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기반을 둔 테크 기업인 스위프트 내비게이션(Swift Navigation)이 1억달러 규모 파이낸싱 라운드를 마감했다고 발표했다.
스위프트 내비게이션(Swift Navigation)은 자동차용 ADAS(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 및 자율주행, 산업용 기계 제어, 상용 수송, 모바일 및 신흥 대량 판매 시장 애플리케이션용 GNSS(글로벌 위성 항법시스템) 및 정밀측위 기술 혁신을 추구한다.
이번 시리즈D 라운드는 SK와 포텐텀파트너스(Potentum Partners)가 주도했다. FM 캐피털, OVN 캐피털, 텔러스 벤처스, TWM 벤처스, 버클리 벤처스 등이 신규 투자자로 합류했다. 이번 투자 유치를 포함해 회사는 현재까지 총 2억달러 이상의 투자금을 확보했다.
스위프트(Swift) CEO인 티모시 해리스(Timothy Harris)는 “굉장한 수준의 투자자들이 우리를 지원하고 있다. 운송 및 자동화 분야의 미래 구축에 나선 많은 고객사가 엄청난 규모로 스위프트 기술을 도입하고 있어 영광스러울 따름이다. 회사에 아낌없는 지지를 보내 주는 NEA, 이클립스, EPIQ 소속 파트너와 투자자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한다”며, “또한 우리가 전 세계 곳곳에 정밀측위 솔루션을 공급하도록 뒷받침할 신규 투자자들의 지원을 환영한다”고 말했다.
SK 이수범 디지털 투자센터 그룹장은 “하이테크 소프트웨어 기업에 대한 회사 투자 전략의 하나로 이번 파이낸싱 작업에서 리드 투자자가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 비용 효율적 첨단 기술로 하드웨어 유형에 구애받지 않는 스위프트(Swift)의 고정밀 측위 솔루션은 자동차, 스마트폰, 로봇, 미래 스마트 기기 분야에선 최적의 기술”이라며, “스위프트는 앞으로 무인 자동차 기술의 새로운 시대가 발전하는 데 있어 더욱 기여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시리즈C 파이낸싱 라운드 이후 스위프트는 센티미터 수준의 정확성을 가진 정밀 측위 서비스를 더욱 가다듬고, 글로벌 서비스 범위를 확대하면서 온디멘드 경제 및 고급 자율주행 분야 니즈에 대응해 왔다. 스위프트는 전 세계 곳곳에서 사업을 영위하는 자동차 OEM 및 티어1 기업, 라스트 마일 배송 사업자, 모바일 사업자를 비롯해 철도, 공업, 마이크로모빌리티 및 대량 판매 시장 애플리케이션용 IoT 플랫폼 구축 기업들을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다.
스위프트 기술은 대규모로 승용차 및 상업용 차량을 운행 중인 거대 기업 일부에서 이미 활용되고 있다. 이를 통해 더욱 개선된 내비게이션 및 ADAS 기능을 제공하며 이를 지원하고 있다. 스위프트 기술은 보다 효율적인 사용자 경험을 위해 차량 측위 능력을 향상하며, 길 안내 시 루팅 작업을 간소화한다. 또한 ADAS 시스템의 핵심 구성 요소로 탑재되며 안전성을 강화하는데, 이 모든 강점은 비용 절감으로 이어진다. 표준 GNSS의 정확성은 3~30미터 단위인 반면, 스위프트의 정밀측위 솔루션은 센티미터 단위의 정확성을 자랑한다.
스위프트는 포괄적 형태의 GNSS 플랫폼을 제공한다. 여기에는 △스위프트의 클라우드 기반 GNSS 정밀측위 서비스인 스카이락(Skylark) △수신기에 구애받지 않는 고객사용 소프트웨어 측위 엔진 스탈링(Starling) △다양한 스위프트 및 제3자 호환 수신기 옵션이 포함된다. 스위프트 플랫폼은 단일 및 다중 주파수, 다중 위성 형태의 자동차 및 상용차 등급 GNSS 측정 엔진 및 칩셋과 구동되기 때문에 기업들이 자율주행 센서 제품군 가운데 최고 부품을 채택할 수 있는 선택권을 부여한다.
스카이락은 현재 미국, 유럽, 일본, 한국, 호주 인접 지역 및 캐나다와 대만 등 전 세계 국가를 대상으로 안전하고 가용성 높은 정밀 위치 데이터를 실시간 형태로 제공하는 글로벌 네트워크가 됐다. 스카이락은 현재 사용되는 자율주행 애플리케이션의 안전 요소에 필요한 대륙 단위 절대측위를 제공한다. 또한 다른 CORS(상시관측소) 네트워크와 비교해 안전성, 정확성, 가용성이 더 높다는 독립 외부 기관의 평가를 받았다.
스위프트 기술은 휴대전화 위치 측정 능력 향상을 주도하며 내비게이션, 트래픽 및 증강현실 등 분야의 신규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한다. 고객사들이 대륙별로 구축된 철도망 전반에 걸쳐 화물을 추적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농업, 건설업, 로봇 분야에서 사용되는 차세대 기계 제어 및 유도 장치를 비롯해 신흥 및 기존의 GNSS 시장 전반에 걸쳐 활용되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정밀측위(확장된 RTK)를 제공한다.
박경일 robot@irobotnews.com
<저작권자 © 로봇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로봇부품·소프트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T-철도연, 5G 기반 열차 자율주행 통신 테스트 성공 (0) | 2022.10.24 |
---|---|
印 파이압, 16kg 드는 고진공 파이코봇L 출시 (0) | 2022.10.24 |
한국기계연구원, 코끼리 코 모사한 그리퍼 개발 (0) | 2022.10.21 |
아이요봇-에스오에스랩, ML-X 기반 충돌방지 솔루션 협력 (0) | 2022.10.21 |
KAIST, 악천후에도 자율주행 지원하는 4D 레이더 인공지능 기술 개발 (0) | 2022.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