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3 3

KAIST, 질병 판단·신약 발굴위해 ‘한국형 챗GPT 플랫폼’ 개발한다

▲지난 20일 KAIST AI대학원 양재산학캠퍼스에서 KAIST 연구팀들이 참여기관인 삼성서울병원, 네이버클라우드, 히츠와 같이 "AI 스타펠로우 과제" 시작을 알리는 킥오프 미팅을 개최했다. KAIST는 디지털바이오헬스AI연구센터(센터장: KAIST 김재철AI대학원 예종철 교수)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AI 최고급 신진연구자 지원사업(AI 스타펠로우십)’에 선정되어, 2025년 5월부터 2030년 12월까지 총 115억 원을 투입해 질병을 스스로 추론하고 판단하고 신약을 발굴하는 AI 기술과 플랫폼을 본격적으로 개발한다고 23일 밝혔다. 이 과제는 신진 연구자 중심의 혁신적 AI 연구 생태계를 조성하고 바이오·의료 분야의 전문 지식체계를 활용하고 이를 자동으로 확장할 수 있는 추론형 AI 에이전트 개..

인공지능 2025.05.23

태국어 LLM부터 관광 특화 AI까지… 네이버클라우드, 동남아 소버린 AI 시장 확대 시동

(왼쪽부터) 최수연 네이버 대표,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라따나폰 웡나파찬트 시암 AI 클라우드 대표, 레이몬드 테(Raymond Teh) 엔비디아 APAC 총괄 대표, 회이 데이비스(Hue Davis) 엔비디아 APAC NCP 총괄(사진=네이버) 네이버클라우드(대표 김유원)가 태국의 AI·클라우드 플랫폼 기업 ‘시암 AI 클라우드(SIAM.AI Cloud, 이하 시암 AI)’와 태국어 기반 LLM 및 AI 에이전트 공동 개발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시암 AI는 태국의 AI 전환을 주도하고 있는 대표 기업으로, 회사 측은 이번 협력을 기반으로 동남아시아 시장으로의 소버린 AI 확장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다. 양사는 각각 보유한 LLM 구축 및 운영 경험과 ..

인공지능 2025.05.23

ETRI, 비정형 야외환경 인식 AI 기술 세계적 인정

ETRI 김원준 석사후연구원(좌), ETRI 변우진 본부장(우)(사진=ETRI)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고 권위의 로봇 학술대회인 'ICRA 2025'에서 열린 시맨틱 세그멘테이션 국제 챌린지에서 세계 2위를 차지했다. 이로써 영상으로 보는 미래 로봇의 눈 분야에서 연구진의 활약이 기대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ICRA 2025의 필드 로보틱스 워크숍에서 진행된 ‘Goose 2D 의미론적 분할 챌린지(Goose 2D Semantic Segmentation Challenge)’에 참가해 우수한 성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이번 성과로 국내 인공지능 기반 영상 인식 기술의 국제 경쟁력을 다시 한번 입증한 셈이다. 해당 챌린지는 필드 로봇이 실제로 마주하게 되는 들판, 산림, 건설 현장 등 비정형 지형에..

인공지능 2025.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