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I 물체 인식 기반 태양광 트래킹 로봇 챌린지”에 참가한 학생들
저탄소/에너지 컨소시엄의 주관대학 고려대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진행하는 하계 교육 프로그램 중 “AI 물체 인식 기반 태양광 트래킹 로봇 챌린지”가 컨소시엄 소속 대학 학부생을 대상으로 지난 24일 부터 28일 까지 5일간 고려대학교 신공학관에서 열렸다.
저탄소·에너지 기술 컨소시엄은 주관대학인 고려대학교를 포함해 8개 대학(강원대, 서울대, 서울시립대, 연세대, 울산대, 이화여대, 홍익대)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이번 컨소시엄을 구성해 진행하는 주요사업은 ‘저탄소·에너지 기술’ 분야의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공과대학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저탄소·에너지 기술 분야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각 분야별 컨소시엄으로 구성된 ‘창의융합형 공학인재양성지원사업’은 국내 산업체·연구소·기관이 모두 참여하는 산학연추진단을 구성하여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다.
행사를 공동으로 추죄한 한국로봇산업협회(회장 강철호)와 한국신재생에너지협회(회장 이구영)는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SC(Sector Council) 사무국’으로 지정받아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인적자원개발협의체를 운영하고 있다.
각 협의체는 현장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요산업 기반의 정책 건의, 인력 실태조사, 현장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 다양한 인력양성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특히 공학교육혁신센터와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기업-대학 간 미스매치 해소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에너지 자동차 만들기에 관해 설명하는 핸즈온테크놀러지 강현웅 대표
AI 물체 인식 기반 태양광 트레킹 로봇 챌린지”는 5일의 교육과정으로 이루어지며 교육진행은 핸즈온테크놀러지 강현웅 대표가 진행하였다.
1일차에는 로봇부문-로봇SC 특강과 신재생에너지부문-신재생에너지SC 특강이 진행되었으며 실습으로는 레고 에듀케이션 스파이크프라임 교구를 이용하여 '핸드 제너레이터(Hand Generator)'를 제작하고 '에너지 미터를 이용한 데이터 로깅(Data Logging) 실습과 에너지자동차를 제작하고 핸드제너레이터를 이용하여 100주울의 에너지를 저장하여 오랫동안 움직이는 자동차를 설계하고 구동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 핸드 제너레이터를 이용한 100주울의 에너지의 저장하고 달리는 자동차경기
2일차에는 라즈베리파이와 스파이크프라임으로 구성된 태양광 트래킹 로봇을 조립하고 라즈베리파이-PC 연결(VNC),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한 모터 및 센서의 구동, 키보드컨트롤를 이용한 태양광 트래킹 로봇의 구동, 컬러센서를 이용한 비례제어 프로그래밍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 라즈베리파이와 스파이크프라임으로 구성된 태양광 트래킹 로봇
3일차 교육은 라즈베리파이에 연결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오픈 CV를 이용한 비전 프로그래밍을 이해하는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미지 스트리밍 / 이미지 변환 / 이미지색상변환 그리고 이미지 인식을 이용한 자율주행 자동차의 방향결정 그리고 중요한 텐서플로우를 이용한 AI학습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 Open CV를 이용하여 자율주행 자동차의 방향결정을 실습중인 학생들
4일차 교육은 MQTT(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통신을 이용하여 'Wind Station'의 구동과 'Solar Station'을 이용한 태양광 트레킹을 위한 메시지의 송수신에 대한 학습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 MQTT통신을 이용한 Solar Station을 구동에 관해 강의중인 김세준 연구원
5일차는 “AI 물체 인식 기반 태양광 트래킹 실습 및 챌린지”를 진행하였으며 시험주행 및 경기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 “AI 물체 인식 기반 태양광 트래킹 로봇 챌린지”를 수행하기 위해 연습중인 학생들
고려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송광호(화공생명공학과) 교수는 폐회사를 통해 “매년 로봇 SC와 신재생에너지 SC의 후원을 받아 컨소시엄 소속 여덟 개 대학이 참여해서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진행하고 있다. 요즘은 AI, 로봇의 시대이기 때문에, 무슨 전공을 하든지 엔지니어로서 로봇 / AI / 친환경에 관련된 새로운 에너지에 대한 기본적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한다. 이 기회를 통해서 여러분들이 해당 지식에 대한 감을 좀 익혔기를 바라며 어느 분야에 진출하더라도 AI와 로봇에 관련해서 일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라고 학생들을 격려했다.
“AI 물체 인식 기반 태양광 로봇 챌린지” 에 참가한 연세대 기계공학과 4학년 박병서 학생은 “5일 동안 진행된 교육을 위해 대표님과 강사님께서 얼마나 열심히 준비하셨는지 느낄 수 있을 정도로, 짧은 기간 큰 어려움 없이 AI 자율주행, 통신 등의 기술을 직접 경험할 수 있었던 시간이었다. 앞으로 휴먼로보틱스 연구자로 성장해, 노인이 독립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게 도움을 주고 싶다”며 소감을 밝혔다.
▲ 수상자 명단
대상은 고려대 기계공학부 오민택, 이화여자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오채영
최우수상 서울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백지승 / 이화여자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김지원
고려대학교 기계공학부 정다혜 / 연세대학교 기계공학부 이정민
우수상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맹성열 / 서울시립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김세원
강원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공학과 김관빈 / 연세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신해찬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이성재 / 서울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정필상

▲ 왼쪽부터 대상을 수상한 고려대 기계공학부 오민택, 이화여자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오채영, 고려대 공학교육혁신센터 송광호센터장

▲ “AI 물체 인식 기반 태양광 트래킹 로봇 챌린지”를 수상팀
박경일 robot@irobotnews.com
<저작권자 © 로봇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종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로봇산업진흥원, 금속가공 분야 마이스터 로봇화인력 양성 과정 모집 (0) | 2023.08.01 |
---|---|
제4회 한국창의코딩대회 성료 (0) | 2023.08.01 |
인천TP-인천시, 스마트공장 구축 사업비 매칭 지원 (0) | 2023.07.28 |
한국로봇산업협회, 인도네시아 시장 개척 나선다 (0) | 2023.07.25 |
서울시, '로봇산업 육성종합계획’ 발표...로봇친화도시로 거듭난다 (0) | 2023.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