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1197

제이엘케이, 日 닥터넷과 의료 인공지능ㆍ원격진료 시장 개척한다

​ 의료 인공지능(AI) 업체 제이엘케이(대표 김동민ㆍ김원태)가 일본 원격 의료업체 닥터넷과 일본 의료 인공지능 및 원격 의료 시장에 진출한다. 4일 제이엘케이는 일본 원격 의료업체 닥터넷과 일본 진출에 관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제이엘케이는 닥터넷의 서비스를 이용중인 병원 등 각급 일본 현지 의료기관에 인공지능 기반 원격진단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닥터넷은 일본 전역의 병원을 대상으로 ▲ 의료 인공지능 플랫폼인 AI-RAD ▲ 원격 진단 영상 분석서비스 Tele-Rad ▲ 클라우드 기반 의료데이터 시스템 Virtual-RAD 등의 서비스를 공급하고 있다. 닥터넷은 이미 25년간의 경험을 통해 풍부한 실제 의료 데이터를 보유했으며, 연 120만건에 달하는 원격 진료 실사례를 통해 ..

인공지능 2020.08.05

남해군, 'ICT 연계 인공지능 통합 돌봄 서비스' 시작

▲ 남해군이 인공지능 스피커 누구를 통해 'ICT 연계 인공지능 통합 돌봄 서비스'를 시작했다.(사진=남해군청) ​ 남해군은 독거어르신 등 취약계층 100가구에 응급상황 시 긴급구조가 가능한 ‘ICT 연계 인공지능 통합돌봄서비스’를 8월부터 본격 개시한다고 밝혔다. 올해 신규사업으로 추진되는 ICT 연계 인공지능 통합돌봄 서비스는 AI 스피커를 통해 돌봄이 필요한 독거노인, 장애인, 정신질환자 등 취약계층에 말벗서비스 등 정서적 지원과 응급상황 발생 시 캐어매니저, ADT캡스, 119 연계를 통한 빠른 출동으로 안전한 생활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AI 스피커는 정서지원은 물론 날씨, 치매예방, 개인복약 등의 생활 및 건강정보 등의 음원서비스를 제공하며 응급상황 시 긴급구조 위기단어와 ‘아리아’를 외치면 캐..

인공지능 2020.08.05

SK텔레콤, ‘AI영상인식’ 비대면 휴대폰 보험 가입 프로세스 도입

​ SK텔레콤이 AI영상인식 기술을 활용해 비대면으로 휴대폰 보험을 가입할 수 있는 서비스를 선보인다. 동시에 휴대폰 보험 가입 가능 기간도 60일로 연장하는 등 5G 시대에 적합한 휴대폰 보험 혁신을 8월 6일부터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SK텔레콤은 올해 들어 T All케어플러스 출시, 비대면 액정파손 수리대행, 이니셜 휴대폰보험 보상서비스 도입 등을 통해 휴대폰 보험 서비스 이용 고객의 편의성을 지속적으로 개선해왔다. 특히 이번 휴대폰 보험 서비스 개선은 언택트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며 ICT업계의 새로운 ‘K-언택트’ 바람을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업계 최초로 휴대폰 보험 가입 비대면 프로세스 도입, 언제ㆍ어디서든 가입 가능 SK텔레콤은 휴대폰을 새로 구입한 고객이 집에서도 ..

인공지능 2020.08.04

솔루게이트, 성문인식 인공지능 스피커 기술 특허 등록

인공지능 솔루션 개발 기업 솔루게이트(대표 민성태)가 지난 2018년 ‘복합 사용자 인증 시스템(특허 제 10-1876262호)’ 특허 등록에 이어 올해 7월 13일 ‘성문인식을 통한 인공지능 스피커 맞춤형 개인화 서비스 시스템(특허 제 10-2135182호)’을 특허 등록했다고 밝혔다. 솔루게이트는 이 2건의 특허 기술을 이용해 기존의 인공지능 스피커 서비스보다 한 차원 높은 단계의 획기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 AI스피커 개인화서비스 구성도 ​솔루게이트가 특허 등록한 2건의 기술은 사용자 개인에 대한 식별 기능이 없는 기존 인공지능 스피커의 한계를 해결할 수 있다. 현재 전 세계 모든 인공지능 스피커의 ‘웨이크업콜(Wakeup Call)’은 제조사에서 지정한 키워드(예: ‘기가지니’, ..

인공지능 2020.08.04

KAIST, 딥러닝 기반 실시간‘기침 인식 카메라’개발

KAIST는 기계공학과 박용화 교수 연구팀이 에스엠 인스트루먼트(대표 김영기)와 공동으로 실시간으로 기침 소리를 인식하고 기침하는 사람의 위치를 이미지로 표시해주는 '기침 인식 카메라'를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세계적 유행성 전염병인 코로나19가 최근 미국·중국·유럽 등 세계 각국에서 재확산되는 추세로 접어들면서 비접촉방식으로 전염병을 감지하는 기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코로나19의 대표적인 증상이 발열과 기침인데, 현재 발열은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해 직접 접촉을 하지 않고도 체온을 쉽게 판별할 수 있다. 문제는 비접촉방식으로는 기침하는 사람의 증상을 쉽사리 파악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박 교수 연구팀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침 소리를 실시간으로 인식하는 딥러닝 기반의 기침 인식 모델을 ..

인공지능 2020.08.04

미 육군, 병사-로봇간 대화 인터페이스 기술 '주디' 개발

▲ 미 육군이 병사-로봇간 상호작용과 합동 업무를 지원하는 신형 대화 인터페이스 기술을 개발했다.(사진=미 육군) ​ 미 육군이 병사-로봇간 상호작용과 합동 업무를 지원하는 대화 인터페이스(dialogue interface) 기술을 개발했다. ​ ‘더로봇리포트’에 따르면 미 육군리서치연구소(ARL)는 서던캘리포니아대학 ‘크리에이티브 기술연구소(ICT·Institute for Creative Technologies)’와 공동으로 병사와 로봇자율시스템간 쌍방향 대화시스템인 ’주디(JUDI·the Joint Understanding and Dialogue Interface)’를 개발했다. 서던캘리포니아대 산하 ICT는 국방부의 지원을 받는 대학 제휴연구센터(UARC·University Affiliated Re..

인공지능 2020.08.04

SK텔레콤, 시니어 특화 AI 서비스 ‘누구 오팔’ 출시

▲ SK텔레콤이 시니어 고객의 건강하고 즐거운 삶을 지원하는 서비스 누구 오팔을 출시했다 ​ SK텔레콤이 5G 시대 시니어 고객의 건강하고 즐거운 삶을 지원하는 서비스 ‘누구 오팔(NUGU opal)’을 출시했다고 30일 밝혔다. 누구 오팔은 시니어 고객을 위한 다양한 특화 서비스를 묶어 구성한 유료 서비스로 누구 디바이스(누구, 누구 캔들, 누구 미니, Btv AI 셋톱박스 등)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SK텔레콤은 디지털 소외계층인 시니어 고객이 음성 UX로 좀 더 쉽게 인공지능을 사용하고 이를 통해 생활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이번 서비스를 마련했다. 누구 오팔은 투약 알림, 일정 알림, 생활 알림, 두뇌 체조, 건강 박사, 이용 통계, 금영 노래방 등 시니어 고객의 생활에 필요한 서비스로 구성..

인공지능 2020.07.31

KT, 인터넷 서비스 향상 위해 AI 솔루션 도입

▲ KT 직원들이 닥터코어 IP를 활용해 부산∙경남 지역의 KT 기가인터넷 네트워크를 점검하고 있다. ​ KT가 인공지능 기술로 인터넷 서비스 품질 저하의 원인과 장애를 사전에 탐지해내는 ‘닥터코어 IP(Dr. Core IP)’ 솔루션을 개발해 부산∙경남과 충청 지역의 KT 기가인터넷 네트워크에 시범적으로 적용했다고 30일 밝혔다. KT는 코로나19 이슈로 재택근무, 화상회의, 온라인수업 등의 비대면 서비스와 언택트 소비가 일상화됨에 따라 고품질의 인터넷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기 위해 닥터코어 IP 솔루션을 개발했다. 닥터코어 IP는 KT 인터넷 망에 구축된 수십만 대의 장비에서 발생되는 데이터와 디도스(DDoS) 공격 등 서비스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요인을 AI가 실시간으로 빠르게 학습하고 정..

인공지능 2020.07.31

광주시,인공지능 종합지원센터 30일 개소

▲ 광주광역시청사 전경(사진=광주광역시) ​인공지능 업체들에게 필요로 하는 제반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광주 인공지능 종합지원센터가 문을 열었다. 광주광역시는 30일 광주테크노파크에 인공지능 종합지원센터를 개소하고 인공지능 기업들에 대한 지원에 나섰다고 밝혔다. 인공지능 종합지원센터는 인공지능 기업 입주공간 제공, 투자유치, 기술개발, 인력수급, 법률ㆍ특허ㆍ금융ㆍ경영 컨설팅 등을 패키지로 지원할 수 있는 원스톱서비스를 시작했다. 광주시는 그동안 글로벌 경쟁력을 가진 16개 인공지능 기업과 업무협약을 맺고 그 중 8개 기업이 광주에 법인설립 및 사무실을 개소하는 등 인공지능 중심도시 조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이날 종합지원센터가 문을 열어 인공지능 업체들의 애로사항을 원스톱으로 해결함으로써 광주..

인공지능 2020.07.31

광주과학기술원-LG전자, 인공지능 분야 업무협약 체결

▲ 광주과학기술원과 LG전자가 인공지능 분야 업무협약 체결후 기념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 광주과학기술원 인공지능연구소와 LG전자 인공지능연구소가 인공지능 분야 산학협력 및 연구개발을 위한 상호 업무협약을 30일 LG전자 서초R&D 캠퍼스에서 체결하였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광주과학기술원과 LG전자는 인공지능 중심의 기술 협력을 통해 국가 과학 기술의 발전과 양 기관의 연구능력 향상을 도모할 계획이다. 협약의 주요 내용에는 ▲광주광역시 인공지능 중심 산업융합 집적단지 조성사업 공동 협력 ▲인공지능 기반 창업지원 분야(‘꿈꾸는 아이(AI)’) 경진대회 공동 참여 ▲집적 단지 내 창업기업들을 대상으로 LG전자 인공지능 플랫폼 활용에 대한 홍보 및 제안 등이 포함되었다. ​ 이번 협약을 통해 LG전자는 ..

인공지능 2020.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