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SHKhs/btsMd4gZvJC/Xb1GZZg3oSZwMKC2uCwxnk/img.jpg)
▲ 여준구 대동로보틱스 신임 대표이사.(사진=대동로보틱스)
대동그룹의 인공지능(AI) 기반 지능형 로봇 기업 ‘대동로보틱스’의 신임 대표이사로 여준구 전 로봇융합연구원장이 취임했다. 대동로보틱스는 여준구 신임 대표 체제를 지난주 출범했다고 10일 밝혔다.
대동로보틱스 측은 여 신임 대표 영입 이유에 대해 ‘로봇분야 글로벌리더, 세계적인 석학으로 AI로봇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여준구 신임 대표는 서울대 기계설계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오레곤 주립대에서 로봇공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하와이 주립대 기계공학과·정보전산학과 교수를 지냈으며, 미국 작업용 자율수중로봇 연구개발 분야 연구소 ‘Autonomous Systems Lab(자율시스템 실험실)’ 초대 소장을 지냈다. 미국의 로봇 및 지능시스템 분야 정부 주요 연구사업을 선정, 지원하는 ‘국립과학재단본부(NSF)’에서 정보지능시스템 프로그램 디렉터로도 일했다. 이 과정에서 미 정부 범 부처사업인 ’National Robotics Initiative(국가 로봇 이니셔티브)‘ 탄생에 기여했다. 주일 미국대사관 NSF 동아시아 태평양 지역 소장직을 역임하기도 했으며, 이를 통해 해당 지역 과학 외교에도 일조하기도 하는 등 로봇 분야에서 다방면으로 활약해 왔다. 국제 전기전자공학자협회(IEEE)의 종신 석학회원이기도 하다.
국내에서는 한국항공대 5대, 6대 총장 역임 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로봇·미디어 연구소 초대 소장, 한국로봇융합연구원(KIRO) 의 3대, 4대 원장을 역임했다.
미국 대통령상 수상하는 등, 여러 차례 권위 있는 상을 수상한 바 있다. 대표적 저서 ‘Introduction to Autonomous Manipulation(자율 조작 입문, Springer 출판사)를 비롯해 120편 이상의 논문과 학술연구 저서를 출판했다.
여 신임 대표는 최근까지 KIRO 원장으로 재임하면서 연구 인력 및 인프라와 R&D 프로젝트 등을 2배가량 성장시킨 점을 높게 평가받고 있다. 대동을 비롯해 한화시스템, LIG넥스원, 포스코, 삼성E&A 등 국내외 200여 개 기업들과 공동연구센터를 설립하는 등 다양한 연구 협력 사업을 벌여 로봇과 AI 분야의 다양한 기술 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이를 통해 수중, 재난안전, 배관·건설, 농업 등 분야에서 20여 개 로봇 기술 개발을 이끌었다. 국내 최대 로봇교육시설을 갖추고 연 1000명 이상의 현장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있는 로봇직업혁신센터(RoTIC)을 설립하기도 했다.
여준구 대동로보틱스 대표는 “대동이 보유한 자율주행 트랙터, 정밀농업 등 농업 첨단기술, 오랜 기간 축적된 글로벌 마케팅 역량을 대동 그룹사인 ’대동에이아랩‘과 함께 극대화 하고 접목시켜 나갈 계획”이라며 “이는 그룹이 AI 기반 지능형 글로벌 로봇 기업으로 성장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국내 로봇산업의 내수 한계를 극복하는 생태계 형성에도 기여하겠다”며 “이를 위해 국내 로봇산업의 모든 역량을 모아 세계적인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원유현 대동 공동대표 부회장은 “대동그룹은 글로벌 AI로봇 기업이 되기 위해 자회사 설립, 전문가 영입 등 다양한 방안으로 기반을 다져 나가고 있다”며 “이런 역량을 통해 올해부터는 스마트 농기계, 스마트팜, 로봇 등의 미래사업 분야의 성과를 만들어 미래농업 리딩기업으로서 지속 성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11월 설립된 대동로보틱스는 대동 그룹 내에서 ▲농업용 및 산업용 ▲이동 및 운반용 ▲청소·제설 등 3개 분야에 걸쳐 대동그룹의 지능형 로봇 제품의 사업기획, 제품설계, 영업마케팅 등 분야를 전담한다. 연평균 12.3%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는 AI기반 지능형 로봇시장을 적극 공략해 2029년 1300억 원대 이상의 매출을 올리는 것이 목표다. 지난해 국내 과수농가 대상 실증 테스트를 진행한 ’AI-enhanced(진보형 AI) 자율주행 운반로봇‘을 올해 안에 출시할 예정이다.
전승민 기자 enhanced@irobotnews.com
<저작권자 © 로봇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종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제로봇연맹, ‘세계 로봇 R&D 프로그램 2025' 보고서 발간 (0) | 2025.02.11 |
---|---|
로봇용 센서 기업 에이딘로보틱스, '삼성 C랩 아웃사이드' 선정 (0) | 2025.02.11 |
中 로봇기업 숫자 45만 개 돌파...동부 지역에 집중돼 있어 (0) | 2025.02.10 |
고영테크놀러지, 대만 법인 설립… 현지화 전략 강화 (0) | 2025.02.10 |
美 하니웰, 자동화와 항공우주사업 부문 분리한다 (0) | 2025.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