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산업진흥원
부천산업진흥원은 부천시 산업진흥원 및 운영조례에 따라 설립된 공공기관으로, 부천시 관내 중소 벤처기업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지원 사업과 경영 개선에 노력하고 있다. 부천산업진흥원은 지능형 로봇, 첨단 금형, 부품 소재 등 전략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있으며 로봇 스타트업 지원, 로봇 핵심 부품 개발 지원 등에 적극 나서고 있다. 로봇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 제고와 홍보를 위해 부천로보파크를 운영하고 있다.
◊쎄네스테크놀로지
쎄네스테크놀로지는 지속적인 투자와 개발을 통해 산업용 로봇 및 정밀 감속기를 제작해 공급하고 있다. 가반하중 1kg의 소형 로봇을 개발해 소형 부품 조립 및 운송 프로세스 애플리케이션용으로 공급하고 있다. 이번 로보월드에는 소형 6축 다관절 산업용 로봇, 하모닉 드라이브를 국산화한 제로백 드라이브(Zero-Back Drive)를 선보인다.
◊마틴프라우트
![](https://blog.kakaocdn.net/dn/dPMaiG/btrPFB43xae/jzvK8mCOrvKOvKwCORvpg1/img.jpg)
▲ 마틴푸라우트 '로봇용 감속기'
마틴프라우트는 ‘같이 누리는 기술, 함께 꿈꾸는 마틴프라우트’라는 슬로건하에 핵심 로봇 부품을 국산화하고, 세계 속에 한국 로봇 제품을 알리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로봇 감속기가 전체 제품 가격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로봇산업에서 감속기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동안 적용되는 산업분야가 제한적이었으나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로봇기술의 비중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마틴프라우트는 국산 로봇용 감속기 개발 및 보급에 기여하겠다는 비전을 갖고 있다. ‘함께 꿈꾸는’ 마틴프라우트는 기술 공유를 통해 국내 제조사와 생산거점 다변화를 구현하고, 사용자이면서 동시에 제작사 역할을 수행하겠다는 목표다.
◊로보라이프
![](https://blog.kakaocdn.net/dn/bVS1B4/btrPFCQqMB0/8GSuIlOeWj1CsIhXUgu3r0/img.jpg)
▲ 로보라이프 '병원 이송 로봇'
로보라이프는 로봇산업이 추구하는 미래 가치를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과 공유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로보라이프는 자체 개발한 로봇기술을 다양한 분야의 로봇 및 4차 산업에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단순히 기술만 알리는 것이 아니라 가치를 알리는 일을 중시한다. 로보라이프는 새로운 가치에 로봇 기술을 적용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로보라이프는 교육용 로봇과 전시 콘텐츠 로봇, 그리고 산업용 장비, 호텔 서비스 로봇, 서빙로봇 등 산업 전반 및 실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로봇과 로봇 플랫폼을 개발 및 공급하고 있다. 이번 로보월드에선 현재 개발 중인 휠체어 전동화 장치와 병원 이송 로봇을 선보인다.
◊ 마로로봇테크
![](https://blog.kakaocdn.net/dn/A7plb/btrPISkp0d9/4UbLsKNiQs3EPwcUX1LKLK/img.jpg)
▲ 마로로봇테크 '물류이송로봇'
지난 2008년 설립된 마로로봇테크는 로봇의 위치인식 핵심 역량 기술인 카메라 비전 기술과 모션제어 기술을 이용해 물류이송로봇 토털솔루션과 스마트 주차로봇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마로로봇테크의 QR코드 인식형 물류로봇은 바닥에 부착되어 있는 QR코드를 인식해 정확한 위치와 방향을 파악하고, 100kg부터 최대 1톤의 물건을 들어올려 목적지에 이송한다.
마로로봇테크는 실증특례 승인을 받아 QR코드 활용 스마트 주차로봇 실증을 위한 스마트 주차장도 운영하고 있다. 올해 말 부평구청 먹거리타운 지하 공영 주차장에 납품해 운영할 예정이다. 스마트 주차로봇은 AI와 로봇기술을 접목해 로봇 스스로 차량을 지정된 장소에 주차할 수 있어 운전자가 주차를 할 필요가 없다.
이번 로보월드에는 버튼 하나로 간단하고 빠르게 대상을 인식할 수 있는 추종형 물류로봇을 선보인다. 추종형 로봇은 경로를 기억하는 메모리 기능도 있어 무인으로도 운영이 가능하다.
◊시기인더스트리
시기인더스트리는 자동화시스템의 핵심인 고성능 정밀모터 제어기기를 개발 및 생산하고 있다. 최근 자동화시스템의 주동력으로 서보 모터, 스테핑 모터, BLDC 모터 등 여러 모터시스템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으나 향후 한가지 시스템으로 통합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시기인더스트리는 서보와 BLDC시스템을 통합한 BLDC 서보라는 신개념 제어장치를 개발했다. 이 제어기는 낮은 비용으로 위치제어/토크제어/속도제어/모션 인덱스 등 고성능 서보시스템을 구현했다. 또한 다관절 로봇에 적용하는 액추에이터 시스템과 고출력 소형 모터 제어시스템에 관한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다.
◊아이알로봇
![](https://blog.kakaocdn.net/dn/bcayXV/btrPIIh1Avz/JVEGkd2npKI7OK2rdLMehk/img.jpg)
▲ 아이알로봇 마이크로 리니어 서보 액추에이터
아이알로봇이 제조 판매하는 마이크로 리니어 서보 액추에이터는 드라이브 회로, 모터, 기어박스, 위치인식 센서 등을 망라해 공간이 협소한 설비에서 정밀 선형 위치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2016년 자체 개발을 통해 첫 모델을 출시한 이후 라인업을 계속 확장해 현재 100여가지가 넘는 다양한 상품군을 보유하고 있으며, 의료기기, 실험분석 장비, 공장자동화, UAV/드론, 무인 키오스크 장비, 로보틱스 분야 등에 광범위하게 채택되고 있다.
아이알로봇은 ISO9001과 ISO14001 인증을 받았으며 유럽 CE/RoHS 인증도 취득, 미국과 서유럽 시장에 제품을 수출하고 있다. 매출의 40%를 수출이 차지하고 있다. 아이알로봇의 마이크로 리니어 서보액추에이터를 통해 그동안 시장에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서비스들이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태동하고 있어 주목된다.
◊다인큐브
![](https://blog.kakaocdn.net/dn/LbLp5/btrPIReKFGt/qPn6m4ueuQjeyjBdXMTOyk/img.jpg)
▲ 다인큐브 '티치 펜던트'
다인큐브는 산업용 로봇 제어기의 핵심 부품인 티치 펜던트와 모션 컨트롤러를 생산하는 기업으로, 국내외 메이저 로봇기업 및 자동화 장비 제조사에 공급하고 있다.
다인큐브의 티치 펜던트는 안전 3종 스위치가 적용되어, 대형 장비의 내부에서 1인 또는 2인 1조로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경우, 한 명의 인력으로도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타입 티치 펜던트는 별도의 GUI를 개발하지 않고도 기존에 사용하던 HMI의 GUI를 미러링하여 적용할 수 있다.
임베디드 타입의 티치 펜던트는 리눅스, 윈도CE, 윈도10 IoT, 우분투 등 다양한 OS의 탑재가 가능하다. 기존의 정형화된 작화 툴을 벗어나 개발자가 원하는 환경에 맞추어 회사의 아이덴티티가 반영된 GUI를 적용할 수 있다.
모션 컨트롤러 코어콘(coreCon)은 직교, WTR, 스카라, 6축 다관절 로봇, 델타 로봇 등 기본적인 로봇에 적용할 수 있으며 주문 제작형 로봇의 제어 장치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 풍부한 장비 적용 사례를 기반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다방면의 솔루션이 가능하다.
◊오르고
오르고는 물류 로봇에 적용되는 전용 리프트를 개발·공급하고 있는 기업이다. 지난해 오르고 리프트에 관한 상표 및 특허 등록을 마쳤다.
오르고 리프트는 250㎏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제품으로, 기존 제품 대비 작은 규격(358×100×110)으로 제작했다. 작은 규격의 리프트는 고객사가 기존에 투입되지 못했던 부품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며 로봇을 경량화해 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필요한 스트로크(60/110㎜)를 구현할 수 있어 AGV 및 AMR 로봇의 불필요한 움직임을 최소화해 제품의 수명을 장기화할 수 있다.
◊엠티에스이
![](https://blog.kakaocdn.net/dn/bFg4Gf/btrPEJbtwg7/VWRvXr6MzWUOvkrgLo3lTK/img.jpg)
▲ 엠티에스이 'TM협동로봇'
2000년에 설립된 엠티에스이는 로봇 분야 유통 및 제조기업으로, 이번 로보월드에 대만 테크맨 로봇의 협동로봇인 TM로봇을 선보인다. 엠티에스이는 지난 2017년부터 TM로봇 판매를 개시했으며, 국내 대기업 및 중소기업에 협동로봇을 이용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엠티에스이는 TM5(가반하중 4~6kg), TM12(12kg), TM14(14kg), TM16(16kg)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모바일 타입 및 비전리스 타입의 협동로봇 솔루션도 공급하고 있다.
TM로봇은 기본 내장 비전 시스템, 간편하고 쉬운 비전 사용법, 직관적이고 쉬운 인터페이스, 다이렉트 티칭, 쉬운 프로그래밍 등을 특징으로 한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꾸준한 업그레이드를 통해 사용자 중심 협동로봇을 만들어 가고 있다.
한편 대만 TM로봇은 늘어나는 수요에 대비해 2019년 공장을 확장했으며 상하이·부산·창수·선전·충칭 등에 현지 해외 영업 사무소를 설립해 현지화된 스마트 제조 및 자동화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에코모터
에코모터는 AGV, AMR 등 모바일 로봇의 바퀴구동용 BLDC 모터를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다. 자체적으로 컴팩트한 유성감속기도 설계 및 제작했다. 그동안 수입에 의존해 오던 1톤급의 조향장치 모델을 최근 개발해 수입 대체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조향장치 모델은 유성감속기를 적용해 효율이 개선됐으며 자체 BLDC 모터를 적용해 컴펙트한 제품 사이즈를 구현했다. 0.3톤용 조향장치모델도 내년 상반기에 출시 예정이다. 이를 다양한 형태의 무인자율주행로봇 구동모듈에 적용할 계획이다.
◊케이와이이엔지
![](https://blog.kakaocdn.net/dn/cHAAR0/btrPE6LcrcS/NRk0FhRj47tvbVJ92KNUk1/img.jpg)
▲ 케이와이엔지 큐씨매니저
케이와이이엔지의 큐씨매니저(QC MANAGER)는 호환과 확장성을 갖췄다. 제품군은 크게 큐씨매니저 싱글(QC MANAGER single), 큐씨매니저 멀티(QC MANAGER multi), 큐씨매니저 허브(QC MANAGER hub)로 구성된다.
큐씨매니저 싱글은 측정기기와 1대 1로 연결해서 사용하는 유무선 장비다.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측정기기에 연결하고 전송 버튼만 누르면 측정값을 유무선으로 컴퓨터나 스마트기기로 전송한다.
큐씨매니저 멀티는 최대 7대의 측정기기를 하나의 장비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결된 장비에서 수집된 값은 큐씨매니저 싱글처럼 컴퓨터나 스마트 기기로 유무선 전송이 가능하다. 큐씨매니저 허브는 송신기를 측정기기에 모듈 형태로 부착하면, 허브가 측정값을 무선으로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는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전송이 가능하다. USB나 시리얼, 랜(LAN) 포트를 이용해 값을 수집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고, 기존 양식에 곧바로 적용 가능하다. 다양한 포트에서 값을 수집할 수 있어 확장성이 크게 개선됐다.
◊고영로보틱스
![](https://blog.kakaocdn.net/dn/chHEvb/btrPJetKLPF/wckCFZYVCkfueHT6FlnFn0/img.jpg)
▲ 고영 로보틱스 '마리오네트 공연로봇'
지난 2009년 설립된 고영로보틱스는 주로 교육용 로봇, 전시 체험용 로봇을 개발하고 있으며, 로봇교육 및 경진대회도 운영하고 있다.
변신 로봇, 마리오네트 공연로봇 등 전시 체험형 로봇을 개발했으며 부천로보파크, 춘천애니메이션박물관, 의정부 교육도서관 등에 납품했다. 또한 교육용 휴머노이드 로봇 ‘플루토’를 개발해 상명대학교, 한양대학교 등에 공급했다. 현재 경기, 인천권에서 휴머노이드 로봇 교육뿐만 아니라 코딩, 3D 설계 등 다양한 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며 로봇경진대회도 열고 있다.
장길수 ksjang@irobotnews.com
<저작권자 © 로봇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종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 로보월드 특집] 지역거점센터(대전) (1) | 2022.10.27 |
---|---|
[2022 로보월드 특집] 지역거점센터(인천) (0) | 2022.10.27 |
[2022 로보월드 특집] K-로봇 축제 '2022 로보월드' 개막 (1) | 2022.10.27 |
뉴로메카, 수요예측에서 1652.1대 1 기록 (0) | 2022.10.25 |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제조공정 로봇활용 표준공정모델 홍보 나서 (0) | 2022.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