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dDIH8U/btsDNpPd3hW/pFXqoKoBebisFHMpwyVbR0/img.jpg)
경기도는 지난 23일 오후 경기도청에서 2024년 제1차 빅데이터위원회를 열고 ‘AI와 빅데이터 기반 도정혁신과 산업발전 방안’을 논의했다.
논의된 사업은 ▲AI 마이데이터 기반 고독사 예방 및 대응 서비스 ▲인공지능 인재 양성 ▲발달장애인 AI 돌봄 서비스 지원 ▲경기 생성형 AI 데이터플랫폼 사전 컨설팅 ▲마이데이터 통합 플랫폼(경기똑D) 운영 ▲데이터 기반 도정 현안 분석 ▲데이터 공동활용을 위한 민간데이터 구매 등 13개 인공지능과 데이터사업이다.
‘AI 마이데이터 기반 고독사 예방 및 대응 서비스’ 사업은 지난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공모사업으로 개발한 서비스를 확대 추진하는 사업이다. 인공지능이 직접 문자를 보내고 전화를 걸어 대상자를 관리하는 AI콜과 마이데이터를 활용해 고독사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고 즉시 대응할 수 있는 서비스 체계를 구축한다. 또한 장애인 가족의 일상생활 개선과 돌봄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발달장애인 AI 돌봄 서비스 지원’ 사업을 추진한다.
또한, 인공지능 산업의 실질적인 인력 수요를 반영하기 위해 산ㆍ학ㆍ연ㆍ관 협력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교육을 추진하며 판교에 교육센터를 구축한다.
아울러 도내 인공지능 기업 수요에 맞는 인공지능 기술ㆍ서비스 실증 지원과 도민AI 평가단 운영을 통해 기업의 기술력 강화를 지원하고, 데이터의 효율적인 통합관리와 인공지능 산업 확대 지원을 위한 ‘경기 생성형 AI 데이터플랫폼 사전 컨설팅’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경기도는 올해 ‘경기똑D’에 다자녀카드 관련 시군 확대와 도민 카드 활용처 확대, 탐색 편의성 개선을 추진한다. 또한, ‘데이터기반 도정 현안 분석’ 사업을 통해 도정 현안에 대한 단기간 빅데이터 분석 수행과 수시 발생하는 분석 수요에 신속하게 대응할 계획이다.
김현대 미래성장산업국장은 “올해 경기도 인공지능산업 육성 기본계획을 수립해 급속도로 변화하는 인공지능 산업에 대응하고 경기도 인공지능 산업을 활성화할 계획”이라며 “산·학·연·관이 협업해 선량한 인공지능 개발과 활용에 대한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박경일 robot@irobotnews.com
<저작권자 © 로봇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인공지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KAIST 이상완 교수팀, 뇌 기반 인공지능 기술 개발 (3) | 2024.01.31 |
---|---|
마음에이아이,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사업 적극 추진 (0) | 2024.01.31 |
코난테크놀로지-SK텔레콤, AI 업무협약 체결 (0) | 2024.01.24 |
서울시, 글로벌 콘퍼런스 'AI 서울 2024', 다음달 1일 개최 (1) | 2024.01.23 |
마키나락스, 일본 ‘스마트 팩토리 엑스포 2024’ 참가 (0) | 2024.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