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신년특집] 로봇기업 CEO, 86% 올해 기업 매출 긍정적 전망

로봇신문사 2025. 1. 2. 16:16

 

국내 주요 로봇기업 CEO들은 트럼프 2.0 정부 등장과 국내 어려운 정치ㆍ경제 환경 속에서도 올해 기업의 매출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작년 기업 실적 역시 전년 대비 좋아졌다는 평가가 50%에 육박했다.

 

 

 

 

 

지난 27일 로봇신문이 2024 올해의 대한민국 로봇기업 시상식에 참가한 국내 로봇 기업 CEO 29명을 대상으로 자체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86%가 올해 당해 기업의 매출 전망을 전년보다 나아질 것으로 예상한다는 긍정적 평가가 대부분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7%가 올해와 비슷할 것으로, 7%만이 올해보다 더 나빠질 것으로 전망했다.

 

로봇기업 CEO들이 올해 매출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는 이유로는 로봇 시장 확대 및 고객 수요 증가, 해외 진출과 글로벌 매출 증대, 하반기 경기 회복, 신제품 출시나 신사업 진출 등을 꼽았다. 더 나빠질 것으로 보는 이유로는 사업환경의 불확실성, 국내 및 미국의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인한 투자 축소를 이유로 들었다.

 

 

 

 

또한 지난해 기업 실적 관련해서는 48%가 전년 대비 좋았다고 응답했고, 21%가 전년과 비슷하다, 31%가 전년보다 악화되었다고 평가했다.

 

작년 기업 실적이 전년 대비 좋아진 이유로는 시장 확대, 해외 진출, 원가절감, 품질고도화, 고객 신뢰 증대, 기술 및 서비스 경쟁력 향상, 신제품 출시 등으로 응답했다. 나빠진 이유로는 고객사 투자 감소, 전방 산업 부진, 의정 갈등 및 경기 악화, 글로벌 시장 변화, R&D 비용 증가, 그리고 정부의 예산변동으로 인한 대응 부족을 이유로 응답했다.

 

 

 

 

 

올해의 로봇 시장 전망을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45%가 전년보다 나아질 것으로, 38%가 전년과 비슷할 것으로, 17%가 전년보다 더 나빠질 것으로 예상해 전체적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올해 로봇 시장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는 이유로는 로봇 시장 확대, 인건비 상승 및 노동력 부족, 자동화에 대한 수요 증가, 안전사고 예방 이슈 등으로 응답했다. 비관적으로 보는 이유로는 경기 둔화와 정치적 불확실성을 가장 큰 이유로 들었고 중국 대비 경쟁력 부족을 이유로 응답하기도 하였다.

 

설문에 응한 29개 기업 CEO들은 올해 사업계획을 수립했느냐는 질문에 72.4%가 그렇다고 답했고, 27.6%가 수립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사업 계획을 수립하지 못한 가장 큰 이유로는 대외불확실성 확대 때문으로 답했고, 탄핵 등 정치 리스크 확대와 내수 위축 심화 때문이라는 응답자도 각각 3.5%였다.

 

 

 

 

 

현재 기업 성장의 최대 리스크는 무엇이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40%가 자금, 33%가 인력이라고 답해 로봇 기업 역시 자금과 인력이 향후 성장해 나가는데 가장 큰 걸림돌로 조사되었다. 이외에도 기술 11%, 시장의 불확실성 11%, 규제라고 응답한 CEO도 5%를 나타냈다.

 

또 93%의 CEO가 AI시대에 맞춰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를 업무에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내 로봇업계가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는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었다. 국가 지원 확대, 해외 진출, 중국에 대한 대응책 마련, 사업 구조 개선, 생태계 구축, 부품 국산화가 주를 이루었다. 이외에도 표준화, 투자 시장 위축으로 인한 자금 경색 해결, 기술 인력 확보, R&D 경쟁력 강화, 인력 자격증 제도, 비즈니스 모델 발굴, 글로벌 시장 진출 위한 매칭펀드 조성, AI 기술 고도화, 산업 발전 정책 등에 대한 의견도 나왔다.

 

중국 로봇 산업의 국내 시장 잠식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는 가격 및 품질 경쟁력 확보, 부품 국산화 및 부품 경쟁력 확보, 기술혁신을 통한 테크 트리 구축, 국산 부품 사용에 따른 원가 경쟁력 약화 보상 방안 마련, 고객 맞춤형 서비스, 차별화된 기술력, 제품 다각화, 로봇 생태계 구축, 난해 공정 솔루션 개발, 한국이 잘 할 수 있는 분야에 집중 투자, 수입 로봇에 대한 관세 확대 및 인증 도입, 국내 로봇기업간 협업, R&D 과제 확대, 미국 등 해외 시장 진출지원, 로봇 단품보다는 솔루션 중심 사업, AI SW 고도화 등을 주문했다.

 

조규남 전문기자 ceo@irobotnews.com

<저작권자 © 로봇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