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우한대 휴머노이드 로봇 '톈원', 올해 본격 생산 들어간다

중국 우한(武汉)의 대학에서 개발된 휴머노이드 로봇이 올해 생산에 들어간다.
21일 중국 언론 후베이르바오에 따르면 성(省) 정치협상회의 위원이자 중국 우한대학 부교장인 궁웨이(龚威) 교수는 정부 업무 보고에서 '라오둥저(劳动者)', '선눙(神农)', '톈원(天问)' 등 휴머노이드 로봇이 개발되고 있다고 밝혔다.
톈원의 경우 실험실에서 생산라인으로 이전 단계이며, 올해 양산을 계획하고 있다. 톈원은 우한대학 리우성(刘胜) 원사와 리먀오(李淼) 부교수 팀이 개발했다. 컴퓨터 공학, 전력 및 기계 공학, 도시 설계, 측량 및 원격 감지 등 11개의 전공 분야 교수와 학생들이 공동으로 기술 개발을 하고 있다는 게 궁 교수의 설명이다. 톈원의 개발은 서비스업 수요에 맞춰 이뤄지고 있다. 일부 슈퍼마켓, 외식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휴머노이드 로봇 활용을 계획하고 있다.
우한대학은 학제 간 융합 연구를 강화하면서 복합형 인재 양성 시스템을 구축하고, 산학연 협력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라오둥저와 선눙 휴머노이드 로봇은 각각 화중과기(华中科技)대학의 천쉐둥(陈学东) 원사, 딩한(丁汉) 원사팀이 개발했으며 농업, 전력 등 분야에 특화했다. 라오둥저 휴머노이드 로봇은 곧 소량 생산 및 시범 사용을 시작할 예정이다.
우한은 휴머노이드 로봇 선두 도시로서 거듭나기 위한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전문 인재들과 우한인공지능연구원, 베이징대학 우한인공지능연구원 등 국가 차원의 인공지능 플랫폼들이 기술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또 우한에는 휴머노이드 로봇의 '촉각' 인식을 위한 제품을 개발하는 화웨이커즈넝(华威科智能技术), 의료용 로봇을 개발하는 코봇(COBOT, 库柏特科技)도 있다. 우한 FNC(华中数控)는 CNC 시스템에 인공지능 칩을 이식해 인간과 로봇간 상호 작용과 원격 작동 및 유지관리를 가능하게 한 세계 최초 기업으로 꼽힌다.
우한시는 지난해 미래 산업 혁신 발전 실시 방안을 제시하고, 휴머노이드 로봇을 비롯한 13개 분야에 최소 40억 위안(약 7911억 원)의 산업 펀드를 할당했다. 또 30억 위안(약 5933억 원) 규모의 디지털경제산업펀드를 조성해 AI와 로봇 공학 등 분야를 집중 육성하고 있다.
유효정 robot3@irobotnews.com
<저작권자 © 로봇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