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9회 한국로봇종합학술대회', 이달 21~24일 개최

한국로봇학회(회장 최현택)가 오는 2월 21일부터 24일까지 나흘간 강원도 휘닉스 평창에서 ‘제19회 한국로봇종합학술대회(KRoC 2024)’를 개최한다.
“Robotics empowered by AI(인공지능으로 강화된 로봇공학)"라는 주제로 열리는 올해 한국로봇종합학술대회(조직위원장 김진환 KAIST 교수, 프로그램위원장 신동준 연세대 교수)에서는 기조강연을 비롯해 초청강연, 특별강연, 워크숍, 특별세션, 포스터세션, 신진연구자세션, 오준호 교수 헌정세션, RED(Robot Engineering & Design)쇼, 튜토리얼, 플래그십 컨퍼런스 등 다채로운 행사가 열릴 예정이다.
한국로봇학회는 “로봇기술은 지난 수십년간 미래를 대표하는 기술로 주목받아 왔음에도 불구하고, 영원한 미래 기술이라는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며,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급격히 발전한 인공지능 기술이 로봇 기술을 더욱 발전시킬 수 있는 촉매제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대에 부흥하고자 이번 학술대회를 ‘Robotics empowered by AI’ 라는 주제로 주최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기조강연에선 오준호 KAIST 석좌교수(명예교수) 겸 레인보우로보틱스 최고기술책임자와 손웅희 한국로봇산업진흥원장이 각각 ‘로봇기술과 사업화‘, ‘2024 로봇 트랜드-2030 비전과 진로:길에서 길을 묻다‘를 주제로 강연을 펼친다.
특별강연도 마련됐다. 곽재식 숭실사이버대 환경안전공학과 학과장이 ’로봇과 미래‘를 주제로 발표한다. 로봇과 미래에 대해 예술, 미디어에서 다루어온 주제들에 대해 돌아보고 미래에 대해 상상해 보는 시간을 갖는다.
초청강연에는 ▲최한림 KAIST 교수(군집 자율 시스템 임무 계획) ▲조정산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지상 필드로봇의 모빌리티) ▲임도형 아비커스 대표(자율운항 선박 기술 상용화 현황) ▲이미연 한림대 성심병원 커맨드센터장(서비스 로봇과 함께 하는 미래 병원) ▲최종은 연세대 교수(Equivariant and Diffusion-based Methods for Data-efficient Visual Robotic Manipulation Learning) 강연이 펼쳐진다.
이번 학회에선 총 17개의 특별세션(OS)도 마련됐다. ▲소셜로봇을 위한 인간-로봇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소셜로봇연구회) ▲첨단수술로봇 ▲AgeTech-Service와 로봇 ▲특이점시대를 향한 로봇윤리(로봇윤리연구회) ▲수중 다이버활동 안전지원 로봇 및 통합 운용시스템 구축 ▲착용형 로봇 및 특화 구동모듈 기술 개발 ▲재난대응로봇(Disaster Response Robots. 재난안전로봇연구회) ▲엣지 브레인 프레임워크 기반 스마트 공장의 주행, 조작, 작업을 위한 모바일 매니퓰레이팅 기술개발 ▲다중로봇의 주행과 인식 ▲수중 자율 임무 수행을 위한 수중로봇 기술(해양로봇연구회) ▲물류로봇기술(물류로봇연구회) ▲제조 혁신을 위한 로봇기술(제조공정로봇연구회) ▲지역 경찰 지원을 위한 무인 순찰 로봇 시스템 개발 및 실증(보행조작기술연구회) ▲지능형 자율운항선박에서의 로보틱스 응용 기술(해양로봇연구회) ▲자율주행 로봇레이스 기술 ▲로봇학습연구회 회원들의 연구 성과 공유 및 AI 활용 방안 모색(로봇학습연구회) ▲기계학습을 위한 로봇 비전 응용(로봇비전연구회) 등에 관한 발표가 있을 예정이다.
이외에도 신진연구자세션에서는 ▲한수진 KAIST 교수(자율 제어, 확률론적 시스템, 네트워크의 의사 결정, 사이버 물리적 시스템, 로보틱스) ▲안혜민 울산과학기술원 교수(조건적 로봇 행동 생성을 위한 학습 방법론 연구) ▲현재상 연세대 교수(고해상도 정밀 3차원 센싱 기술) ▲변정환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Unleashing New Robotic Functions Based on Electronic Epidermis) ▲이웅용 한국기술교육대 교수(로봇 매니퓰레이터의 운동지능 구현을 위한 유압 구동 시스템 제어) ▲이호수 경상국립대 교수(Kinesthetic Haptic 기반의 간편한 재활 보조기기/로봇 개발 연구 소개) ▲강지연 광주과학기술원 교수(Functional Robotic Intervention for Individuals with Special Needs 장애인 및 노약자 일상의 기능적 거동 보완 및 치료를 위한 로봇 기술) ▲현장훈 국립한밭대 교수(카메라 기반 정밀 로봇 위치 추정 기술 ▲이창혁 한국전기연구원 선임연구원(20 kHz 제어 대역폭으로 유연하게 구동하는 상지 착용로봇) ▲강병현 세종대 교수(신체기능 보조를 위한 웨어러블 로봇과 인공지능) 등이 발표한다.
플래그십 컨퍼런스에선 서울대 전명환 박사(Ambiguity-Aware Multi-Object Pose Optimization for Visually-Assisted Robot Manipulation), 한국자동차연구원 구수병 박사(Automated Sewing System Enabled by Machine Vision for Smart Garment Manufacturing), 고려대 박정은 연구원(CLARA: Classifying and Disambiguating User Commands for Reliable Interactive Robotic Agents), KAIST 임형태 박사(ERASOR2: Instance-Aware Robust 3D Mapping of the Static World in Dynamic Scenes)가 발표한다.
워크숍에선 ▲한국로봇산업진흥원/한국로봇산업협회, ’2023 산업혁신인재성장지원 로봇기반 혁신선도 전문인력양성사업 & AI로봇기반 인간-기계협업기술 전문인력양사업 성과보고회’ ▲현대차 미래 제조기술과제 공모를 위한 제조로봇 지능화 방안에 대한 토론 ▲재활로봇 2024 ▲빅데이터 활용 마이스터 로봇화 기반 구축 ▲미디어 속 로봇 기술과 R&D 현황 등에 관한 발표가 이뤄진다.

▲행사 프로그램 일정표
장길수 ksjang@irobotnews.com
<저작권자 © 로봇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