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재활원는 오는 29일 코엑스 컨퍼런스룸 307A호에서 돌봄로봇 정책 현황과 발전방안에 대해 논의하기 위한 ‘돌봄로봇 정책 심포지엄(학술토론회)’를 개최한다.
우리나라는 이미 2024년에 전체 인구의 20%가 고령인구인 초고령사회로 진입하였다.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돌봄 서비스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로봇기술을 활용한 돌봄 서비스의 필요성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돌봄로봇은 돌봄자와 돌봄 받는자 모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이번 학술토론회는 3개 세션과 패널 토의로 구성되었으며, 돌봄로봇 연구현황과 현장에서 해야 할 역할, 돌봄로봇 생태계 조성에 필요한 정책 방향을 연계하여 돌봄 정책을 포함한 돌봄로봇 관련 전문가들의 발표가 진행될 예정이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유니버설디자인협회 우창윤 회장이 좌장을 맡아 ‘돌봄로봇의 연구 현황’을 주제로 최근 돌봄로봇의 연구 현황과 경제적 효과, 기술표준화 방향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두 번째 세션은 인제대학교 양영애 교수가 좌장을 맡아 ‘현장에서 원하는 돌봄로봇의 역할’을 주제로 요양시설 및 재가서비스 현장에서의 돌봄로봇 사용 경험과 현장에서 실현되는 정책에 대해 논의한다. 세 번째 세션에서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선임연구위원이 좌장을 맡아 사회서비스와 지역돌봄 체계의 연계 가능성, 일본에서는 어떻게 돌봄로봇이 생태계를 조성했는지 논의될 예정이다. 모든 세션을 마친 후 패널토의를 통해 정책부터 현장까지, 돌봄로봇 생태계가 어떻게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을지 각 분야 전문가들과 소통의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강윤규 국립재활원장은 “돌봄로봇 정책심포지엄이 양질의 토양이되어 돌봄로봇 기술이 돌봄현장과 지역사회에 뿌리를 내려, 돌봄로봇 생태계가 풍성해지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코엑스 B홀에서 개최되는 ‘2025 홈케어ㆍ재활ㆍ복지 전시회’와 연계하여, 돌봄로봇의 정책, 임상 및 산업 전문가 등과 확대된 교류의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 2025 돌봄로봇 정책 심포지엄 일정표
박경일 robot@irobotnews.com
<저작권자 © 로봇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전문서비스로봇'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찰청, ‘자율순찰로봇 등’ 자치경찰 연구개발 사업 추진한다 (1) | 2025.05.09 |
---|---|
씨드로닉스, 싱가포르 국방과학기술청과 무인수상정(USV) 공동 개발 나서 (0) | 2025.05.09 |
홍콩 라이스 로보틱스, 암호화폐로 보상받는 동반자 로봇 내놓아 (1) | 2025.05.08 |
中 레노버, 휴머노이드 로봇 '러샹 1호' 공개 (0) | 2025.05.08 |
獨 베크호프 오토메이션, 매출 급락 (0) | 2025.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