엑스포 2025’에 참가해, 실제 공간에서 작동하는 자사 AI 기술과 다양한 산업 적용 사례를 공개하며 관람객과 업계 전문가들의 높은 관심을 받았다. 특히 공공서비스를 넘어 국방 분야로의 확장 계획까지 발표하며, 기술 기업으로서의 외연을 한층 넓혔다. 마음AI는 이번 전시에서 ‘피지컬 AI’를 주제로, 인공지능이 단순한 데이터 연산을 넘어 실공간을 인식하고, 언어를 이해하며, 자율적으로 움직이는 지능형 시스템으로 진화하고 있음을 다양한 실증 사례로 입증했다. 전시의 중심에는 마음AI가 개발한 자율주행·대화형 로봇 ‘에이든(AIden)’이 있었다.음성으로 질문하면, 로봇이 주변 환경을 스캔하고 자율적..

한국엡손, 'BUTECH 2025'서 하이엔드 스카라 GX1- C 시리즈 공개

▲한국엡손이 BUTECH 2025서 올해 7월 출시 예정인 하이엔드 미니 스카라 ‘GX1-C’ 시리즈를 사전 공개한다. (사진=한국엡손) 한국엡손이 오는 20일부터 23일까지 부산 벡스코(BEXCO)에서 열리는 ‘제12회 부산국제기계대전(BUTECH 2025)’에 참가해 고속·고정밀 산업용 로봇 및 통합 컨트롤러 등 최신 로봇 솔루션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BUTECH 2025는 국내 최대 규모의 산업기계 전시회로 올해는 ‘스마트 제조, 미래 혁신의 꿈’을 주제로 인공지능(AI), 로봇, 스마트팩토리 등 차세대 제조기술이 대거 소개될 예정이다. 엡손은 이번 전시회에서 올해 7월 공식 출시를 앞둔 하이엔드 미니(mini) 스카라 로봇 ‘GX1-C’ 시리즈를 사전 공개한다. 가반중량 1kg을 지원하는 ‘GX..

산업용로봇 2025.05.19

플리토, IBK기업은행 외국인 특화 점포에 ‘AI 다국어 통번역 시스템’ 공급

경기도 안산시에 위치한 IBK기업은행 안산외국인금융센터에 설치된 챗 트랜스레이션 엔터프라이즈 인공지능(AI) 언어 데이터 전문 기업 플리토(대표 이정수)는 IBK기업은행 외국인 특화 점포에 AI 기술 기반 다국어 통번역 시스템을 공급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에 도입된 솔루션은 ‘챗 트랜스레이션 엔터프라이즈(Chat Translation Enterprise)’로, IBK기업은행 외국인 특화 점포인 안산외국인금융센터 내 5개 상담 창구에서 최대 38개 언어를 실시간 지원한다. 해당 솔루션은 금융권에서 사용하는 전문 용어는 물론 기업은행 전용 금융상품 등 고유명사에 대한 용어집 학습을 통해 언어별 음성 인식률을 개선했다. 안산시는 전국에서 외국인 비율이 가장 높은 초다문화 도시로, 외국인 고객은 이 솔루션을..

인공지능 2025.05.19

印 SS이노베이션즈, 7월 FDA에 ‘SSi 만트라3’ 신기술 인증 신청

▲인도 SS이노베이션즈의 ‘Si 만트라 3’ 는 심장 수술을 포함, 다양한 전문 분야에 사용할 수 있는 40개 이상의 로봇 수술 도구가 포함돼 있다. (사진=SS 이노베이션즈) 인도의 SS이노베이션즈가 오는 7월 미 식품의약국(FDA)에 'SSi 만트라3' 수술 로봇 시스템에 대한 드노보(신기술) 인증을 신청한다고 더로봇리포트가 12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제출 신청서에는 비뇨기과, 산부인과, 일반외과, 흉부 및 심장 수술을 포함한 여러 전문 분야 적응증에 대한 신청이 포함될 예정이다. SSI 만트라 3 시스템은 3D 시각화와 향상된 인체공학을 갖춘 모듈식 개방형 콘솔 디자인을 특징으로 한다. 통합 머신 러닝 모델은 시술 안전성과 효율성을 더욱 높인다. 수술 로봇 전문가들은 SS 이노베이션즈를 주목할 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