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학원자동화연구소, 휴머노이드 로봇 'Q시리즈' 공개

중국 국책 연구소에서 휴머노이드 로봇 시리즈가 대거 공개됐다.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하기 위한 대규모 '공장형 시스템'도 마련됐다.
5일 중국 언론 중궈커쉐바오에 따르면 중국과학원자동화연구소는 중국과학원 원사 겸 멀티모달 인공지능시스템 전국중점실험실 주임 차오훙(乔红)이 이끄는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팀이 여러 대의 'Q시리즈' 휴머노이드 로봇 시제품을 개발했다. 여러 현장에서 초기 기술 검증도 완료했다.
개발팀은 중국 국가 항공우주 및 제조 산업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환경 유인 분야'의 고정밀 작업과 유사 뇌 지능형 로봇 이론 등 독창적 혁신의 축적을 바탕으로, 폭발력이 높은 통합 관절, AI 기반 설계, 대규모 로봇 모델, 휴머노이드 유연제어 등 기술에서 획기적 발전을 이뤘다.
휴머노이드 로봇 설계 및 조립을 위한 대규모 공장을 개발했으며,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에 대한 학술적 이론과 핵심 기술을 바탕으로 새로운 체인을 형성했다. 이 대규모 공장에서 연구자들은 휴머노이드 로봇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신속하게 설계하고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잡한 실외 지형에 적응하고 미지의 간섭에 저항해야하는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대규모 공장에선 AI 설계를 바탕으로 로봇 전신 자세를 정확하게 추적하고 균형을 맞출 수 있는 생체공학 동적 로봇 'Q1'을 개발했다.
또 실내외의 다양하고 복잡한 지형에 적응하면서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다중 지형 적응형 로봇 Q2을 개발했으며, 강력한 제어와 다양한 환경 적응성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력 높은 모션 로봇 Q3도 개발했다. 이 로봇은 대규모 공장의 직렬화 및 모듈식 소프트웨어 훈련 시스템을 통해, 실외 현장에 대한 요구 사항을 지원한다. 농경지 작업 및 현장 순찰 등을 할 수 있게 감각적 인지, 의사결정, 제어 지능을 갖췄다.
또 인간 근골격계의 근육이 가진 비선형적 특성과 근육 분포 특징, 운동 피질-소뇌-척수 루프 제어 및 기타 작동 매커니즘을 바탕으로 인간의 운동 특성과 정확한 작동 메커니즘에 대한 요구를 탐구해 유연하면서 민첩하고 정밀한 동작이 가능한 휴머노이드 로봇 Q4도 개발됐다.

여기에 인간을 시뮬레이션하고 초인적 성능을 내는 차세대 휴머노이드 로봇 기반도 마련했다. 실내 현장에서 다양한 임무를 충족하기 위해 자체 개발한 쯔둥타이추(紫东太初) 초거대 모델을 로봇 시스템에 통합했다. 이를 통해 물리적 환경에서 로봇 작업 수행 속도를 높이고, 정확한 논리적 추리와 실행을 수행하는 휴머노이드 로봇 Q5도 개발했다. 스마트 공장을 위한 작업과 스마트홈 서비스를 위한 지원이 가능하다.
개발진에 따르면 휴머노이드 로봇 대규모 공장은 지능, 매커니즘, 부품, 제어, 의사결정 등 기술을 완벽하게 통합해 다양한 휴머노이드 로봇 시스템을 빠르게 제작할 수 있다.
이번 로봇을 개발한 팀은 중국과학원자동화연구소의 '휴머노이드 예비 연구 프로젝트', '2035 혁신 과제' 등 프로젝트의 지원을 받고 있다.
Erika Yoo robot3@irobotnews.com
<저작권자 © 로봇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