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일우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정책실장이 '제4차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의 주요 내용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로봇신문 창간 11주년 기념 특별 좌담회에서 박일우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정책실장은 '제4차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의 주요 내용에 대해 소개했다. 박 실장의 주요 발제 내용을 정리해 소개한다.(편집자)
로봇은 경제혁신 촉진, 노동시장 변화 대응, 미래 대체 산업이란 측면에서 각광받고 있다. 로봇은 경제 혁신을 위한 기반 산업으로, 생산성 효율을 높이는 신자본재 역할을 하고 있으며, 노동 시장 변화에 효과적인 대응, 생산 인구 감소 등 인력 수급 불균형을 완화하고 산업재해 감소 등 안전한 근로 환경 조성에 기여한다. 반도체 등 국가첨단전략산업과 융복합해 경쟁력을 제고한다.
로봇산업의 진화는 점점 빨라지고 있으며 국가간 선점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AI, 디지털 트윈, 5G가 융합되면서 지능화 수준이 높아지고 있으며, 자동차ㆍITㆍ농업ㆍ헬스케어 분야에서 새로운 플레이어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미국ㆍ일본ㆍ중국 등 주요 선진국가를 중심으로 로봇 산업에 대한 전략적인 지원이 강화되고 있다.
이처럼 로봇산업이 현실로 다가왔지만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많다. 기술적으로 부품 국산화율을 높이고, 소프트웨어나 센서 등 분야에서 선도국과의 기술 격차를 줄이는 것이 시급하다.
▲ 박일우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정책실장이 '제4차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의 주요 내용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우리나라 제조산업 로봇밀도가 전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로봇이 특정 업종에 편중되어 있으며, 서비스 로봇 시장 규모는 제조 로봇의 3분의 1 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 이 같은 상황에서 소프트웨어, AI, 기계 등 융복합 인력 등의 부족 현상이 심화하고 있으며 2500개에 달하는 로봇업체 가운데 99%가 중소기업이라는 점도 한계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제도, 인프라 등 시장 진입을 위한 걸림돌도 여전히 존재한다.
이같은 로봇 산업계 상황에서 정부는 K-로봇이 우리 산업과 일상을 변화시키고 경제 혁신을 견인할 수 있도록 3대 전략을 강력하게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3대 전략은 ▲로봇 3대 핵심 경쟁력 강화 ▲ K-로봇 시장의 글로벌 진출 확대 ▲ 로봇산업 친화적 인프라 기반 구축이다.
첫 번째 전략은 로봇 3대 핵심 경쟁력 강화다. 기술, 인력, 기업 차원에서 K-로봇을 전면적으로 확산해 해외 시장에 진출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제도, 안전, 인프라, 문화 등 로봇 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하고자 힘쓴다. 이를 통해 오는 2030년까지 K-로봇 산업 규모를 4배 성장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같은 목표 달성을 위해 정부는 첨단 로봇 3대 핵심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기술 분야에선 5대 하드웨어 핵심 부품과 3대 차세대 소프트웨어 등 8대 핵심 기술 확보를 위해 R&D에 적극 투자한다. 또한 국내 부품 및 소프트웨어 공동 개발과 공용 부품 모듈화 등 수요-공급 기업 간의 기술 협력 모델을 확산할 계획이다. 미국, 일본 등 글로벌 공동 R&D 프로젝트도 추진한다. 첨단 로봇에 맞는 특화 인재 양성에도 적극 나선다. 소프트웨어와 AI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기존의 기계, 전자 등 타 분야의 인력 양성 과정에 로봇을 포함하는 부분들도 고려하고 있다. 재직자 대상 로봇 부트캠프, SI 전문 교육을 담당하는 현장 실무 인재를 양성하는 등 총 1만 5천 명의 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기업 부분에선 로봇 전문 기업 150개 양성을 목표로 지능형 로봇 전문 기업 제도를 재설계하고 첨단 로봇 스타트업 부업을 위한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두 번째 전략은, K-로봇 국내 시장을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으로 확장하는 것이다. 정부는 산업 및 사회적으로 100만 대 로봇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산업적으로는 제조업, 농업, 물류, 소상공인, 산업 안전 분야에 로봇을 투입하고, 사회적으로는 국방, 사회안전, 재난, 의료 복지 등 인력 부족 분야에 로봇 투입을 계획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해외 진출을 모색한다. 글로벌 시장 진입을 위해 로봇 센터를 확대하고, 국내외 로봇 인증 기관과 연계해 해외 인증을 지원할 계획이다.
세 번째 전략은 첨단 로봇 확산을 위해 로봇 친화적인 기반 환경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제도적으로는 기존에 발표되었던 51개의 로봇 규제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기로 했다. 지난 2023년까지 20개가 완료되었고 2024년까지 40개 이상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민간협의체를 통해 신규 과제들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있으며, 로봇 기업들을 지원할 수 있는 지능형 로봇법 전면 개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안전과 관련해선 로봇 활용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해 관리 체계를 대폭 강화한다. 로봇 전용 보험 출시, 보안 위험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준비하고 있다.
첨단 로봇 비즈니스 확산을 위한 시스템 구축을 위해선 국가 로봇테스트필드 구축을 추진한다. 또한 지역 주력 산업과 로봇을 융합하는 융합 프로젝트도 추진할 계획이다.
문화 부분에선 로봇 확산에 따른 사회적 공감대 형성을 위해 로봇 윤리 가이드라인 마련 및 대국민 로봇 인식 제고를 위한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정부는 대한민국 경제 혁신을 위해 범부처적으로 민간과 힘을 모아 글로벌 첨단 로봇국가를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
<정리> 장길수 기자 ksjang@irobotnews.com
<저작권자 © 로봇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종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봇신문 창간 11주년 기념 특별좌담회] 종합토론(2) (0) | 2024.07.29 |
---|---|
[로봇신문 창간 11주년 기념 특별좌담회] 종합토론(1) (0) | 2024.07.29 |
씨메스, 코스닥 상장 예심 통과…본격 상장 절차 돌입 (0) | 2024.07.26 |
코가로보틱스,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인증 AA 등급 획득 (0) | 2024.07.25 |
한양대 히어로즈 팀, '로보컵 2024' 휴머노이드 어덜트 사이즈 3위 (0) | 2024.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