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크는 최대 59kg을 들어올린다. 한팔로 29kg의 상자를 최대 2.4m 높이까지 들어올려 그곳에 내려놓을 수 있다. (사진=덱스터리티)
미국 덱스터리티가 산업용 대형 이동식 매니퓰레이터(조작기)인 '메크(Mech)'를 출시했다고 더로봇리포트가 18일(현지시각) 보도했다.
몸통인 이동 로봇(로버)에 장착된 두 개의 팔로 구성된 메크는 창고나 산업 현장에서 작업장으로 이동해 스트레스가 많고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캘리포니아 레드우드 시티에 위치한 덱스터리티는 산업 환경에 더 큰 기술과 힘을 제공하기 위해 메크를 처음부터 설계했다. 이 시스템은 덱스터리티의 첨단 물리 AI(Physical AI)를 활용해 새로운 작업들을 빠르고 쉽게 처리한다.
사미르 메논 덱스터리티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CEO)는 “물류산업에 혁명을 일으키기 위해 초인적으로 설계된 획기적인 산업용 메크를 소개하게 돼 매우 기쁘다. 메크는 복잡하고 노동 집약적 산업의 과제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해결하는 지능적이고 유연한 로봇으로서 사람들에게 힘을 실어주는 우리의 사명에 있어 큰 도약이다. 인간과 같은 적응력과 초인적인 힘, 정교한 물리 AI를 결합한 메크는 전 세계의 물류 운영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다”라고 말했다.
메크는 덱스터리티의 산업 및 기업 고객에게 트럭 하역(荷役) 작업용으로 제공되며, 기능을 더욱 확장하기 위한 새로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이 올해 나온다.
2017년에 설립된 덱스터리티는 “물리 AI를 사용해 풀 스택 시스템에 인간과 같은 손재주를 제공함으로써 물류, 창고 및 공급망 운영 근로자들을 힘들고 반복적인 작업에서 해방한다"고 밝혔다. 덱스터리티는 이달 중순 9500만달러(약 1400억원)를 투자받아 기업 총 평가액이 16억 5000만달러(약 2조 42000억원)에 이르렀다.
이 회사는 양팔 기술 분야를 잘 안다. 이전 로봇인 '덱스R(DexR)'은 적재 도크의 트레일러와 컨테이너에서 상자를 하차하기 위한 양팔 시스템이다. 이 로봇은 머신 비전, 힘 감지 및 통합 동작 계획을 사용해 딱딱한 골판지에서 부드러운 플라스틱에 이르는 다양한 물품을 집어 올린다.
◆덱스터리티, 메크의 힘과 유연성 강조
전 세계 기업은 직장 안전을 유지하면서 효율성을 개선해야 하는 압박에 직면해 있다. 덱스터리티는 메크가 복잡한 계획과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민첩성과 지능을 결합해 이러한 과제들을 직접 해결한다고 말했다. 여기에는 트럭 적재 및 하차, 상자 팔레타이징 및 디팔레타이징, 저렴한 랙에서 주문품 픽킹이 포함된다.
메크는 두 팔로 최대 59kg(한 팔로 약 29kg)을 들며, 상자를 최대 2.4m 높이까지 들어올려 상자를 배치할 수 있다. 메크는 기존 인프라 및 레거시 자동화 시스템과 통합해 이전 산업 현장(브라운필드)의 까다로운 조건에서도 자연스럽게 작동한다.
메크는 독립적으로 조종할 수 있는 4개의 바퀴를 사용해 자율적으로 육체적으로 힘든 작업이 있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버튼을 누르면 즉시 들어올리기, 하적, 포장, 팔레타이징, 구축 등을 시작할 수 있다.
덱스터리티의 물리 AI는 메크에 내장된 수백 개의 AI 모델을 갖춘 AI 슈퍼컴퓨터에서 직접 실행돼 무작위로 된 상자들을 쌓거나, 두 팔을 좁은 공간에서 조정하거나, 고급 내장 촉각을 통해 부서질 수 있는 소포를 섬세하게 다루는 등 다양한 어려운 시나리오를 지능적으로 해결한다. 메크는 최대 16대의 내장 카메라로 더욱 성능이 강화돼 스스로 무엇을 고르는지 이해하고 적재 및 팔레타이징하는 동안 최상의 포장 전략을 결정하는 데 도움을 받는다. 사용 온도 범위는 0~122°C다.
한 명의 직원이 최대 10대의 메크를 동시에 관리하고 모니터링해 반복적인 스트레스, 그리고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리는 작업과 관련된 부상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메크는 유연성과 효율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새로운 소프트웨어 앱으로 쉽게 업그레이드돼 추가로 복잡한 작업을 학습하고 수행할 수 있다. 이번 출시에 따른 사용 가능한 초기 애플리케이션은 트럭 적재에 특화된 앱이며, 올해 말에 작업별 추가 앱이 출시될 예정이다.
이재구 robot3@irobotnews.com
<저작권자 © 로봇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전문서비스로봇'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규어 AI, 휴머노이드 로봇 대량 생산시설 '봇큐' 구축 (0) | 2025.03.24 |
---|---|
中 베이징자동차그룹, 슈퍼 공장에 유비텍 휴머노이드 '워커 S1' 도입 (0) | 2025.03.24 |
中 매직랩 휴머노이드 로봇, 제품 발표회서 '사회자' 역할 수행 (0) | 2025.03.24 |
英 오카도, '프로맷 2025'에서 팔레트 이동 AMR ‘포터’ 공개 (0) | 2025.03.24 |
고영테크놀러지, 의료용 엑스레이 식약처 인증 획득 (0) | 2025.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