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코너

국방로봇 생태계 구축이 절실하다

로봇신문사 2024. 10. 29. 15:06

 

 

 

현재 지구촌에서 벌어지는 양대 전쟁, 러우전쟁과 이스라엘-헤즈볼라 전쟁의 양상을 보면 현대 전쟁의 판도를 한눈에 알 수 있다. 한마디로 정밀 무인기술과 정밀 타격기술을 가진 쪽이 전쟁의 주도권을 쥐고 있는 것이다. 양적으로는 러시아 4분의 1 수준의 우크라이나가 2년 8개월째 버티는 것도, 단 1주일만에 헤즈볼라 지도부를 궤멸시켜 전세계를 감짝 놀라게 한 것도 모두 무인 자폭 드론이나 정밀 타격 드론과 같은 무인 국방기술과 불과 수 미터의 정밀 제어기술을 기반으로 한 유도기술에 기인한다.

 

​이제 우리나라로 눈을 돌려 보자. 지난해 국방부가 내놓은 국방혁신 4.0 기본계획에 의하면, 해가 갈수록 대한민국 인구가 줄어들어 2040년이면 우리의 병력 규모는 현재의 50만명에서 35만명 수준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한마디로 국방력 약화가 우려되는 수준이다. 물론 이를 보강하는 대책은 자명하다. 바로 국방로봇이 그 빈자리를 채우는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현재 우리나라의 국방로봇 산업이 이를 뒷받침할 수준에 와있는지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필자가 분석한 바로는 미국, 이스라엘에는 한참 못미치고 AI와 제조기술력으로 전세계 정상급에 올라있는 중국에도 밀리는 형국으로 보인다. 절대적으로 준비와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국방로봇은 의료로봇과 더불어 소요계획에서 개발, 시험 그리고 획득단계에 이르기까지 최소 5년에서 10년 이상의 긴 시간이 필요한 기술이다. 물론 다급해지면 우크라나이의 공격 드론 처럼 현장에서 개조/생산하여 단기간에 전선에 투입할 수 있겠지만, 이는 게릴라전에서 유용한 수준이지, 전선을 바꿀 정도로 주력화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것을 전황에서 보여주고 있다. 국방로봇 생태계와 공급망 구축 등 최소 10년후를 내다보는 국방로봇 체계 수립 방안과 실천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절실한 것이다.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여 지난 16일 한국로봇산업협회(회장 김진오) 산하에 국방로봇 기업, 연구원 등 국방 관련 로봇인들이 뜻을 한데 모아 국방로봇협의회(초대회장 박용운) 발족을 위한 준비모임을 가졌다. 이날 모임에서는 협의회를 중심으로 우리 국방로봇의 현실을 진단하고, 10년 후를 대비하는 국방로봇 로드맵 구축에 적극 참여하자고 결의하였다. 물론 이는 정부가 함께 하지 않으면 한낱 공염불에 불과하다. 미국의 군산복합체 수준으로 국방부와 민간이 원팀을 이루어 철저하게 준비하고 전개해 나아가야 한다.

 

북한의 러시아 파병, 중국의 대만 침공설, 미국의 한반도 전쟁 확률 분석 등 대한민국의 운명이 점점 위태로워 지고 있는 이때 국회에서 벌어지는 여야 정쟁을 살펴보면 참으로 한심하고 걱정이 앞선다. 마치 150년 전 구한말을 보는 것과 같은 참담한 기분이다. 이미 전세계 열강은 제국화되어 조선의 앞날이 풍전등화가 되어 있음에도, 나라를 열어야 하느니 닫아야 하느냐를 놓고 군신들은 양분되고 급기야는 나라를 바로 세우려는 민중 운동을 진압하기 위해 외국 군대를 끌어들이면서 급속히 멸망의 길을 걷게 된 치욕의 근현대사는 우리에게 무엇을 말해 주고 있는가. 현재 전세계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앞으로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국회는 두눈을 부릅뜨고 힘을 합쳐 우리의 국방력 강화를 지원하는 초당적 대책을 하루빨리 수립할 때라고 본다.

 

​우리 로봇인들은 이제 지난 20여년간 국가의 지원을 받아 첨단 로봇기술 발전을 이루고 27개의 상장기업을 일구었으며 1만여 로봇개발자들을 양성하며 세계 3위의 로봇 강국 목표를 향해 달리고 있다. 이제 국방력 강화에 힘을 보태겠다는 의지로 한데 뭉쳐 국방로봇협의회를 설립하고 크게 성장하여 10년 뒤 20년 뒤 나라를 굳건히 지켜내고 더 나아가 통일 한국의 미래를 열어가는 선봉에 설 것을 국가의 운명이 위태로워지는 이 시점에 결연히 다짐해 본다.

 

고경철 kckoh@kohyoung.com

<저작권자 © 로봇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