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4 5

캐나다 셔브룩대, 고속 주행 트럭에 안전하게 착륙하는 드론 기술 개발

드론의 고질적인 문제였던 착륙 불안정성을 획기적으로 해결할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시속 100km가 넘는 속도로 달리는 트럭 위에도 안전하게 내려앉는 기술이다.​캐나다 셔브룩 대학교(University of Sherbrooke) 연구팀은 최근 국제 학술지 ‘필드 로보틱스 저널(Journal of Field Robotics)’을 통해 고속으로 움직이는 차량에 드론이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는 기술인 ‘다트(DART·Direct Approach Rapid Touchdown)’를 공개했다. (논문 제목:Friction Shock Absorbers and Reverse Thrust for Fast Multirotor Landing on High-Speed Vehicles)​드론이 움직이는 차량에 착륙할 때는 강..

드론 2025.10.14

에임인텔리전스, LG전자·오픈마인드와 손잡고 세계 최초 ‘피지컬 AI 안전성’ 개발

AI 보안기업 에임인텔리전스(AIM Intelligence)가 미국 로봇 OS 기업 오픈마인드(OpenMind), LG전자와 함께 ‘피지컬 AI 안전 레이어(Physical AI Safety Layer)’를 공동 개발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협력은 물리적 환경에서 작동하는 AI, 즉 ‘피지컬 AI(Physical AI)’의 오작동과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현재 피지컬 AI의 안전 규칙은 아시모프의 ‘로봇 3원칙’ 수준에 머물러 있어, 현실 환경에서의 오작동과 외부 공격에 취약하다는 지적이 있다. 세 기업이 개발하는 새로운 안전 레이어는 로봇의 판단 오류(환각)를 차단하고, 외부 침입·공격까지 방어하는 차세대 안전 표준을 제시한다.​최근 연구에 따르면 인간이 인지하지 못하는 초음파 신호나 의류·..

美 퍼듀대 연구팀, ‘뽁뽁이’ 장난감같은 소프트 로봇 개발

▲연구팀이 개발한 보행 소프트 로봇 누르면 ‘뽁’ 소리를 내며 들어갔다 나오는 인기 장난감 ‘피젯 파퍼(Fidget Popper)’의 단순한 원리를 이용해 컴퓨터, 배터리, 센서 없이도 스스로 움직이고 판단하는 소프트 로봇이 개발됐다. 우주나 심해처럼 전자기기 사용이 어려운 극한 환경에서도 임무 수행이 가능한 신개념 로봇의 등장을 예고하고 있다.​미국 퍼듀대 연구팀은 최근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Advanced Science)’를 통해 물리 기반의 새로운 소프트 로봇 제어 시스템을 발표했다. (논문 제목:Embodying Control in Soft Multistable Robots from Morphofunctional Co-design)​이 기술의 핵심은 ‘쌍안정성(bistability)’..

종합 2025.10.14

[Special Interview] LG전자 생산기술원(PRI) 정대화 사장

* 이 기사는 로봇신문 주간지 Robot Plus Ver.8 (2025. 9. 22)에 게재된 내용입니다. ▲정대화 생산기술원(PRI) 사장이 LG 스마트팩토리 확산센터에서 디지털트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휴머노이드, 비정형 환경과 속도 필요한 작업에 아직 무리”​ “현재 해외에서는 일부 생산 현장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을 테스트하고 있지만 주로 단순 반복적인 일에 사용한다. 비정형 환경에서 속도를 필요로 하는 작업에 사용하는 데는 아직 여러가지 무리가 있어 보인다.”​ 정대화 LG전자 생산기술원(PRI) 사장은 최근 휴머노이드 로봇이 생산 현장에 일부 도입돼 테스트를 시작했지만 범용으로 사용되기까지는 아직 시기상조라는 견해를 밝혔다. ​“예전에는 정형의 제품을 정렬된 상태로 로봇이 티칭해서 피킹하는 자..

인물연구 2025.10.14

[기업 최전선을 가다-큐라코] 19년 한 길 세계 유일 배설케어 로봇으로 美·日을 놀래키다

* 이 기사는 로봇신문 주간지 Robot Plus Ver.8 (2025. 9. 22)에 게재된 내용입니다. ▲ 큐라코의 배설케어 로봇 ‘케어비데’가 지난해 한국 제품으로는 최초로 미국 연방정부의 의료보험 수가 코드(CMS Code)를 획득했다.2007년 설립 이후 19년간 단일 제품 개발에만 매진해 온 큐라코(대표 이훈상)의 외길 뚝심이 새로운 무대를 열었다. 이 회사의 배설케어 로봇 ‘케어비데(Carebider)’가 지난해 한국 제품으로는 최초로 미국 연방정부의 의료보험 수가 코드(CMS Code)를 획득한 것이 알려지면서 국내외 돌봄 시장의 이목이 집중된 것이다.​앞서 2018년 일본 개호보험에도 등재된 바 있는 큐라코이지만, 이보다 더 큰 시장인 미국에서 신뢰할 수 있는 제품으로 공식 인정을 받게 ..

탐방 2025.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