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신문은 한국로봇산업진흥원과 공동으로 7일 개최 예정인 로봇플러스 세미나에서 홍익대 문희창 교수는 최근 자율주행 기술이 자동차 뿐만 아니라 타 산업에 적용되고 있는 사례, 자율주행 모빌리티가 적용된 다양한 실증사례를 통해 특성을 설명하고 자율주행 산업의 흐름을 발표할 예정이다.
문교수의 발표 내용은 7일 오후부터 로봇신문 유튜브 채널인 로봇플러스TV(https://www.youtube.com/channel/UCYHL3zWm_PXpdzwyq1uG91g)를 통해 방송될 예정이다.
문희창 교수의 주요 발표 내용을 간추려 소개한다.
◆스마트 시티에서의 자율주행 모빌리티 서비스(문희창 홍익대 교수 겸 언맨드 솔루션 CTO)
자율주행 기술의 시초는 1980년대 초 미군이 군사 목적으로 무인자율주행 기술을 개발한 것에서 시작했다. 하지만 미군에선 자율주행 기술 구현에 실패했고 민간에 기술을 오픈해 기술경쟁을 도모하자는 방향으로 바뀌었다.
2004년 국방부 산하 DARPA(방위고등연구계획국) 주관으로 자율주행 챌린지가 처음으로 열렸으며, 2007년 어번 챌린지가 치러져 도심지 자율주행 기술 확보를 목표로 했다. 하지만 자율주행 기술을 무기화하는 것을 반대한 스탠포드대 세바스찬 쓰룬 교수가 구글에 합류해 구글카 개발에 들어가면서 민간의 자율주행 기술 개발이 본격화하기 시작했다. 2016년 우버가 처음으로 자율주행차를 활용한 카세어링 서비스 개념을 내놓았으며, 이후 여러 기업들이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 들어갔지만 기술적인 어려움으로 상용화 단계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현재 자율주행 기술은 NHTSA 기준 레벨 2~3단계 수준으로 완전 자율주행 단계인 4~5단계로 넘어가고 있는 시점이다. 우리가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5단계 기술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자동차산업쪽에서 접근하는 방식과 로봇쪽에서 접근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자동차산업 측면에서 보면 자동차 산업에 대한 여러 가지 규제 때문에 대중교통을 중심으로 자율주행 기술이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 일반 차량과 달리 이들 대중교통은 제한된 공간에서 활용될 수 밖에 없다. 또한 고속 주행보다는 저속 주행에 적합한 모빌리티 서비스가 될 것이다.
로봇산업쪽에서 보면 자율주행 모빌리티는 배달, 방재, 청소 ,보안 등 다양한 목적에 활용될 수 있다. 이 측면에서 보면 다양한 크기의 모빌리티가 다양한 장소에서 적용되는 방향으로 발전할 것이다. 요약하면 자동차쪽에선 대중교통 중심의 자율주행으로, 로봇쪽에서는 다양한 용도의 서비스 로봇으로 발전할 것이다.
자동차 개념이 모빌리티로 넘어가면서 자동차 산업은 ‘공유경제’, ‘전기차’, ‘자율주행 기술’이라는 3가지 키워드가 중요해졌다. 자율주행자동차가 아직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서비스 개념이 부재했기 때문이다. IT를 기반으로 택시 호출, 카플, 셔틀, 대여 등 공유자동차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서비스로의 이동성’ 개념이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 OEM업체들은 여러 IT 기업들과 협력해 자율주행차량에 IT기업의 서비스 개념을 탑재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자율주행차와 서비스 컨텐츠들이 결합하면서 자율주행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장소로 스마트 시티가 부상하고 있다. 초연결 지능화 인프라인 DNA(데이터,네트워크,AI)를 통해 4차 산업혁명시대를 지배할 융합 신산업 발굴이 치열한 가운데 스마트 시티가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일반적인 도시는 자율주행차를 위한 인프라 환경이 취약한데 비해 스마트 시티는 인프라가 잘 구축되어 있다.
스마트 시티 안에서 우리가 받을 수 있는 자율주행 모빌리티 서비스로는 배달 로봇, 경비 로봇, 물류 로봇, 자율주행 셔틀 등을 들 수 있다. 자율주행 셔틀의 경우 수용응답형으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호출할 수 있는 서비스가 가능하다.
우리나라에선 부산 에코델타시티, 화성 송산그린시티가 스마트 시티로 건설될 예정이다. 기존 도시보다 훨씬 풍부한 인프라를 구성해 입주민들이 자율주행 모빌리티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 시티내에선 자율주행 모빌리티를 활용해 라스트 마일 서비스를 구현할 것이다. 예를 들어 택배 차량이 들어가기 힘든 아파트를 중심으로 아파트 내부만 이동하는 라스트 마일 모빌리티 서비스들이 등장할 수 있다.
자율주행 모빌리티의 핵심 요소 기술로는 ▲ 차량제어 시스템(제어) ▲ 차량 통제 및 통합 컨트롤 시스템(판단) ▲ 장애물 감지시스템/위치검출시스템(인지)을 들 수 있다. 여기에 추가로 필요한 것이 바로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는 서비스 기술이다. 제공하려는 서비스 목적에 따라 모빌리티 서비스에 별도의 모듈러 섀시가 필요해진다. 모듈러 섀시에 제어, 판단, 인지 솔루션을 추가해야하고 여러대의 모빌리티를 관리하기 위한 관제 기술도 확보해야 한다.
모듈러 섀시는 전기 기반으로 만들어지고 고객의 수요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만들어야 한다. 여기에 서비스를 붙이면 교통, 물류, 보안, 소방, 청소, 방역, 농업, 건설 등 다양한 모빌리티 서비스로 발전할 수 있다.
현재 자율주행 모빌리티의 수요는 교통, 보안, 물류 등 분야를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기술개발이 상당히 진척돼 기술실증 단계라고 볼수 있다.
앞으로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차세대 자율주행 모빌리티 플랫폼 제품이 등장할 것이다. 차를 제외하고 가장 활성화될 분야는 물류쪽이라고 볼수 있다. 하지만 사람이 완전히 물류 작업에서 빠지기보다는 물류 노동자들의 노동강도를 덜어주는 쪽으로 자율 모빌리티 기술이 활용될 것이다. 현행법상 로봇의 일반도로 주행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규제샌드박스 제도를 활용해 시범지역에서 제한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상황이다. 소형 배달 로봇이 상암문화광장내에서 시범 운영되고 있다.
물류 다음으로 뜨는 시장이 보안시장이다. 보안 분야는 3D 업종이어서 사람이 24시간 대처하기 힘들다. 로봇과 사람간에 업무를 분담하면 서비스가 보다 체계적으로 이뤄지고 훨씬 다양한 보안 서비스가 등장할 것이다. 현재 경비 로봇이 상암구룡공원내를 시범운행하고 있는데 재난의 확대를 방지하고 범죄를 사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교통 서비스를 보면 자율주행 기술 도입으로 대중 교통 서비스가 빠르게 성장할 것이다. 서울 상암 디지털 미디어시티, 세종시 자율주행 실증규제 자유특구, 대전시 과학마을, 제주도 스마트 빌리지 등에서 자율주행 교통 서비스를 테스트하고 있다.
앞으로 자율주행 모빌리티 서비스는 스마트 시티뿐 아니라 스마트팜, 스마트 팩토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것이다. |
||||||
<저작권자 © 로봇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종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TRA, 12일부터 ‘2021 하노버 산업전 온라인 통합 한국관’ 운영 (0) | 2021.04.12 |
---|---|
"지속가능한 라스트마일 배송 생태계 구축해야" (0) | 2021.04.12 |
'2021 로봇플러스 세미나'(2021 반도체 산업 전망과 주요 이슈) (0) | 2021.04.07 |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온라인 창의교실 운영학교 모집 (0) | 2021.04.06 |
[2021 로봇미래전략 컨퍼런스] 토크쇼(발제와 토론) (0) | 2021.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